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볼"(으)로 총 10,57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용어 따라잡기] 크레이터, 발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crater)달을 크게 찍은 사진을 보면 달 표면에 움푹 파인 구덩이들이 잔뜩 있는 것을 볼 수 있어요. 이런 구덩이들을 가리켜 ‘크레이터’라고 부른답니다. 1791년, 독일의 천문학자인 슈뢰터가 ‘그릇’을 뜻하는 그리스어에서 본떠 붙인 이름이지요. 크레이터는 운석 충돌이나 화산 폭발 등으로 ... ...
- 지구 떠난 지 8개월 천리안 2B호가 보낸 영상 편지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최초로 공개됐다. 그리고 내년부터는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 홈페이지에서 누구나 볼 수 있다. 천리안 2B호에 실린 탑재체가 제 기능을 하려면 두 탑재체가 원하는 지역을 정확히 포착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위성이 우주로 나가면 지구에서 예상할 수 없는 변형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 ...
- Science Festival│ SF가 그린 디스토피아? 두려워 말고 준비하세요!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유럽 일부 사람들의 표정 데이터만 학습한 인공지능이라면 그 외의 사람들의 표정을 볼 때 사실과 다르게 판단할 수도 있습니다. 기술이 발달한 나라들이 주로 선진국들이다 보니 그 나라에서 신경 쓰는 문제들 위주로 기술이 발전해 갈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과학기술 연구자들만큼은 소외된 ... ...
- [과학동아 X 긱블] 물수제비 기계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않는 찰흙을 사용했습니다. 이 정도면 환경부 장관상쯤은 받겠네요. 자, 이제 던져볼 시간! 물수제비 기계를 끌고 근처 강가로 향했습니다. 받침대를 멋지게 펼치고, 그 위에 앉아 포즈도 잡아봤습니다. 입사각은 대충 어림잡아 맞췄습니다. 첫 번째 찰흙 덩어리를 장전하고 잭키 님이 힘차게 ... ...
- [기획] 즉문즉답. 슈넵스 박사에게 묻다!수학동아 l2020년 11호
- 1000만 명 가운데 0.01%에게 일어나는 일이라면 여러분은 ‘그런 일’을 1000번이나 볼 수 있다는 뜻이에요! 이건 전혀 드물지 않죠. 확률은 다른 사람을 조종하는 데 자주 쓰이니 숫자에 현혹되지 말고 늘 객관적으로 생각하고 경계심을 가지세요. 마무리 수학의 오용, 전문가에게만 미뤄선 안 ... ...
- 고생대 최강 어류, 둔클레오스테우스...턱 힘으로 오른 ‘끝판왕’ 자리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박물관을 찾을 수 없는 상황에 대비해 집에서 둔클레오스테우스 모형을 직접 만들어볼 수 있는 키트도 개발했다.전시 제작을 총괄하고 키트를 개발한 이항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박물관 선임연구원은 “둔클레오스테우스 턱의 구조와 힘은 둔클레오스테우스가 왜 데본기 먹이사슬 최상위 ... ...
- [2교시 실험편] 즐거운 실험시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다양한 과학 실험 영상이 있어요. 초등학교 3~6학년 과학교과서에 나오는 모든 실험을 볼 수 있지요. 아! 아꿈선은 ‘아이들에게 꿈을 선물하는 선생님들의 모임’의 줄임말이에요. 전국 60여 명의 선생님이 교육 영상을 만들고 있어요. 단원의 내용을 짚어보는 ‘단원송’도 있지요. 지난해부터는 ... ...
- [팩트체크] 인공물과 새의 충돌, 막을 수는 없을까?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님) 이번 호에선 조류의 충돌 사고와 그 대책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새는 생활사적인 측면에서 크게 철새와 텃새, 나그네새, 길잃은 새 등 네 가지 종류로 구분합니다. 철새는 매년 반복적으로 우리나라를 찾아오는 새입니다. 도요물떼새처럼 호주에서 한반도로 날아와 ... ...
- [기초과학의 힘, IBS] 나노입자 연구단, 원자 수준으로 관찰하는 나노입자의 3D 증명사진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들면 촉매 반응에 사용했을 때의 활성도나 양자점을 구현했을 때 광학적 성질을 계산해볼 수 있다. 무엇보다 이번 연구로 나노입자 분야의 응용 연구와 이론 연구의 괴리를 메울 수 있게 됐다는 데 큰 자부심을 느낀다. 그동안 과학자들은 나노입자의 실제 구조를 정확히 알 수 없어 이론 연구자들이 ... ...
- [스쿨리포트 A+] 직접 할 수 없는 과학 실험, 가상 탐구 포스터 제작하기과학동아 l2020년 10호
- ◇ 술술읽혀요 | 스쿨 리포트 A+ ⑨ ① 교과 과정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고등학교 1~2학년을 대상으로 과학적 이론을 습득하고, 탐구와 ... 구체적으로 표현되는 겁니다. 포스터를 보고 해당 조의 가상 탐구 활동을 떠올려 볼 수 있을 정도로 탐구 과정을 간결하게 서술해야 합니다 ... ...
이전1221231241251261271281291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