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징후
징조
조짐
증후
병상
용태
병세
d라이브러리
"
증상
"(으)로 총 1,387건 검색되었습니다.
근시·원시·난시를 수술로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난시의 출현, 근시의 잔존 등이 보고되고 있으나 그리 심각한 것은 아니다. 수술 후 자각
증상
(自覺症狀)으로 눈부심, 시력의 변동(오전에 호전, 오후에 감퇴) 등이 올 수 있다. 특히 한쪽만 수술했을 때는 두눈의 부동시현상이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정신질환이 있는 환자를 수술한 경우에는 ... ...
PART II 5대암의
증상
과 예방책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기술을 이용해 간암세포에서 B형바이러스의 암유전자를 발견함으로써 증명됐다.간암의
증상
은, 대부분 환자가 간경변증과 합병해 발생하므로 간경변증으로 생각하고 있다가 암의 크기가 커지면서 간비대 황달 복수 등으로 나타난다.간암에 의한 사망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간암 위험이 있는 B형 ... ...
VDT노동자 안질환호소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사물이 안보인다 △눈꺼풀이 떨린다 △색 감각이 이상해진다 △소화가 안된다 등이 주요
증상
으로 나타났다.VDT작업후 안질환증세를 나타내는 시기는 2~4시간이 43%로 가장 많았고 2시간이내도 32%나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모니터의 크기별로는 14인치이상을 사용하는 근로자가 그 이하의 모니터를 ... ...
잠의 건강학 수면시간의 「적정선」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시간이 늦게 지나가는 것처럼 느끼다가 나중에는 시간분별을 못하게 된다"고 '불면
증상
'을 들려준다.불면의 '골'이 깊어지면 생각이나 말도 자주 틀리고 대화도중에 말을 갑자기 끝내 거나 횡설수설하게 된다. 또 머리 둘레에 모자를 쓴 것 같은 기분이 들고 자신이나 주위가 변한 느낌을 받게 된다. ... ...
약물중독 유전될 수도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이유로 우울증에 빠진 사람이 코카인 등 자극제를 복용하면 도파민의 양이 늘어나 우울
증상
에서 벗어날 수 있다.하버드의대의 에드워드 캔치안박사는 비만과 우울증 때문에 약물복용을 시작, 심한 코카인중독자가 된 20대 여인에게 리탈린(ritalin)이라는 자극제를 투여해 코카인을 끊고도 정상적인 ... ...
달라진 천리안Ⅱ 서비스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있다.■ 자가진단서울대 병원에서 제공하는 정보로 일상생활에서 흔히 발생하는 질병과
증상
에 대해 일반인의 수준에서 스스로 일차적인 판단을 내릴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에따라 가정수준에서 치료할 수 있는 자가치료법을 제공하거나 병원방문 등을 권고함으로써 불필요한 의료기관방문을 ... ...
알츠하이머병의 원인 밝혀져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기억력상실 치매 등의
증상
을 일으키는 알츠하이머병을 퇴치할 수 있는 실마리가 최근에 제시됐다. 뇌조직에 생긴 비정상적인 플라크와 섬유성 사상체(filament)가 이 병과 명백하게 관련이 있음을 밝힌 것이다. 이 연구의 주역은 미국 캘리포니아대학 샌디에고 분교의 신경물리학자 스티븐 영과 ... ...
PARTⅡ 무엇이 정보사회를 가로막는가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증상
도 유발한다. 하루 4시간 이상 화면앞에서 작업을 하는 사람들중 많은 수가 이러한
증상
을 호소하고 있다.VDT 증후군의 예방·치료법은 아직까지 정확하게 나와있지 않다. 그 원인에 대한 규명이 철저하게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다만 VDT작업시에 피로도를 줄이는 작업자세나 적당한 휴식시간 ... ...
Ⅴ 식물호르몬─생로병사의 열쇠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그후 그는 체계적으로 식물생장에 미치는 석탄가스의 효과를 조사, 에틸렌만이 수평생장
증상
을 유발시킨다고 발표했다. 이때 에틸렌은 0.06ppm의 극소량으로도 수평생장을 일으켰는데, 이 가스를 제거했더니 곧 정상적인 수직생장으로 회복됐다.그후 에틸렌은 생장저해제로 널리 쓰이고 있다. ... ...
손에 땀을 쥐는 이유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땀의 증발로만 체내 열을 낮출 수 없어 체온이 급격히 상승해서 신경계통에 중독
증상
이 나타난다. 즉 신경세포의 활동이 장애를 받고 뇌의 시상하부의 체온 조절 기능이 장애를 받아서 혈압이 떨어지고 소변이 나오지 않게되며 황달 증세가 나타난다. 그 결과 콩팥과 간에 심한 손상을 받아 사망하는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