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남아"(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
- PART 1. 물리학상 - 힉스에 대한 치명적인 오해5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위에 설명한 공간의 변화량을 의미하는 말이다.힉스 입자는 이 과정을 거친 뒤에도 남아 있는 독립된 입자다. 달리 이야기하면 힉스 입자는 힉스 메커니즘의 흔적 또는 부산물이다. 이 흔적을 통해 우리는 우주가 질량을 얻는 과정(힉스 메커니즘)이 실제로 작동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 ...
-
- 오직 근육의 힘으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하나 둘 격납고로 돌아왔다. 하지만 참가자들은 숙소행 버스를 타지 않았다. 격납고에 남아 대회가 시작되는 순간까지 밤새 항공기를 손볼 예정이라고 했다.치열한 설계 경쟁… 어떤 게 더 잘 뜰까이 대회는 오직 사람의 힘으로만 프로펠러를 돌려 비행해야 한다. 올해가 공식적인 1회 대회고, ... ...
-
- 나를 키운 건 팔할이 소변이었다 (정희선 전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원장 / 충남대 분석과학기술대학원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방법을 배우는 수확이 컸어요. 특히 그곳에서 만난 많은 사람들이 아직도 좋은 인연으로 남아 이곳저곳에서 저를 도와줬어요. 정말 잘 다녀온 유학이었습니다.” 승진의 아픔을 생쥐와 함께 한창 일에 빠져 있던 정 원장에게 가장 큰 시련이 닥쳐왔다. 5급 사무관 승진에서 두 번이나 미끄러진 ... ...
-
- INTRO. 세상엔 어떤 입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입에 이빨이 나 있는 모습이 괴기스럽다. 칠성장어는 먹장어와 함께 현재 유일하게 남아 있는 턱이 없는 어류다. 다른 물고기에 붙어 피를 빨아먹거나 시체를 파먹는다.➎ 달팽이달팽이의 입을 유심히 바라본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달팽이의 입에는 무려 수만 개의 미세한 이빨이 있다. 이 이빨은 ... ...
-
- 초원의 시간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징계위원회가 열리고, 몇 개의 직위에서 물러나야 했다. 그러고도 책임질 일이 한참 더 남아 있었다. 아무튼 모든 일정을 마무리하고 마침내 집으로 돌아가던 날, 윤희나는 집안에 들어서자마자 들리는 노크 소리에 방금 닫은 문을 다시 한 번 열어젖혀야 했다. 문밖에는, 혼자서는 들 수조차 없을 ... ...
-
- [hot science] 버섯으로 집을 짓는다고?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이용했다. 지금 이들은 이 집의 성능과 효율을 시험하고 있다. 과학적인 검증 남아이들의 버섯® 재료는 지난 5월 미국 환경청으로부터도 자금 지원을 받았다. 단열재와 절연체로 쓰는 또다른 플라스틱인 폴리우레탄을 대체할 플라스틱을 연구하기 위해서다. 에코베이티브는 새로운 균류를 연구하고 ... ...
-
- 6500만 년 전, 공룡이 사라진 땅에 작은 원숭이가 나타났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진화의 종착역이 아니었다. 아시아에서는 여전히 구세대 원숭이들이 진화하고 있었다. 남아메리카에서는 신세계 원숭이가 활개를 쳤고 마다가스카르에서는 원원류인 여우원숭이가 끊임없이 새로운 종을 탄생시키고 있었다. 오랑우탄과 긴팔원숭이도 꾸준히 서식지를 지켰고 고릴라와 침팬지도 ... ...
-
- 별 세계도 ‘저출산 고령화’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수명이 길다. 우주 초기에도 그랬다면 종족III에 속한 별 중 질량이 작은 별들은 아직도 남아 있어야 한다. 성환경 세종대 천문우주학과 교수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천문학자들은 종족III의 별은 모두 질량이 커서 오래 전에 소멸했다는 가설을 세웠다”고 말했다.질량이 태양의 100배 정도 되는 ... ...
-
- [해외취재] 피터팬 VS 후크 선장, 수학 예술로 네버랜드를 바꿔라!수학동아 l2013년 10호
- ‘바른’ 지역 근처의 대도시 ‘위트레흐트’에 있는 공동묘지 추모관에도 그의 작품이 남아 있다. “웬 공동묘지에 수학 예술작품이?”라고 의아해 할 수도 있지만, 이 작품은 삶과 죽음에 대한 에스허르의 고민이 담긴 뛰어난 2차원 평면 테셀레이션 작품이다.동심원 안에서부터 점점 크기가 ... ...
-
- [체험] 세상을 이끄는 수학 고수 4인방을 만나다!수학동아 l2013년 10호
- 영국의 수학자인 윌리암 번사이드가 1902년에 제기한 뒤, 대수학 분야의 최대 난제로 남아 있던 문제다. 젤마노프 교수는 무려 100쪽에 이르는 증명 끝에 이 문제를 풀어내 결국 1994년 필즈상을 차지했다.“번사이드 문제는 군론에서 다루는 문제 중 하나입니다. 군론은 대수학 분야로, 수학뿐만 아니라 ... ...
이전1221231241251261271281291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