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동아 X 긱블] '밸런싱체어' 파도야 쳐라, 네가 아무리 거세도 나는 흔들림이 없으니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안 어려워요 짐벌(gimbal). 아무리 손을 파르르 떠는 사람일지라도 카메라는 흔들림 없게 해주는 보조 장치.그래서 처음 본 사람은 최첨단 기술을 맛본 것 같아 ‘오오오오~’를 외칠 수밖에 없게 하는 마법의 장치. 이걸 의자에 껴보겠다는 아이디어는 두 쾌남이 만나 멋짐이 폭발하며 탄생했습 ... ...
- 코로나19로 전 세계가 비상!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코로나19가 전 세계를 위협하고 있어. 우리나라에도 감염자가 늘자 일부 학교들은 개학을 미루기도 한다는데….사태가 얼마나 심각하기에 학교도 문을 닫는 걸까? 코로나19, 전 세계를 흔들다!지난해 12월 31일, 중국 우한 위생건강위원회가 원인을 모르는 폐렴 환자 27명이 발생했다고 발표했어요. ... ...
- 범인 ‘탄소’를 잡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환경 재난을 막기 위해선 어떤 노력을 해야 할까? 그 중심에 바로 ‘탄소’가 있어. 범인 ‘탄소’를 잡기 위해선?! 지난해 11월, 영국 옥스퍼드 사전은 2019년 올해의 단어로 ‘기후 비상사태’를 선정해 화제가 됐어요.서울대학교 홍종호 교수는 ‘지구 온난화, 기후변화, 기후위기, 기후 비상사태 ... ...
- 텔레그램에 숨은 범죄자를 어떻게 찾아내나과학동아 l2020년 05호
- ◇ 꽤 어려워요 텔레그램은 절대 추적 못 하나?→특정 방 출입 정보는 서버에 남아이번 ‘n번방’ 사건에 사용된 텔레그램은 이미 해외에서 디지털성범죄의 도구로 사용된 사례가 있다. 2018년 초에는 불법 콘텐츠, 특히 아동 성 착취물이 텔레그램에서 공유되자 애플이 앱스토어에서 텔레그램을 ... ...
- [방구석 과학] 끓일수록 깊은 맛이? 가마솥 감바스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안 어려워요 유튜브의 취향저격 영상에 몸을 맡기고(?) 있던 어느 주말. 모든 음식을 가마솥으로 만드는 가마솥힙스터즈 채널이 눈에 들어왔습니다. 그중에서도 조회수 92만 회를 기록한 ‘가마솥 감바스’! 우리나라 전통 조리도구인 가마솥과 스페인 전통 요리 감바스의 만남이라니. 이 만남, ... ...
- [스쿨리포트 A+] 생활에서 궁금증 찾아 해결하기과학동아 l2020년 05호
- ❶ 교과 과정과학탐구는 과학을 공부하거나 연구할 때 꼭 필요한 과정입니다. 관찰과 기록, 조사, 자료 해석 등 기본적인 탐구 활동은 초등학교 때부터 대학원까지 모든 교육과정에서, 이후 과학자의 길을 걷는 동안에도 계속해서 수행하게 됩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고등학교 1학년 과정에 ... ...
- 영화 ‘다크 워터스’로 본 과불화화합물의 진실과학동아 l2020년 04호
- ◇ 술술읽혀요 | 과불화합물 세계적인 화학기업인 미국 듀폰(DuPont)은 1938년 테플론(Teflon)을 처음 선보였다. 당시에는 전차 표면을 코팅하기 위해 개발됐지만, 뛰어난 방수성과 화학적 안정성이 알려지면서 프라이팬 코팅에 사용되기 시작했고 이후 음식 포장 용기, 기능성 의류까지 활용범위가 ... ...
- [내 생애 첫 투표] 만 18세 ‘고교생 유권자’, 10대의 생각은?과학동아 l2020년 04호
- 2019년 12월 27일 국회 본회의에서는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법안으로 지정된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통과됐다. 개정안의 주요 내용 중 하나는 기존 만 19세였던 선거 연령을 만 18세로 하향 조정하는 것이다. 이날 개정안이 통과됨에 따라 올해 4·15총선부터 만 18세(2002년 4월 16일까지 출생자)에게도 ... ...
- [4·15 총선] 긴급 여론조사, 과학계 민심을 듣다과학동아 l2020년 04호
- 45억 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1월부터 새롭게 추진하는 ‘국민공감·국민참여 R&SD 선도사업’에 올 한해 투자하는 금액이다. 국민이 직접 문제를 발굴하고 연구자와 함께 문제해결 기획, 기술개발, 적용·확산까지 참여해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겠다는 것이 사업의 골자다. 이처 ... ...
- 기후물리연구단, 고기후 데이터로 밝힌 현생인류 최초 이주 경로과학동아 l2020년 04호
- ◇ 보통난이도 | 기초과학의 힘, IBS 그간 인류의 탄생과 이주 연구는 화석과 고고학 자료를 바탕으로 진행돼 왔다. 지금까지 에티오피아 등 동아프리카에서 20만 년 전 인류의 화석이 다수 발견됐고, 2017년 6월 북아프리카 모로코의 한 채석장에서는 약 32만 년 전 살았던 인류의 화석도 발견됐다. ... ...
이전1221231241251261271281291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