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확"(으)로 총 5,43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공룡은 왜?] 날카로운 발톱과 긴 주둥이로 휙휙! 바리오닉스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중생대에 살았던 공룡들은 그 종류만큼이나 먹잇감도 다양했어요. 그중에서도 바리오닉스는 물고기를 사냥해 먹고 살았다고 알려져 있지요. 그 이유는 사냥에 적 ... 매우 다양하지요. 앞으로 바리오닉스의 뼈화석이 많이 발굴되어 바리오닉스의 비밀이 더 정확하게 밝혀지길 기대해 봐요 ... ...
- Part 3. 스마트폰만 있으면 나도 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부분일식을 관측하는 사람 모두 데이터를 올릴 수 있어요. 그래야 두 정보를 비교해 더욱 정확하게 태양에너지가 지구 대기에 미치는 영향을 계산할 수 있거든요. NASA의 린 챔버 박사는 “이번 일식 동안 1만 500명 이상의 시민들이 데이터를 올려 줬다”고 전했어요. 이어 “아직 이번 데이터를 분석 ... ...
- Part 5. 개기일식을 만들어라! 인공 개기일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시간이 훨씬 길 뿐만 아니라, 우주에서는 대기의 산란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관측 정확도도 높지요. 한편,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우주항행학과 시모네 다미코 교수는 오리가미 방식의 접는 우주선으로 인공 일식을 계획하고 있어요. 관찰대상은 태양계 밖에 있는 외계행성이에요. 외계태양과 ... ...
- [헷갈린 과학] 주머니 속에 새끼를 쏙~! 캥거루 VS 왈라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이 때문에 최고 속력도 시속 48km 정도로 캥거루보다 느리지요. 이빨을 비교하면 가장 정확하게 캥거루와 왈라비를 구별할 수 있어요. 왈라비는 캥거루와 달리 위턱 셋째 앞니에 세로로 홈이 나 있고, 어금니 앞끝에 튀어나온 부분이 있거든요. 하지만 일반 사람들이 이빨을 보기는 어렵답니다. 다만 ... ...
- Part 4. 바닷속 도시를 만드는 수중건설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수중로봇 중에서도 개발하기가 가장 까다로워요. 나사를 조이고 플러그를 끼우는 등 정확하게 힘과 방향을 조절해야 하는 일이 대부분이기 때문이에요. 따라서 도구를 정교하게 사용하는 것은 물론이고, 조류에도 흔들리지 않고 작업할 수 있어야 하지요.이를 위해 수중로봇복합실증센터에서는 ... ...
- Part 3. 폭염, 막을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수분, 지형적인 특징과 같은 작은 규모의 자료들까지 수집할 예정이지요.이를 통해 훨씬 정확한 기후 예측 모델을 만들 거예요. 또 이 자료들을 처리하기 위해 인공지능을 도입할 예정이지요. UNIST 도시환경공학부 이명인 교수는 “폭염 예보가 하루 빨라질 경우 피해자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다”며, ... ...
- [공룡은 왜?] 골반 뼈가 넓으면 암컷? 공룡의 암수 구별법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수 있는 표본들을 많이 찾아서 같은 부위의 뼈를 분석하고 비교해야만 암수 차이를 정확하게 알 수 있을 거예요.●상완골 : 어깨에서 팔꿈치까지 이어지는 긴 뼈. 골판이 좁으면 암컷이다?◀ 수컷(위쪽 사진)의 골판을 넓고, 암컷(아래쪽 사진)의 골판은 좁은 형태다.2015년 4월 영국 브리스톨대학교 ... ...
- Part 3. 유전자 변형 기술로 모기 박멸을 꿈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일이 쉽지 않았어요.그러던 중 2013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조지 처치 교수팀이 이전보다 정확하게 유전자를 잘라내거나 원하는 유전자를 집어넣을 수 있는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기술’을 개발하면서, 모기 유전자 변형 연구의 속도가 빨라지게 됐어요. 타겟 말라리아 팀뿐만 아니라 여러 ... ...
- [쇼킹 사이언스] 빙하가 피눈물을 흘리고 있다?! 피의 폭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들어와 만을 이룬다.하지만 바다로 추정되는 지역이 빙하에 꽁꽁 숨겨져 있다 보니 정확한 근거를 찾아내기가 어려웠어요. 이에 미국 콜로라도칼리지 제시카 베즐리 연구원팀은 전파 음향 측심법을 이용해 빙하 속 지형과 물이 실제로 있는지를 알아봤지요.‘전파 음향 측심법’은 박쥐가 초음파를 ... ...
- [Focus News] 피내용과 경피용 뭘 맞아야 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눌러 접종한다. 그래서 접종 직후 18개의 작은 자국이 남는다. 피내용 BCG 백신은 정확한 양을 주사할 수 있으며, WHO에서 추천하고 있다. 반면 경피용 BCG 백신은 흉터가 적게 남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백신의 효과에서는 피내용과 경피용 사이에 큰 차이는 없다는 입장이다 ... ...
이전1221231241251261271281291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