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개인"(으)로 총 1,443건 검색되었습니다.
- 케톤음료, 도핑검사 걱정없는 에너지원?2016.08.01
- 카페인을 섭취할 경우 무려 72초를 단축할 수 있다는 말이다. 다만 카페인의 효과는 개인차가 커서 심지어 역효과를 보는 사람도 있다. 미국 저널리스트 머리 카펜터의 책 ‘카페인 권하는 사회’를 보면 경기를 앞두고 자신만의 ‘카페인 전략’을 세우는 선수들이 많다고 한다. 예를 들어 사이클 ... ...
- 성차별, 백인/남성이 지적하면 개선 효과 크다2016.07.26
- 부정적인 평가를 내리거나 남성과 여성에게 서로 다른 처우가 어울린다고 정당화하는 개인 또는 조직의 태도, 믿음, 행동 등을 총칭한다(Swim & Hyers, 2009). 안타깝게도 한국은 각종 지표에서 성차별 정도가 심각하며 여성의 인권이 낮은 편에 속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성 인권 수준이 낮고 여성의 ... ...
- [타운이 만난 사람들-명사편] 시장을 움직이는 혁신, 아이디어와 기술에서 나옵니다동아사이언스 l2016.07.22
- 중요한 시사점을 줍니다. 미래의 패러다임을 개척할 혁신의 주체는 다름아닌 수많은 개인일 수도 있다는 것이지요. 그래서 이 교수는 창업을 준비하는 사람들에게 희망적이면서도 냉정한 충고를 합니다. “혁신을 이루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역사에서도 혁신에 성공한 이들 주변에는 실패한 ... ...
- 돈으로 행복을 살 수 있을까?2016.07.19
- 같은 물건을 사도 충동적으로 또는 과시를 목적으로 구매하는 것보다 그 물건에 어떤 개인적 ‘의미’를 담을 때, 또 여행이나 공연 같은 경험 자체를 구매할 때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높은 행복도를 느낀다고 한다(Van Boven & Gilovich, 2003). 의미나 경험은 물질에 비해 비교적 덜 질리게 되고 시간이 ... ...
- [타운이 만난 사람들-멘토편] 주말도 마다않는 열혈 멘토, 이준석 연구원동아사이언스 l2016.07.15
- 단순히 멘토로서 참여했지만 이제 저에게는 매우 중요한 활동 중 하나가 된 것 같습니다. 개인의 아이디어를 사업화가 되도록 하는 멘토링 활동은 때론 멘티와의 생각이나 이해 등의 차이로 인해 힘들 때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보다는 타운을 통한 멘티의 칭찬이나 혹은 답글 등을 통한 고맙다는 말 ... ...
- 요거트의 상징 메치니코프 타계 100주기: 선천면역에서 프로바이오틱스까지2016.07.12
- 참고로 부유한 아내 덕분에 돈 걱정은 없었다. 이탈리아 메시나에 머물던 메치니코프는 개인 실험실을 차리고 발생학 연구를 이어갔다. 이해 10월 메치니코프는 생물학사에 전설로 남은 발견을 한다. 즉 불가리아 유충이 먹이를 먹는 방법을 연구하던 중 불가사리 체내에서 이상한 세포를 발견했다. ... ...
- 피할 수 없을 땐 자기합리화?!2016.07.05
-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이렇게 ‘우리 사회는 잘 돌아가고 있으며 문제는 개인들의 탓, 개인들이 노력하면 될 일’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을 체제 정당화(system justification) 사고라고 한다. 어떤 문제와 그 문제가 존재하는 사회로부터 피할 수 없다면, 그것이 자신에게 매우 불리한 문제라고 해도 아예 ... ...
- 나노과학의 대가, 세계 최고를 꿈꾼다IBS l2016.07.04
- IBS 나노입자 연구단 단장 현택환 서울대 교수 - IBS 제공 “국제적으로 큰 상을 받아 개인적으로 굉장히 영광스럽습니다. 지난 18년간의 연구결과를 인정받았다고 생각합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 연구단의 현택환 단장(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은 최근 나노 분야의 연구성과를 ... ...
- 당신은 나르시시스트입니까2016.06.21
- 상태가 된 것 같다. 덕분에 정서적으로도 꽤 평온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듯 하다. 개인적인 이야기가 많아졌지만, 자기지각의 내용이 무지하게 긍정적일수록 좋은것만은 아니라는 것, 건강한 자존감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스스로에게 현실적인 수준을 기대할 것, 또 타인의 인정을 지나치게 ... ...
- ‘도덕적이니까’라는 믿음의 무서움2016.06.14
- 받아들여졌다. 관련해서 “도덕적으로 옳다/그르다”의 기준으로 생각하면 “개인적으로 좋아한다/아니다”의 기준으로 생각할 때에 비해 더 즉각적으로 더 극단적인 판단을 내리곤 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었다고 한다. 무엇이 또는 어떤 사람이 옳다거나 그르다며 손쉽게 ‘판단’해 버리는 습관을 ... ...
이전1211221231241251261271281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