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요점
중심
알맹이
정수
중앙
중추
중점
뉴스
"
핵심
"(으)로 총 6,363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자력 생태계 '회복 중'…입학생·산업인력 모두 증가세
동아사이언스
l
2024.02.22
연도별 원자력 전공 신입생 추이. 과기정통부 제공. 원자력 분야 입학생 증가율이 최근 5년 중 최대치를 보였다. 원자력산업 분야 인력도 4년만에 증가세로 돌아 ... 2024년 차세대원자력 전문인력 양성센터를 설립하는 등 지속적으로 원자력 분야
핵심
인력 양성에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운동, 우울증 치료에 효과 있다"
연합뉴스
l
2024.02.20
연구가 더 필요하겠지만, 심리요법과 항우울제 투여가 동반한 운동 치료는 우울증의
핵심
치료법으로 권장할 만하다고 연구팀은 말했다. 그러나 우울증세가 가볍거나 중등도일 때는 권장할 수 있겠지만 우울증이 심한 환자는 규칙적인 운동이 어려울 것이라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따라서 ... ...
산업용 대용량 초저온 냉각기술로 지구 온난화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20
대용량, 고효율’을 모두 만족할 수 있다. 연구팀은 또 그간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핵심
부품인 원심압축기와 터보팽창기를 자체 개발하고 국산화한 데 이어 국내에서 성공 사례가 없었던 터보-브레이튼 냉각시스템 실 운전 성능시험까지 성공해 전주기 기술을 확보하게 됐다. 연구를 이끈 ... ...
빨아 쓸 수 있는 OLED 전자섬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20
고성능, 고신뢰성 섬유 기반 웨어러블 OLED를 구현하기 위해 ‘다기능성 봉지막’
핵심
기술을 개발했다. 봉지막은 증착 단계가 끝난 패널에 무기막·유기막으로 이뤄진 여러 층의 박막 봉지 소재를 얇게 입히는 것으로 산소와 수분이 유기물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밀봉해 제품 수명을 연장시킨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아마존 열대우림 붕괴 위기…2050년이 '마지노선'
동아사이언스
l
2024.02.17
생물 다양성의 10%를 확인할 수 있는 곳이다. 지구 기후를 안정화하는 데 도움을 주는
핵심
적인 탄소 저장고이기도 하다. 아마존 열대우림 생태계가 망가지면 지구 전체에 재앙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마리나 히로타 브라질 산타카타리나연방대 생태학과 교수 연구팀은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 ...
다이아몬드에 박힌 초대륙 이동
과학동아
l
2024.02.17
다이아몬드는 흑연이나 이산화탄소로 변해버리고 말죠. 즉 이번 다이아몬드 여행의
핵심
은 속도입니다. 핑크다이아몬드. 다이아몬드 10만 개 중 1개꼴인 핑크 다이아몬드는 희소가치가 매우 높다. Sotheby 제공 세 번째 여행의 주인공은 분홍빛이 아름다운 핑크 다이아몬드입니다. 다이아몬드 10만 ... ...
원전 안전 관리시스템 재편…연중 상시검사 도입·연구용 원자로 규정 합리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2.16
당초 계획대로 이행되는지를 지속 확인해 나간다. 유 위원장은 “올해 업무계획의
핵심
은 과학에 기반해 효율적인 안전성 확인이 될 수 있도록 규제시스템을 고도화하는 것”이라며 “개혁 태스크포스를 통해 산업현장과 기술의 변화를 능동적으로 감지하고 개혁과제를 적극 발굴해 규제가 ... ...
빅5 전공의 19일 전원 사직…전국 의대생은 20일 동반 휴학
동아사이언스
l
2024.02.16
전공의 집단행동이 전국으로 확산되면 정부의 강경 대응이 통할지는 미지수다. 응급실
핵심
인력인 전공의들이 의료 현장에서 빠지면 의료공백이 커지는 만큼 의료대란이 현실화될 수 있다. 2020년에도 전공의 집단행동으로 정부의 의대 증원 추진이 무산된 바 있다 ... ...
[과기원NOW] KAIST 융합인재학부 1호 졸업생 탄생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16
소재의 추출물 생산과 지표·기능 성분의 단일물질을 확보하고 DGIST는 성분분석을 통한
핵심
정보 생산과 기능성 연구 과제를 수행할 계획이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이윤호 지구·환경공학부 교수가 물 분야 권위학술지 ‘워터 리서치’ 편집장으로 선임됐다고 15일 밝혔다. 이 교수는 먹는 ... ...
복잡한 미생물 대사과정, AI 기술로 풀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14
시스템생명공학과 교수(왼쪽)와 우현재 석사과정생. 한국연구재단 제공. 미생물 성장의
핵심
대사반응을 규명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술이 개발됐다. 대사반응은 세포 내 대사물질이 생성·분해되는 생화학 과정으로 미생물의 성장을 제어한다. 한국연구재단은 윤성호 건국대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