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점성가
d라이브러리
"
천문학자
"(으)로 총 1,427건 검색되었습니다.
미국 과학자 대다수 SSC에 반대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미국 정부가 텍사스주에 건설하려고 계획중인 초전도거대가속기(SSC)계획은 과연 실현될 것인가. 총 80억달러가 소요될 이 프로젝트의 추진을 위해 미국은 다른 나라들의 참여를 종용하고 있다. 특히 일본에 대해서는 지난해 노벨상 수상자를 포함한 대규모 SSC관계자들을 파견해 설득작업을 벌였 ... ...
만약 은하와 은하가 맞부딪친다면…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껍질모양의 구조를 만들어낸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1990년대에 들어 미국 프린스턴대학의
천문학자
바네스 헌퀴스트 시바이저 등은 그들이 만든 새로운 모델을 활용, 상호작용을 하는 두 은하들은 결국 서로 융합하는 경향을 보인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아울러 이들은 편평한 은하들이 상호충돌을 ... ...
시리우스가 간직한 두가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이야기를 가지고 있지 못하다. 다만 잘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지만 1세기경 로마의
천문학자
이자 시인이었던 히기누스(Higinus)는 이 개를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매라(Maera)로 보았다. 매라는 살해된 주인 이카리우스(Icarius)의 시체를 찾아내 주인의 딸 에리고네(Erigone)에게 알려준 충실한 개인데 신들이 ... ...
태양주위 감싼 코로나의 신비 벗겨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일본과 미국이 공동제작한 X선망원경을 활용해 촬영한, 태양의 주위를 감싸고 있는 코로나의 사진이 최근 공개돼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다. 지난 70년대에 쏘아올린 미국의 스카이랩(우주실험실)에서 비슷한 규모의 망원경으로 찍은 것보다 10~1백배 선명한 사진을 제공하고 있는데 이 사진은 ... ...
태양계 10번째 행성은 없다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추론도 세웠다.10번째 행성의 존재는 해왕성의 궤도이탈 경향으로도 증명되는 것이었다.
천문학자
들은 행성 X의 영향으로 해왕성이 예측됐던 자리를 조금씩 어긋나는 궤도이탈현상을 보인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그러나 89년 보이저2호로 해왕성을 관측해 본 결과 이런 이탈현상은 결코 두드러진 것도 ... ...
왜 소행성들을 관찰하는가?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우리는 매우 적은 노력으로 그와같은 천연자원을 발굴하여 지구 근처로 가져와 일부
천문학자
들과 다른 과학자들이 꿈꾸고 있는 우주 도시들을 건설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The latest figure I can find tells us there are about 4,800 known asteroids(little bodies that orb ...
우주수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만하다. 그러나 이 질문에 대한 답은 "별로 없다"는 것이다.그렇다면 이 우주수프에 관해
천문학자
들이 보다 잘 알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한가지 방법은 현재의 우주로부터(현재의 우주에 관해서라면 상당한 지식을 갖고 있으니까) 출발하여 거꾸로 되돌아가 온도가 올라갈때마다 무슨 일이 ... ...
우애 깊은 히아데스 형제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천문학자
로드로제(Lord Rosse)가 그 모습이 게의 집게발을 닮았다 하여 붙인 이름이다.
천문학자
들은 이 천체를 M1이라고도 부르는데 이것은 프랑스의 샤를 메시에(Charle Messier)가 정리한 성운성단 목록의 첫번째 대상이기 때문이다.게성운은 황소의 뿔 사이에 있는데 제타별에서 약1도 정도 떨어져 ... ...
현대 과학의 4대 불가사의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거친 것이 아니다. 그렇다고해도 제10행성의 존재를 완전히 부인하지는 못한다. 대부분의
천문학자
들은 명왕성 바깥을 돌고 있는 새로운 행성이 존재할 가능성은 매우 크다고 말한다. 다만 존재한다고해도 대단히 작고 어두울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태양계내에 지름 1백km 정도의 천체는 1천개 ... ...
일반상대성이론의 중흥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어떠했는가 하는 등이다. 이 새로운 우주론은 일반상대론자, 입자물리학자 그리고
천문학자
모두에게 활발하게 연구되는 분야다.1960년에서 1980년 사이에 일어났던 일반상대성 중흥기의 부산물 중의 하나는 이론의 중요성과 그 이론의 사용에 대한 태도의 변화다. 시공과 중력 성질의 기본적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