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참여"(으)로 총 4,366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AI는 인간의 ‘후배’인가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물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삼성전자에서 21년간 메모리반도체 분야 연구 개발에 참여했다. 상무로 퇴직한 뒤 연구자로서의 꿈을 펼치기 위해 2016년 9월 중국으로 향했다. 현재 중국 칭화대 전자공학과 교수 및 인공지능센터 연구원으로 인공지능용 소자 연구를 하고 있다.hongsikjeong@tsinghua.edu ...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꿈과 자부심으로 원자핵공학 한 길과학동아 l2018년 08호
- 큰 자부심을 느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성실한 내신 관리 - 16학번 김민교인터뷰에 참여한 학생 중 최고학번인 김민교 씨는 일반고인 인천 학익고를 졸업하고 수시 지역균형선발전형으로 입학했다. 중학교 2학년 때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폭발 사고를 보면서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에너지에 대해 ... ...
- Part 5. 연구자와 대중 모두를 위한 ‘수학의 집’수학동아 l2018년 08호
- 과학자가 나오는 영화를 상영하고, 실제 과학자가 연사로 나서 내용을 설명해주고 참여자와 토론합니다. 수학으로 만든 예술 작품으로 전시도 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은 1900년대 초, 독일의 회사 마틴 실링에서 만든 것이고, 일부는 파리 고등사범학교(ENS)에서 기하학을 가르치던 교수 조셉 까롱이 ... ...
- 이화여대 뇌·인지전공장학생 정지원 - “진로 정한 뒤 ‘올인’”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융합학부인 만큼 자신이 융합학부에 적합한 인재임을 보여줄 수 있는 활동에도 참여했다. 대표적인 것이 2016년 참가한 ‘전국 청소년 과학탐구대회’다. 그는 융합과학 부문에 참가해 은상을 받았다. 정 씨는 “자기소개서에 대회명과 수상 내역을 명시할 수는 없지만, 대신 대회에서 했던 활동과 ... ...
- [Culture] 화성에서 살아남기 위한 생존전략 3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약 1200명이 대원들이 모의 훈련을 마쳤다. ‘갈릴레오’ 팀은 6월 5일부터 196기 대원으로 참여했다.MDRS는 화성의 환경을 모방한 장소일 뿐이지만, 실제 인류가 화성에서 생활하게 될 시점 역시 그리 멀지 않았다. NASA는 화성 탐사를 위해 강력한 추력을 가진 로켓 ‘우주발사시스템(SLS)’을 개발하고 ... ...
- [Career] 세상을 바꾸는 코딩에 도전하자, 넥슨 청소년 프로그래밍 챌린지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문제를 출제한다. 이를 위해 상당한 공을 들인다. 넥슨 개발자들이 직접 출제위원으로 참여하고, 대학의 수학과 교수 등 연구자들과 태스크포스(TF)를 꾸려 NYPC 전용 문제를 고안한다.넥슨의 인기 게임에서 아이디어를 얻기도 한다. 지난해에는 온라인게임 ‘마비노기’에 나오는 캠프파이어를 ... ...
- [Culture] 20년 만에 다시 태어난 익산 미륵사지 석탑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위한 행위는 항상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다.20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이 프로젝트에 참여했던 모든 사람들의 땀과 열정은 석탑에 고스란히 남아 온기를 전하고 있다. 미륵사지 석탑이 새로운 역사를 맞이한 지금 탑은 제자리에 남아 앞으로도 수백 년 이상 그 고귀한 생명을 이어가고, 우리들은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8] 인류의 역사를 바꾼 화학반응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넣어주는 만큼 이온의 수가 증가한다. 마찬가지로 염화 이온(Cl-)도 반응에 참여하지 않으므로 그 수가 처음만큼 일정하게 유지된다. 산과 염기가 반응하는 중화반응에서 중화점을 찾는 방법은 다양하다. 지시약을 이용할 경우 지시약의 색깔이 갑자기 변하는 지점이 중화점이다. 전기전도도를 ... ...
- [Issue] 양서류 흑사병 발원지가 한국?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면역 수용체 찾아내이번 연구에는 브루스 월드만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가 참여해 항아리곰팡이가 한국에서 시작된 것을 밝히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한국에서 채집한 항아리곰팡이 시료가 가장 유전적 다양성이 높다는 사실을 확인했고, 항아리곰팡이가 국제적인 문제를 일으키기 훨씬 전인 ... ...
- [Issue] 빅데이터 하나로 미래 도시 탈바꿈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물리학과 박사학위를 받고, 삼성전자에서 21년간 메모리반도체 분야 연구 개발에 참여했다. 상무로 퇴직한 뒤 연구자로서의 꿈을 펼치기 위해 2016년 9월 중국으로 향했다. 현재 중국 칭화대 전자공학과 교수 및 인공지능센터 연구원으로 인공지능용 소자 연구를 하고 있다.hongsikjeong@tsinghua.edu ... ...
이전1221231241251261271281291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