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세
지형
d라이브러리
"
땅모양
"(으)로 총 1,449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조새는 날았을까 걸었을까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시조새의 가슴뼈에는 날개를 움직이는 근육, 즉 용골돌기가 붙어 있다. 더불어 새와 같은 것은 깃털이 있다는 점이다.새들이 척추동물 가운데서 매우 높은 위치에 있는 것은 그들의 탁월한 비행 능력 때문이다. 이러한 뛰어난 능력은 오랜 세월동안 지속적인 발전의 결과다. 높이 재빠르게 나는 새 ... ...
이름 잘못 불리는 식물 12가지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우리의 아름다운 식물들이 TV나 신문잡지에 소개되는 일이 많아져 반갑다. 그러나 이때에는 반드시 전문가의 동정(同定)을 미리 받아 올바른 내용을 전달해야 할 것이다.억새와 갈대우리 식물 중에서 이름이 가장 잘못 알려져 있는 것은 '갈대'와 '억새'다. 가을 언덕위에 하얗게 나부끼는 억새를 ... ...
개불알꽃으로 더 잘 알려진 복주머니꽃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강원도 양구지역의 한 약재상에서 수백 촉의 복주머니꽃이 검정 비닐 안에 마늘단처럼 무더기로 담겨 있음을 본 적이 있다.큰 복주머니꽃(Cypripedium japoncium Thunb.)은 난과(Orchidaceae)의 복주머니꽃속(CypripediumL.)에 속하는 식물이다. 복주머니꽃속은 일명 개불알꽃속으로 불리며 북반구 온대에 약 40종이 ... ...
한국조류보호협회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새 소리 못듣는 인간의 삶 상상할 수 없다"지난 3월 한국조류협회는 국내에서 이미 멸종된 것으로 추정한 백두산의 텃새 호사비오리를 강원도 철원 민통선에서 발견, 아직도 그 흥분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호사비오리'를 보았거나 아는 사람은 드물다. 이 새는 국내 발행 조류도감은 물론 일본이 ... ...
바람·물·곤충과 함께 펼치는 암술·수술의 화려한 결합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생물체는 일정한 수명을 갖고 있다. 그러나 자손을 낳음으로써 생물체는 자신의 유전정보를 후손에 전달하여 자신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이 성의 분화를 통한 유성생식이다. 성의 구별이 생겼을 때 중요한 것은 바로 감수분열의 수행이며 이를 통해 모든 개체는 수없 ... ...
한반도 숲 식물들의 세력다툼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우리나라 숲정이에 커다란 변화가 일고 있다. 전통적인 가축식물인 대나무 상수리나무 소나무가 밀려나고 깡패식물인 아카시나무 리기다소나무가 주인 노릇을 하고 있다.전 국토의 67% 이상이 산지인 우리나라의 부락은 배산임수(背山臨水)형태로 발달해 왔다. 이것은 사람들이 가까운 거리에서 의 ... ...
앵초 큰앵초 깽깽이풀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70년대까지 서울 근교인 경기도 광릉이나 죽엽산 축령산 명지산 등에서는 앵초 큰앵초 깽깽이풀 등을 쉽게 볼 수 있었다.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식물들을 애써 찾아야만 볼 수 있을 정도로 멸종 위기를 맞고 있다. 앵초(Primula sieboldii Morren)는 앵초과(Primulaceae)에 속하며 전세계에 약 2백종이 자라는 ... ...
봄바람과 더불어 기지개 켜는 바람꽃의 일생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흔히 우리가 아네모네라고 부르는 바람꽃은 봄에 벌써 겨울을 생각한다.설악산정 바람받이의 신선한 곳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이 있다. 이 식물은 비교적 포기가 크고 높이 40cm 정도까지 자란다. 그리고 굵은 뿌리줄기에서는 많은 잎이 비스듬히 퍼지고 밑부분은 마른 잎자루가 겉을 둘러싸서 ... ...
망원경 조립·조정 요령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천체망원경은 가전제품들과는 달리 조립만 했다고 바로 사용할 수 없다. 무게균형 잡기, 파인더 시준, 극축과 광축맞추기 등 여러가지를 조정해야 한다.천체망원경을 구입해 집으로 가지고 와서 처음 포장상자를 풀어보면 여러가지 종류의 부속품들이 많이 들어있다. 같이 들어있는 천체망원경 조 ... ...
러시아 「인공 달」의 정체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인공달」, 즉 우주거울은 보름달 3~5개에 해당하는 밝기의 빛을 지상의 특정지점에 비추었는데···지난 2월 러시아의 과학자들은 광채나는 플라스틱 조각을 우주에 떠올리는데 성공했다. 이것은 밤을 낮으로 바꾼다는-적어도 일몰시간을 연장한다는-매혹적인 생각을 현실화한 첫번째 시도였다.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