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d라이브러리
"
학술
"(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상처엔 꿰매지 말고 ‘엘라스틴’ 하세요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뒤 이 접착제로 붙이는 실험에 성공했으며, 임상시험을 앞두고 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중개의학’ 10월 4일자에 실렸다. doi:10.1126/scitranslmed.aai746 ... ...
[과학뉴스] 빨리 배부르고 싶다면 OOOO 먹어라!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찾았다. 영국 워릭대 연구팀은 특정 아미노산이 포만감을 좌우한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
지 ‘분자 대사학’ 8월 30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뇌척수액에서 당을 인식해 뇌로 신호를 전달하는 띠뇌실막세포(tanycyte)라는 뇌세포에집중했다. 연구 결과 이 세포가 당뿐만 아니라 아미노산도 인식할 ... ...
[과학뉴스] 아프리카인 피부색 결정 유전자 확인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흔히 아프리카인의 피부색은 검다고 표현하지만, 실제로는 검은색의 정도가 다양하며 이런 피부색 차이를 유발하는 유전자 변이가 새롭게 확인됐다. ... 피부색과 관련한 유전자 변이가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10월 12일자에 실렸다 ... ...
[과학뉴스] 오징어 위장술 모방한 신소재 개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낙지나 오징어 같은 두족류는 피부의 질감을 바꿔 주변 환경과 비슷하게 위장한다. 최근 이를 모방해 신축성 있는 소재의 표면 질감을 바 ... 모양을 빠르고 쉽게 제어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10월 13일자에 실렸다.doi:10.1126/science.aan562 ... ...
[과학뉴스] 지진 규모 예측할 단서 찾았다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단층이 파열되기 시작할 때 나타나는 특수한 패턴을 발견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9월 22일자에 게재했다. 현재까지 지진 예측은 불가능하다는 것이 대다수 지진학자들의 중론이었다. 하지만 최근 지진을 발생시키는 단층 파열이 특정한 패턴을 따라서 일어난다는 연구 ... ...
[Issue] 잘 나가는 크리스퍼 ‘처녀생식’ 논란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질환을 야기하는 돌연변이 유전자를 교정하는 데 성공했다. 이 내용은 올해 8월 2일 과학
학술
지 ‘네이처’ 온라인판에 처음 공개됐다. 인간 배아에서 유전자 가위 기술을 최초로 성공시킨 사례는 올해 3월 중국 연구진이다. 여기에는 인간 배아 6개가 사용됐다. 김 단장과 미탈리포프 교수 ... ...
[Origin] 이기적 유전자는 왜 중요한가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발견한 것을 널리 알리는 일을 하죠.” ‘이기적 유전자’가 학계에 독창적인 공헌을 한
학술
서가 아니라, 다른 과학자들의 연구를 산뜻하게 포장한 대중서일 뿐이라는 인식은 윌슨 뿐만 아니라 많은 이들에서 엿볼 수 있다. 고등학교 생물교사이기도 한 조진호 작가는 ‘판타스틱 과학 ... ...
[과학뉴스] 왜행성 ‘하우메아’서 고리 발견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IAA) 등 국제공동연구팀은 하우메아를 관찰한 결과 고리가 있다는 사실을 국제
학술
지 ‘네이처’ 10월 11일자에 발표했다. 하우메아는 해왕성 너머에서 2003년 처음 발견된 천체로, 국제천문연맹(IAU)은 2008년 이를 왜행성으로 분류했다. 왜행성은 태양 주위를 공전하며 천체 모양을 구형 또는 ... ...
Part 1. 北 핵실험, 백두산 분화 가능성은?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2016년에는 북한 측 백두산 지하에 용융 상태의 마그마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혀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4월 15일자에 발표했다. 오펜하이머 교수는 “(북한의 6차 핵실험 직후) 전 세계 언론으로부터 북한의 핵실험이 백두산 분화에 영향을 미칠지 묻는 e메일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 ...
[Career] 국내 뇌과학 연구의 미래를 엿보다 고려대 ‘뉴런(NEW LEARN)’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생겨나고 있는 만큼 뇌과학 동아리 커뮤니티를 만들고, 이들과 연합해 대학생 뇌과학
학술
대회 개최하는 게 목표다. 현재 연세대 뇌과학 동아리와 연합을 준비 중이다. 한양대, KAIST 등과도 함께 할 수 있는 활동을 구상하고 있다. 고등학교 뇌과학 동아리와의 연합도 추진하고 있다. 일종의 멘티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