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식
일반생각
d라이브러리
"
보통생각
"(으)로 총 3,44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꿈의 기술? 아직 피지 못한 꽃?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전기저항이 0이 된다." 이 단순해 보이는 현상 하나가 세상을 어떻게 바꿀 수 있을까. 지난 100년 동안 초전도 현상을 실생활에 응용한 기술이 꾸준히 개발돼 왔다. 아직 초전도 현상을 이론적으로 완벽히 설명하지 못했는데도 새로운 초전도 소재를 만들었다는 소식은 꾸준히 들려온다. 응용이 이론 ... ...
니코틴보다 무서운 첨가제가 200개나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2월 15일 폐암 환자 김 씨와 가족 등 31명은 “30년 넘게 담배를 피워 폐암이 생겼는데 KT&G가 담배의 위험성을 충분히 알리지 않았다”며 국가와 KT&G를 상대로 손해 배상 청구 소송을 냈다가 패소했다. 2007년 첫 재판에 이은 고등법원 항소심이다. 재판부는 “흡연은 개인의 선택이므로 담배 회사가 배 ... ...
광펌핑 세슘원자시계 KRISS-1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손목시계는 1~2분 정도 틀려도 친구와의 약속시간을 지키는데 큰 문제가 없다. 스포츠 시합을 할 때는 100분의 1초까지 시간을 재는 정밀한 시계가 필요하다. 교통관리시스템의 시간 오차는 1000분의 1초, 휴대전화와 기지국은 10만분의 1초보다 작아야 한다. 인공위성항법장치(GPS)는 10억분의 1초 단위 ... ...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제 12 화 다시 만난 연월기지난 줄거리 - 지오 일행은 힘들여 완성한 연월기로 시간여행을 떠났으나 실패했고, 궁궐에서 쫓겨났다. 지오는 공주가 준 지도를 받고 연월기가 버려진 곳을 찾아 나서는데…….산은 골이 깊고 험했다. 먹빛 같은 어둠이 이미 산등성이를 점령한 터라 눈을 뜨고도 앞을 분 ... ...
PART 2 수학이 밝히는 자전거의 5가지 신비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우리가 찾지 않으면 결코 알 수 없는 자전거의 신비가 있다. 자전거의 본모습을 찾아 떠나는 여행. 수학이 가이드가 돼 줄 것이다. 하나둘 밝혀지는 자전거의 신비 속에 놀라운 자전거의 세계를 경험할 수 있다.하나 자전거 바퀴는 왜 둥글까? 세상의 모든 일에는 원인과 결과가 있다.그럼 자전거 바 ... ...
PART 1 미래 자전거의 4대 덕목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자전거가 다 똑같다는 생각은 버려라! 자전거의 미래는 무엇을 상상하든 그 이상이 될 것이다. 여기선 미래 자전거가 갖춰야 할 4대 덕목을 살펴보자! 4대 덕목만으로도 자전거의 미래를 충분히 엿볼 수 있다.① 휴대성 자전거 주차? 같이 다녀! 겨우내 움츠렸던 몸을 펼치고 자전거를 타러 야외로 ... ...
레이저 광선 흡수하는 ‘안티레이저’ 개발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빛을 내보내는 레이저가 아니라 빛을 흡수하는 ‘안티레이저’ 기술이 개발됐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광자를 사용하는 광학컴퓨터나 신개념 영상의학 장비 등을 개발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지 2월 18일 호에 소개됐다.미국 예일대 물리학자인 더글라스 스톤과 휴이 ... ...
국제동물농부협회 참관기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1874년 개미가 곰팡이 농사를 짓는다는 사실이 처음 발견된 이래 동물농부에 대해 많은 사실이 알려졌다. 지난 수년 동안 곤충뿐 아니라 물고기와 달팽이, 아메바 같은 다양한 생명체가 농부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를 토대로 ‘국제동물농부협회 창립총회’를 가상으로 꾸며봤다.사회자(개미): 오 ... ...
기계에도 근육이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헬스클럽에서 운동을 하다 보면 온몸이 불끈불끈한 몸짱 청년을 볼 수 있습니다. 보통사람은 움직이기도 힘든 역기를 몇십 번씩 번쩍번쩍 잘도 들어 올리지요. 역도 선수들은 한 번에 200kg이 넘는 무게를 머리 위로 들어 올리곤 한다니, 사람이 낼 수 있는 힘이 결코 작지 않다는 생각을 했습니다.실 ... ...
수학으로 쏙쏙 밀어 넣는 포켓 당구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색색의 화려한 15개의 공과 빨간 연지를 찍은 1개의 하얀 공. 일정한 규칙에 따라 공을 구멍(포켓)에 넣는 게임을 우리는 흔히 ‘포켓볼’이라고 부른다. 영국에서 귀족들의 사교 게임으로 시작된 포켓 당구는 최근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대중 레포츠로 발전해 왔다. 특히 당구는 올해 열리는 제92회 전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