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율
한도
범위
노정
역정
여정
여행길
d라이브러리
"
정도
"(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공룡 절멸시킨 충돌소행성 크기에 새 가설 등장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그 7-8배가 되고 지름 10㎞의 천체가 충돌했다는 말이 된다. 이는 헬리혜성과 마찬가지
정도
의 크기가 된다. 실제로 3백㎞나 되는 크레이터라고 하면 지난 10억년간 가장 큰 것. 이 학설이 사실이라면 공룡절멸의 원인이 천체충돌에 의한 것이라는 가설은 더욱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 ...
화려한 1등성들로 가득찬 겨울밤의 축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시각은 언제일까? 혹시 밤하늘에서 가장 큰 구상성단인 오메가성단을 볼 수는 없을까? 이
정도
의 생각을 미리하고 성도를 참고하여 우리가 관측할 대상들을 미리 정한 다음 이것들의 적정 관측시간을 정하여 관측을 시작 한다면, 어렵게 간 관측회에서 시간을 낭비하지 않고 좀 더 많은 것을 보고올 ... ...
PART. 3 PC의 새 개념 멀티미디어 열풍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멀티미디어 수준은 초기단계다. 사용자들은 기존의 PC에 CD-ROM 드라이브와 음악카드
정도
만을 갖추고 멀티미디어화 하려 하고 관련기술 또한 하드웨어는 물론 소프트웨어까지 아직 형성단계에 불과하다.지금까지 개발된 멀티미디어 하드웨어는 32비트이상의 PC와 워크스테이션에 단순한 멀티미디어 ... ...
오리온의 북쪽과 남쪽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별이다. 이러한 군집에 작용하고 있는 중력에 의한 인력(引力)은 이들을 모여 있게 할
정도
로 강력하지 않기 때문에 결국 별들은 따로 떨어져 나온 것이 아닌가 한다. 이것은 왜 태양과 같이 우리 은하계에서 오래된 대부분 별들이 따로 떨어져 존재하는지를 설명해 줄 수 있을 것이다.스트롬의 가설 ... ...
생물 - 동물들의 본능행동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속도는 느려지고 엉덩이 흔드는 횟수는 빨라진다.꿀벌은 춤의 속도와 엉덩이를 흔드는
정도
에서 거의 정확하게 밀원의 거리를 알 수 있다. 그럼 방향은 어떻게 알 수 있는가? 밀원의 방향은 8자의 두고리가 만나는 공통 직선과 관계가 있다. 8자를 그리는 방식은 밀원과 집을 잇는 선과 거리를 ... ...
(3) 공룡의 진화도 플룸이 지배했다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곧 지구를 덮친 대규모 고온·건조화에 의해 양서류나 파충류 중에서도 물에 의존하는
정도
가 큰 종은 사라지고 그같은 환경에 순응력을 가지고 있던 공룡들이 지상의 지배권을 손에 넣은 듯하다.육지동물인 공룡(익룡이나 바다의 수장룡 등은 공룡이 아니다)에게 있어서 이 탄생·발전기가 초대륙이 ... ...
인간복제 논란 그후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날로 그 목표일이 당겨지고는 있지만, 아직도 그 완성에는 30년
정도
의 세월을 잡고 있다.일단 염기배열을 모두 안 뒤에도 여전히 문제는 남는다. 이 염기들이 각각의 때와 장소에서 어떻게 발현되는지 메커니즘을 알아내는 일은 따로 남아 있기 때문. 자동차의 부속들을 ... ...
밤하늘의 보석들을 사진에 담자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별의 광적을 길게 찍을수록 보기 좋은 사진이 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30분에서 1시간
정도
만 노출을 줘도 광적은 충분히 길게 보인다. 일주 운동으로 그어지는 별의 광적은 하늘의 북극 부근에서 북극성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형태이고 적도상의 별은 일직선의 광적을 남긴다. 그리고 동쪽에서 뜰 ... ...
윈도우와의 메모리 속도 전쟁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것보다 몇배 어렵다. 왜냐하면 도스의 시동파일은 겨우 config.sys나 autoexec.bat의 두가지
정도
로 끝나지만 윈도우의 시동파일은 이 두개의 파일에다 win.ini파일과 system.ini파일까지 합쳐놓은 것이기 때문이다. 사실 정확한 의미의 최적화를 위해서는 win.ini니 system.ini파일 하나하나에 대해 자기 나름의 .. ...
(1) 최신이론 플룸구조론이란?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다름없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그러나 금성은 지구와 크기가 유사하기 때문에 진화과
정도
비슷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 판구조운동의 가능성이 가장 높은 행성으로 판단되고 있다.내행성들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 진화한 과정을 설명하는 모델에는 크게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모든 행성이 같은 ... ...
이전
1257
1258
1259
1260
1261
1262
1263
1264
12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