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얼음 vs 드라이아이스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5호
- 기체로 바뀌지. 잘 보이진 않지만 얼음 주변에서도 하얀 안개가 보일 때가 있어. 둘을 구분하는 방법은 간단해. 얼어 있는 덩어리가 투명하게 보이면 얼음, 하얗게 보이면 드라이아이스야. 하지만 얼음도 갈아놓으면 빛을 반사해 하얗게 보이니까 헷갈릴 걸~. 깔깔깔 ... ...
- 게임시간? 엄마와 정해 보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4호
- 술이나 마약을 끊지 못하는 것처럼 게임에도 중독될 수 있어요.게임 속 세상과 현실을 구분하지 못하게 되죠. 그래서 잔인한 게임을 많이 하는 청소년들은 다른 친구들보다 더 폭력적으로 변할 수도 있답니다. 어른들이 굳이 간섭하지 않아도 스스로 게임시간을 조절하는 자제력을 길러 보자고요 ... ...
- 과학으로 그린 비밀의 정원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3호
- 산성비가 내리면 색이 변하는 리트머스 이끼도 있는데, 과학 시간에 산성과 염기성을 구분할 때 쓰는 리트머스 종이는 리트머스 이끼의 성분을 추출해서 만들지요.높고 바위가 많은 곳엔 고산지대 식물을!곤지암수목원에는 경사진 곳과 바위가 쌓여 있는 곳이 많아요. 그래서 이런 환경에 적합한 ... ...
- [헷갈린 과학] 일식 vs 월식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3호
- 어디서나 볼 수 있기 때문에 월식보다 훨씬 자주 볼 수 있답니다. 일식과 월식, 한 번에 구분하는 비법!태양이 가려지면 일식, 달이 가려지면 월식이에요. 그 중에서도 태양의 일부분이 가려지면 부분일식, 태양이 모두 가려지면 개기일식이지요. 반대로 달의 일부분이 가려지면 부분월식, 모두 ... ...
- 변 신하고 싶어? 헷갈리나의 패션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살리고 단점을 가리기 위해서는 먼저 내 몸이 어떤 형인지 알아야겠지? 체형은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 여러 방법이 있지만 나는 상체 폭과 하체 폭을 이용했어. 어깨의 양끝 사이 거리인 ‘어깨폭’, 허리의 양끝 사이 거리인 ‘허리폭’, 엉덩이 양끝 사이 거리인 ‘엉덩이폭’을 측정해 체형을 ... ...
- 톡톡! 개그수학콘서트 여는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김도연위원장님수학동아 l2012년 12호
- 빨리 학생들의 미래를 위해 문과와 이과의 구분은 없어져야 된다고 생각합니다.문이과 구분으로 일찌감치 나뉘어서 그런지 많은 사람들이 살아가는 데에 수학이 필요하다고 느끼지 못하고 있습니다. 일상을 살아갈 때 수학을 알아야 하는 이유가 뭘까요?김도연 위원장 : 갈수록 세상은 복잡해지고, ... ...
- 굴뚝새 모녀의 비밀 암호 편지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알 상태로 부화 중인 새끼에게 먹이를 달라는 신호를 가르치고, 이를 통해 천적과 부모를 구분한다는 사실이 처음 관찰됐다.다이앤 콜롬벨리-네그렐 호주 플린더스대 생명과학과 교수는 어미 굴뚝새와 새끼를 서로 뒤바꾼 뒤, 어떤 어미와 새끼가 서로를 잘 찾는지를 알아봤다. 그 결과 새끼는 ... ...
- PART 2. 친구 따라 투표장 가는 ‘페이스북 법칙’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나눠서 보여줬다.이 실험은 일상적인 캠페인성 투표 독려와 주변 사람의 입소문을 구분해, 어느 쪽이 투표에 영향을 더 크게 미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다. 결과는 ‘입소문이 더 파급력이 크다’였다. 친구가 투표했다는 메시지를 받은 사용자는 약 2.08% 더 투표를 했다고 보고했고(투표 완료 ... ...
- 입에서 항문까지 소화 여행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섭취해야 하는 종속영양생물, 동물계에만 발달 된 구조다. 장의 발달은 동물의 분류단계 구분에 매우 중요하다. 여기서는 복잡한 분류학상의 설명은 생략하고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동물들을 중심으로 소화기관의 발달정도를 알아보자. 장이 없는 동물은 동물 중 가장 하등한 산호, 해면 등이다. ... ...
- 지구 자기장, 1000년 만에 역전된다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달력은 ‘장기력’이라 부르며 ‘박툰’이라는 단위를 쓴다. 우리가 100년을 한 세기로 구분하는 것처럼 마야인들은 13박툰(약 5125년)을 하나의 거대한 시간 단위로 봤다. 마야인들은 기원전 3114년 8월 13일 우리가 살고 있는 4번째 세상이 시작됐다고 믿었다. 그런데 이 날을 기점으로 13박툰이 끝나는 ... ...
이전1221231241251261271281291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