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숫자
자수
넘버
번호
수단
방법
꾀
d라이브러리
"
수
"(으)로 총 21,910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여행 즐기며 여름나기
과학동아
l
200408
반면 레이저는 프리즘을 통과해도 여전히 한 종류의 광선으로 나오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따라서 뚜렷한 별 형태를 만들기 위해서는 레이저가 가장 적합하다.▶▶▶ 별이 만들어지는 이유는 뭘까?일반적으로 거울은 면이 울퉁불퉁하지 않고 일정하게 고르기 때문에 입사각과 반사각이 동일한 ... ...
토끼뜀 뛸 때 가장 바쁜 근육 큰볼기근
과학동아
l
200408
것이다. 모든 근육은 움직일 때 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신경이 끊어지면 근육이
수
축할
수
없어 움직이지 못한다. 근육이 굵고, 근육에 연결돼 있는 감각신경과 운동신경이 예민한 사람은 1백m 달리기처럼 빨리 달리는데 유리하다 ... ...
크레타 사람은 모두 거짓말쟁이일까?
과학동아
l
200408
역설’ 은
수
없이 다양한 변형이 존재하는데, 아마도 가장 재미있는 형태는
수
학자이자 철학자인 버트런드 러셀의 다음 농담이 아닐까 싶다.러셀은 철학자 조지 무어가 참으로 정직한 사람이었다면서, 어떤 사람이 무어에게 “당신은 항상 진실만을 말합니까” 라고 물었을 때 “아니오” 라고 ... ...
시뮬레이션으로 나노 세계 비밀 푼다
과학동아
l
200407
신소재공학과 4층에 위치한 강정구 교
수
의 연구실은 의외로 텅 비어 있다. 한쪽 벽을 차지한 책장을 제외하면 눈에 띄는 ‘짐’ 이라고는 커다란 모니터뿐이다 ...
수
있는 고에너지 물질과 나노 트랜지스터 개발 등 나노
수
준에서 전산모사를 통해 응용할
수
있는 분야는 무궁무진합니다 ... ...
한반도는 지진의 안전지대인가
과학동아
l
200407
경상도 동해안보다는 다른 곳에 원전을 짓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고 덧붙였다.이윤
수
박사도 “불행히도 1970년대 원전 부지를 선정할 때 정밀한 지질조사가 없었다”며 “앞으로 새로운 원전을 지을 때는 부지 선정 단계에서 지반 안정성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울진 ... ...
정재승 교
수
가 이끄는 대학생 연합 동아리 '꿈꾸는 과학'
과학동아
l
200407
지난해 4월 인터넷 서점 ‘알라딘’과 ‘모닝365’에는 다음의 공지문이 떴다. “과학의 대중적 글쓰기에 관심있는 대학생들의 연합 동아리를 만 ... 생명과학 2년)정재승 교
수
는 1995년 12월 과학동아에 데뷔했다. 10년 후쯤이면 이들도 정 교
수
처럼 과학대중화를 위해 한몫할 것으로 기대된다 ... ...
02. 무공해 식단 꾸리는 생물 농약
과학동아
l
200407
의류 04. 눈과 귀 창조하는 인공시청각 05. 자연과 호흡하는 도시생태 복원 06. 보이지 않는
수
호천사 바이오시그널 모니터링 07. 사람 마음 읽는 감성컴퓨터 08. 미래형 족집게 진단장비 생체자기센서 09. 조용한 공간 창조하는 소음제거기술 10. 사고율 제로에 도전한다 ... ...
07. 사람 마음 읽는 감성컴퓨터
과학동아
l
200407
의류 04. 눈과 귀 창조하는 인공시청각 05. 자연과 호흡하는 도시생태 복원 06. 보이지 않는
수
호천사 바이오시그널 모니터링 07. 사람 마음 읽는 감성컴퓨터 08. 미래형 족집게 진단장비 생체자기센서 09. 조용한 공간 창조하는 소음제거기술 10. 사고율 제로에 도전한다 ... ...
포항공대 생명과학과 교
수
이영숙
과학동아
l
200407
식물이 중금속을 먹어치운다. 곤충이나 작은 동물을 잡아먹는 식충 식물은 있어도 중금속을 먹는 식물이라니. 지난해 세계적 생명공학지 ‘네이처 바이오 ... 그간 세간의 주목을 별로 받지 못했던 식물학 영역에 새로운 발전 가능성을 제시한 이 교
수
가 보여줄 푸른 대한민국을 꿈꿔본다 ... ...
공기, 당신의 능력을 보여주세요
과학동아
l
200407
하지만 페트병 벽은 탄성이 있어 공기의 부피가 늘어나면 페트병이 팽팽하게 부풀
수
있기 때문에 유리병에서 실험하는 것보다 동전의 움직임이 작다. 또 페트병은 유리병보다 빨리 데워지고 빨리 식기 때문에 동전의 움직임을 관찰할 시간이 부족하다. 따라서 실험에는 유리병이 더 적합하다 ... ...
이전
1263
1264
1265
1266
1267
1268
1269
1270
12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