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상인터뷰] 네안데르탈인은 예술가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6호
현생 인류가 추측한 것보다 일찍 스페인 지역에 도착했을 수도 있거든. 그래서 다른
학자
들은 벽화의 다른 부분도 조사해 볼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어. 앞으로 어떤 이야기들이 나올지 관심 있게 지켜봐 줘~ ... ...
[과학동아 X KRISS] 기본전하 상수로 새롭게 태어나는 암페어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뭘까. 암페어는 전류가 흐르는 도선 사이에 힘이 작용한다는 사실을 발견한 프랑스 물 리
학자
앙드레 마 리 앙 페르(Ampere)의 이름에서 따왔다. 당시에는 전류가 다른 단위에 비해 다양한 물리현상을 수치화 해 계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현재는 전압이나 저항에 대한 연구가 ... ...
Part 2. 우주 기원부터 암 치료까지 라온이 이끌 연구 4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온다”며 “세계적으로 가속기 이용자가 포화상태인 만큼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 핵과
학자
들이 라온의 완공을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최광용 중앙대 물리 학과 교수 ● 시대 뛰어넘을 신소재 찾는다“철의 발견으로 인류의 문명이 청동기시대에서 철기시대로 바뀌었듯, 현재의 한계를 ... ...
[Origin]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발표자 10명 중 7명은 꼭 이 그림으로 배경지식을 설명하곤 했습니다. 영국의 발달생물
학자
콘래드 웨딩턴이 제안한 ‘후성적 지대(epigenetic landscape)’ 모델입니다(아래 그림). 한 번 선택하면 거스를 수 없는 운명의 골짜기얼핏 보면 단순한 그림입니다. 여러 개의 골짜기가 있는 큰 산의 꼭대기에 ... ...
[Culture] 새 책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가능하다. 게임 속에서는 광물을 더 많이 모으는 것이 곧 자산이다. 지질
학자
나 광물
학자
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30년 이상 광물을 수집하러 다닌 인물이 현실에도 있다. 사람을 뜻하는 영어 접미사 ‘~er’을 붙여 현실판 ‘마인크래프터(Minecrafter)’라고 저자를 소개하고 싶다. 주인공은 바로 이지섭 ... ...
아마추어 수
학자
의 활약! 평면 채색수 문제
수학동아
l
2018년 06호
그래프이론과 이산수학, 조합적 최적화가 주요 연구 분야입니다. 2012년에는 젊은과
학자
상(대통령상)을 수상했고, 2017년에는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 회원으로 선정됐습니다 ... ...
기하학 입은 패션
수학동아
l
2018년 06호
하기 위한 방법을 꾸준히 연구해 체계적으로 정립할 계획”이라며, “수
학자
나 과
학자
와 협업도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덧붙여 “수학을 공부해서 생기는 창의력과 상상력을 발휘하면 무엇이든 해낼 수 있다”고 메시지를 전했습니다.이것으로 세계 유일의 수학패션지 GEOMETRY 1호를 ... ...
[매스미디어] 용의자 X의 헌신
수학동아
l
2018년 06호
성립하는지는 아직 증명되지 않았다. 사건의 실마리는 대화 속에 유카와는 물리
학자
의 길을 걷고, 이시가미는 학교 선생님이 된 뒤로 한동안 왕래가 없었다. 그런데 야스코 사건으로 두 사람이 오랜만에 재회한다. 이시가미는 유카와가 교정에서 처음 봤을 때 처럼 여전히 세상의 모든 이치를 ... ...
[수학공작실] 정십이면체 플라워볼 달력 만들기
수학동아
l
2018년 06호
십이면체에만 능했다고 기록돼 있어 신뢰하기 어렵다. 16세기 독일 수
학자
이자 천문
학자
인 케플러는 지구 밖 5개의 행성과 플라톤 다면체의 관계를 찾기 위해 노력했다. 훗날 케플러는 행성의 궤도가 원이 아니라 타원이라는 사실을 밝혀냈고, 케플러의 법칙을 발견해 물리와 천문학의 판도를 ... ...
[Culture] 소행성 ‘베누’ 샘플 귀환 작전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인류 역사상 가장 강력한 핵폭탄은 1961년 옛 소련이 개발한 58.6메가t급(5860만t급)이다. 과
학자
들은 1999년부터 2년에 한 번씩 ‘행성방위학회’라는 국제학술회의를 개최하고 근지구천체의 위협으로부터 지구를 보호할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러시아 연구팀의 연구 결과처럼 소행성이 지구에 근접한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