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포
사격
방출
방사
저격
출산
분만
d라이브러리
"
발사
"(으)로 총 2,131건 검색되었습니다.
태권V 몸 속엔 뭘 담나?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엄청나게 큰 순간 가속도를 필요로 하고 이에 맞는 추진체가 필요하다. 로켓주먹을
발사
했다가 다시 제자리에 붙이기 위해서는 도킹 기술처럼 정밀한 유도 제어기술과 추진 기술이 필요하다.태권V가 비행하려면 엄청난 양의 연료와 추진체를 달아야 한다. 몸 안의 빈 공간들을 전부 연료로 채운다 ... ...
근거있는 엉뚱함을 키운다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논문작성 같은 개인과제 외에도 롤러코스터 만들기, 물풍선을 가장 멀리 날릴 수 있는
발사
체 만들기, 범죄현장에서 혈흔 찾기 등 다양한 수업을 듣는다. 모두 주어진 재료를 이용해 가장 좋은 결과물을 낼 수 있는 방법을 찾는 형식으로 정해진 대로 따라하기만 하는 학교실험과는 차이가 있다 ... ...
커플이 싱글보다 안전한 이유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있으면 반대로 총이 밀려나는 힘도 생긴다. 이 힘 역시 작용-반작용 쌍이므로 총알이
발사
될 때 총이 반대방향으로 밀려나 운동량의 합이 0이 되는 것이다. 물론 총이 더 무겁기 때문에 총이 밀려나는 속도는 총알의 속도보다 작다.이제 자동차 보조석에 사람이 있을 때 치사율이 낮은 이유를 따져 ... ...
문자를 음성으로 듣는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수심을 뚫고 날아 표적(대개 함선의 밑부분)에 명중하도록 돼 있다 어뢰는 함포에 비해
발사
장치가 간단하다페스트'라고도 불리는 흑사병은 간균인 페스트균이 일으키며 쥐벼룩에 의해 매개되는 전염병이다인간의 DNA에 있는 염기 중 1%미만이 유전 정보를 전달한다 DNA에서 핵 바깥으로 정보를 ... ...
러시아제 선내 우주복 입는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약 800ml의 소변을 흡수할 수 있고 냄새를 막는 기능도 한다.우주인을 태운 소유즈 호는
발사
한지 이틀 후면 고도 350km의 국제우주정거장에 도킹한다. 우리 우주인은 이곳에 1주일 정도 머물 예정인데, 그동안 티셔츠와 바지로 된 활동복(평상복)을 입는다.활동복은 우주정거장 안에서 생활하는데 ... ...
똑똑한 인공위성 만들기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크다”고 설명한다.중국도 뒤늦게 우주 사업에 뛰어들었지만 세계 3번째로 유인우주선을
발사
했고, 일본은 지구에서 2억 9000만km나 떨어진 소행성에 우주선을 착륙시켰다. 방 교수는 “우리도 할 수 있다”며 자신감을 내비쳤다.그는 1981년 서울대 항공공학과에 입학한 뒤 16년 동안 오직 한길만 ... ...
개미는 무엇으로 사는가 - 앤트워크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사는지 알아보기 위한 NASA의 실험 과정에서 탄생했다. 보통 흙으로 지은 개미집은 로켓
발사
와 대기권 진입 과정에서 무너지기 때문에 과학자들은 특수한 젤로 만든 개미집을 고안했다. 이 젤은 영양분과 수분을 포함하고 있어 우주 비행 중에 별도의 음식을 개미에게 줄 필요가 없다. 또 웬만한 ... ...
2. 모든 TV는 디지털로 통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Emission Display)가 꼽힌다. CRT를 얇게 눌러 만든 디스플레이로 볼 수 있다. CRT는 전자총에서
발사
된 전자들이 유리 안쪽에 발린 형광체를 때려 화면을 구현한다. 하지만 FED는 화소마다 전자총이 하나씩 있어 각각의 전자들을 제어할 수 있고, CRT에 쓰는 긴 튜브 모양 유리관이 필요 없어 TV를 얇게 만들 수 ... ...
챌린저호 폭발 원인은 통계의 오판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해 그때마다 접합 이상이 생긴 수를 미리 조사하기엔 비용부담이 크다. 실제 우주왕복선
발사
때 보고된 접합 이상 사례도 많지 않았다. 자료는 당시까지 나타난 접합 이상의 수와 그때의 기온뿐이었다.이런 현실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된 방법이 있다. 전체를 대표하는 표본(sample)을 수집해 그 ... ...
해저 2만리 과학 3만리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소리를 수중 마이크와 증폭기를 사용해 수동으로 탐지했다. 그러나 1918년에는 음파를
발사
해 잠수함에서 반사돼 돌아오는 소리로 잠수함을 찾을 수 있는 장비를 개발했다. 엔진을 끈 잠수함도 찾을 수 있게 됐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군은 음파탐지기(SONAR)를 사용해 독일의 잠수함 유보트(U-boat)에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