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대
줄거리
요점
개요
개략
스토리
d라이브러리
"
줄기
"(으)로 총 1,425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람·물·곤충과 함께 펼치는 암술·수술의 화려한 결합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이때 꽃가루관은 다만 하나의 세포가 길게 자라게 된다.이와같은 길이생장은 식물의
줄기
나 뿌리가 일정한 생장부위의 세포가 길이생장을 하는 것과는 다르다. 또한 이 꽃가루관의 길이 생장을 하는 세포는 선단부에만 원형질이 있고 긴 액포가 자리를 잡고있다. 그리고 이 꽃가루관이 계속 자라는 ... ...
라플레시아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속 낙엽에 뒤덮인 포도과의 야생 덩굴이나 큰 나무에 뻗어올라가는 덩굴 식물의 낮은
줄기
부분에 달랑 올라 앉아 꽃을 피운다.동물의 발이나 곤충에 의해 전파되는 씨는 어떤 덩굴에 박힐 때 비로소 싹을 틔우는데, 덩굴 속에 있는 기간이 1년내지 1년반이나 된다. 씨앗에 배꼽같은 자리가 생기면 ... ...
한반도 숲 식물들의 세력다툼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꽃을 피울 방도조차 없는 것이다. 그리하여 대나무는 마침내 사람의 눈에 띄지 않는 땅속
줄기
로 자죽(子竹)을 만들어 번식하는 게릴라전략(guerilla strategy)을 터득한다.그러나 이 전략에 의한 대나무만의 지하공간 점유는 수요(需要) 영양원소의 동일성과 지상에서 공급되는 영양원(대나무의 낙엽)의 ... ...
고도의 치료법을 터득한 침팬지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등에 시달린다. 이 때 한 침팬지가 땅에 떨어진 나뭇잎을 주워서 일부는 뜯어내고 잎
줄기
를 중심으로 10㎝ 정도를 남겨 콧구멍에 집어 넣었다. 잠시 후 재채기와 함께 코가 풀려 나갔으며 침팬지는 매우 시원한 표정을 지었다고 한다.그 후 이 침팬지는 똑같은 행동을 하는 것이 3번이나 목격됐다. ... ...
봄바람과 더불어 기지개 켜는 바람꽃의 일생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그 지상부가 자란다. 보통 높이 45cm 정도까지 자라며 잎은 대가 없고 잘게 갈라진다. 원
줄기
끝에 한개씩 달려 있는 꽃의 지름은 6cm 정도인데 빨강 자주 보라 하양 파랑 및 그밖의 많은 원예품종이 개발돼 있다.이 꽃 역시 꽃받침과 꽃잎의 구별이 없다. 꽃받침은 6~13장이지만 대개는 6장이며 야생종은 ... ...
앵초 큰앵초 깽깽이풀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쓰는 조황련(朝黃蓮)은 깽깽이풀의 뿌리
줄기
를 말린 것이다. 한방에서는 가을에 땅속
줄기
를 채취, 그늘에서 말려 약재로 사용한다.이러한 효용가치가 무분별한 채취를 불러 일으켜 안타깝기 짝이 없다. 1군(郡) 1휴양림 조성계획에 따라 자연휴양림지역으로 바뀐 숲속의 식물 생태계가 상처를 입지 ... ...
물과 빛으로 쇠를 자른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만들어진 고압수는 밸브를 통해 노즐로 공급되는데 노즐에서 나올 때는 마하 2 이상의 물
줄기
로 분출된다.연마재를 혼합한 워터제트는 연마재 공급방식에 따라 습식과 건식으로 구분된다. 습식은 미리 연마재를 물과 섞어서 슬러리(slurry) 형태로 공급하는 방법으로 절단성능이 뛰어나지만 장치가 ... ...
디스크와 파일의 중개인 디렉토리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미국 역사가 겨우 2백년 정도밖에 되지 않으니까 족보를 뿌리에서
줄기
가 나오고
줄기
에서 가지가 나오는 나무가지 모양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특히 한 인물에 대해서 연구하거나 조사할 때 반드시 가계도가 등장한다. 이렇게 익숙한 그림에 디렉토리의 계층성을 결합시켜 만들어낸 ... ...
21세기를 체험하며 배운다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볼 수 있다. 이 탑의 이름은 한빛탑. "지혜로운 과거를 바탕으로 현재와 미래를 잇는 한
줄기
빛"이란 의미를 담고 있는 이 탑은 한국화약그룹에서 1백20억원을 들여 건립하고 있다.「빛의 과학」으로 환상적 분위기 연출우선 외형을 살펴보면 높이는 93엑스포를 상징하는 93m. 관람객들이 올라가서 ... ...
3 기후와 토양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염기는 A층에서 순환된다.초본식물도 석회화작용을 돕는다. 풀은 매년 고사하는
줄기
와 잎으로도 유기물을 공급하지만, 뿌리의 형태로 토양층에 직접 추가하는 유기물의 양도 적지않다. 건조기후하에서는 미생물의 활동이 부진하여 유기물의 분해속도가 느리므로 부식(腐植)이 풍부하게 집적된다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