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골
뼈대
뼈다귀
뼉다귀
d라이브러리
"
뼈
"(으)로 총 1,603건 검색되었습니다.
사하라에서 새로운 공룡 발견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짧은 목을 가지고 있다. 요바리아 티구이덴시스는 복잡한 척추
뼈
를 가지고 있지만 등
뼈
와 꼬리는 북미지역에서 발견되는 용각류인 디플로도쿠스와 아파토사우루스에 비해 단순하다.탐사팀에 의해 발견된 다른 공룡은 니제르사우루스 타쿠에티(Nigersaurus taqueti)로 명명됐다. 몸길이는 15m 정도로, ... ...
목 비튼 채 통화하면 위험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공급하는 혈관인 경동맥 내부의 벽이 찢어져 있음을 발견했다. 가느다랗고 날카로운
뼈
(경상돌기)가 경동맥에 직접 닿았기 때문이다. 사람에게는 누구나 귀 아래와 턱 뒤에, 두개골의 양쪽 측면에 돌출한 두개의 경상돌기가 있다. 그런데 이 정신과 의사의 경우 경상돌기 하나가 비정상적으로 ... ...
침팬치는 진화해도 인간이 될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중심을 잡아당겨 몸의 균형을 유지시키는 구실을 한다. 유인원에게는 이와 같은 엉덩
뼈
와 힘살이 없어서 두발로 걸을 때 온몸이 좌우로 움직인다.물론 몸집의 크기로 사람과 유인원을 구분할 수도 있다. 침팬지는 암·수의 차이가 별로 없으나, 고릴라와 오랑우탄은 그 차이가 크다. 사람은 성에 따른 ... ...
공룡들의 IQ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달릴 때 평형추 역할을 해 기동성을 높여준다.데이노니쿠스의 매끈한 목과 가벼운 머리
뼈
는 재빠르게 먹이를 베어 물 수 있는 이상적인 형태이다. 그런데 이빨들은 입 안쪽으로 향하고 있어 고기를 자르는데는 효과적이었지만 실제 사냥감을 죽이는데는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했다. 진짜 무기는 ... ...
병원에서 방사선을 쓰는 이유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방사선을 이용하면 몸의 이상을 파악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대표적인 것이 X선 촬영.
뼈
가 부러졌을 때 찍어보는 것이 이것이다. X선의 투과율이 어떤 물질이냐, 밀도가 얼마이냐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이용하면 훨씬 많은 정보를 알 수 있다. X선 단층촬영법(CT)은 이런 성질을 이용해 컴퓨터로 몸 ... ...
2. 1백년 후 한국인 얼굴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기능이 퇴화할 수밖에 없다.무른 음식 탓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부위는 아래턱
뼈
다. 최근 10여년 간 턱의 폭과 길이가 5% 정도나 줄었다. 외관상 턱 끝이 이전보다 뾰족해졌다는 의미다. 음식이 무른 이유도 있겠지만 열풍처럼 번지는 다이어트 때문에 현대인들이 지나치게 입을 쓰지 않는게 ... ...
의학혁명 일으킨 방사선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수 있게 했다. 전투를 하다가 다친 병사의 몸에서 폭탄 파편을 찾아주었고, 어느 부위의
뼈
가 부러졌는지도 알려주었다. 그래서 X선 촬영은 병원에서 필수코스로 인식되고 있다. 물론 X선 촬영을 많이 하면 몸에 좋지는 않다.프랑스의 여성물리학자 마리 퀴리(1867-1934)는 방사성물질인 라듐을 연구해 ... ...
공룡탐사의 천국 몽골 고비사막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화석들은 현재 중국의 척추고생물고인류연구소에서
뼈
를 추리는 작업이 진행 중이다.
뼈
의 처리가 끝나면 본격적인 학술 연구가 시행되어 흥미로운 결과가 밝혀질 것임에 틀림없다.몽골 국제공룡탐사는 필자에게 아쉬움 또한 없지 않았다. 우리나라를 대표하지 못하고 일본팀의 일원으로 참가했기 ... ...
3. 유전공학으로 탄생할 21세기 신한국인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정상적인 삶을 누릴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1983년 충북 청원군의 한 동굴에서 흥미로운
뼈
화석이 발견됐다. 약 4만년 전 구석기 시대에 살았다고 추정되는 5살짜리 어린아이의 유골이었다. 처음 발견한 광산 직원(김흥수)의 이름을 따 ‘흥수아이’라고 불리는 유골의 주인공은 어떤 모습일까. ... ...
제주도에 자연과학박물관 짓는 금속공예가 이종옥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모으던 조개가 어느덧 집안 창고를 가득 채울 무렵 그의 주위에는 조개뿐 아니라 공룡알,
뼈
, 곤충, 조류 등 다양한 자연사 자료도 함께 있었다.“외국의 자연사 박물관을 보고 왜 우리나라에는 이런 것이 없을까 하는 생각이 먼저 들었지요.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국가가 하지 못한다면 나라도 할 수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