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뉴스
"
조절
"(으)로 총 4,160건 검색되었습니다.
유방암에 걸리면 왜 당뇨병이 따라올까
연합뉴스
l
2022.06.03
'SGLT2 억제제'라는 실험 약을 유방암이 생긴 생쥐 모델에 투여해 봤다. 그랬더니 혈당
조절
기능이 정상화되면서 종양의 성장도 억제됐다. 왕 교수는 "(임상 시험에 성공하면) 유방암 치료에 이 약을 쓸 수도 있다"라고 말했다. SGLT2 억제제는 마이크로 RNA를 기반으로 개발된 약 가운데 처음으로 ... ...
나의 기억저장 세포는 어디에 있을까…세포 분포 뇌지도 제작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2.06.02
세포들을 생쥐 뇌 전체에서 찾아낼 수 있었다. 이후 해당 세포들을 광유전학적 방법으로
조절
해 공간 공포 기억이 저장됐음을 확인했다. 이로써 공간 공포 기억을 저장하는 7개의 새로운 뇌 부위와 세포들이 밝혀졌다. 연구팀은 또 기억에 다양한 뇌 부위의 기억저장 세포들이 모두 필요한지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노벨상의 권위, 과학의 일탈
2022.06.02
능력을 잃어버렸고, 이를 교정하면 인체 내에서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분자들의 농도를
조절
함으로써 좋은 건강을 보전하고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을 것이었다. 폴링은 자신의 이런 생각들을 종합해서 ‘분자 교정 의학’이라는 새로운 분야를 제안했다. 비록 폴링이 노벨상을 수상한 ... ...
반도체 한계 넘는 고집적 2차원 반도체 소재 기술 세계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6.02
질화붕소의 다층 합성에 필요한 재료의 농도를
조절
하는 새로운 합성 방식을 개발, 두께
조절
이 가능한 육방정계 질화붕소를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신현석 교수는 “이번 연구로 고집적 반도체의 물리적 한계를 해결할 수 있는 소재 합성 기술을 개발했다”며 “반도체뿐만 아니라 수소연료전지 ... ...
치매 치료·착용 가능 로봇...신규 기초연구 6월 본격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2.06.01
연구를 수행한다. 또 안지훈 고려대 교수가 기초생명 분야에서 식물의 복잡한 개화
조절
기전 연구를, 공경철 KAIST 교수가 로봇과 사람이 결합된 형태의 착용 가능 로봇의 제어 성능 향상 연구를 시작할 예정이다. 10인 이내의 우수 연구집단을 지원하는 선도연구센터의 경우 생체시계 기반 ... ...
성균관대, 사람마다 통증 다른 이유 설명할 뇌 패턴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22.05.31
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과 박사과정 연구원은 “사람의 뇌에서 통증이 어떻게 처리되고
조절
되는지는 이미 우리가 답한 질문보다 앞으로 답해야 할 질문이 더 많다”라며 “이번 연구가 통증의 개인차와 개별 특성에 관한 연구를 더욱 촉진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 ...
“SMR, 일반 원전보다 더 많은 방사성 폐기물 배출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31
소규모 원자로를 의미하는 SMR은 기존 원자로와 원리가 똑같지만 규모가 작아 출력
조절
이 용이하고 원자로를 식히는 데 다양한 방법을 쓸 수 있어 상대적으로 안전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건설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방사성 폐기물도 더 적게 배출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공룡의 피는 따뜻했을까
2022.05.31
화석에 축적된 ALE의 양을 분석하면 당시 동물의 대사율을 알 수 있고 그 결과 체온
조절
방식을 추측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자들은 현존생물 51종의 뼈를 분석해 기준을 마련한 뒤 공룡 성체 넙다리뼈(대퇴골) 시료를 분석했다. 그 결과 중생대 트리아기에 살았던 초기 공룡과 이들의 후손 가운데 ... ...
빛과 소리로 정밀한 화학반응
조절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31
자연스럽게 물체도 움직이게 된다. 이때 소리를 활용하면 물체의 움직임을 더 정밀하게
조절
할 수 있다. 김기문 교수는 “복잡하게 만들어진 우리 몸도 빛과 소리 같은 외부 자극을 인지하고 반응한다”며 “이같은 이유로 이번 연구는 생명체의 신호 처리 과정을 이해하는 출발점이 될 것으로 ... ...
이노스페이스, 민간 첫 시험발사체 '한빛'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2.05.29
개발중이다. 하이브리드 로켓 기술은 구조가 단순하다는 고체 로켓의 장점과 추력
조절
이 가능한 액체연료의 장점을 융합한 기술로 꼽힌다. 이노스페이스에 따르면 짧은 제작기간과 안전성, 경제성을 갖춘 게 장점이다. 한빛은 고체연료로 폭발 위험성이 없는 파라핀 소재를 사용하고 전기펌프로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