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이후"(으)로 총 1,752건 검색되었습니다.
- 구석기 시대를 구석구석기사 l20200119
- 그림으로 남겨둔것입니다. 사슴, 멧돼지, 고래나 물고기 등을 새겨 넣었을 것입니다. 안타깝게도 암각화가 댐의 건설 이후에 발견되었기 때문에 수위 상승 때 마다 잠기면서 훼손되는 위기에 있습니다. 어떻게 보호해야 할까요?? 2.구석기 탐구생활 구석기 사람들은 채집생활, 이동생활을 했어요. •채집생활을 했을까요?? 구석기 시대에는 대분분의 식량 ...
- < 닥터 두리틀 > 을 보고오다 !기사 l20200113
- 프로듀서는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와 로 함께 일하기 전부터 수잔 다우니는 영화계 최고의 프로듀서였습니다. 그 영화 이후로 그녀는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의 모든 영화를 제작해 오고 있어요. 우리에게 그녀는 정말 멋진 파트너였습니다. 그리고 두 부부는 그들의 집과 가족을 제작진에게 활짝 열어 줬어요: 참 마음이 따뜻한 사람들이었습니다. ...
- 세계2차대전은 어떻게 시작됬고 어떻게 끝났을까?기사 l20200110
- 나치는 폴란드를 공격하기 위해 그 근처에 있는 소련(현 러시아)와 불가침조약을 맺고 폴란드를 공격했습니다. 폴란드를 뺏긴 이후 연합국은 유럽을 반 이상 뺏긴 상태였습니다. 하지만 영국은 가만히 있을 수 없었습니다. 영국은 복수를 하기 위해 나치를 공격했습니다. 나치의 첫 패배였습니다. 또, 미국이 연합국을 도와주기로 하였습니다. 상황이 위태로 ...
- 안녕하세요포스팅 l20200102
- 2020년 이후로 처음 뵙네요 ...
- [ 뮤지엄김치간 어린이 김치학교 ]기사 l20200102
- 또 사진의 위쪽을 보시면 김장의 역사를 나타낸 연표가 있는데요, 옛날에는 김치가 맵지 않았다고 합니다. 고춧가루는 임진왜란 이후 조선시대 후기에 김치에 들어가게 되었다고 하네요. 위 사진들은 과학자의 방의 사진인데요, 과학자의 방에서는 김치에 들어있는 사진과 현미경으로 유산균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김치에 있는 대표적인 유산균으로는 ...
- 2020 년 이니까 .. 반박 / 반모 새로 받아요 !!포스팅 l20200101
- 이도윤 박지민 한지민 김혜승 강설현 윤서진 정서아 조은결 이은채 김이수 한시아 빼고 모두 반박이에요 !! ( 나 쁜 듯 ㄴ ㄴ 저는 새로 시작하고 싶어서 .. 12세 이상으로 , 뽑기로 뽑아요 !! 3명 !! 2020년엔 오늘 이후로는 다시 안받을듯요 .. 빨리 신청해주세요 !! ...
- 영화 백두산에서처럼 진짜 백두산 화산이 폭발한다면?기사 l20191231
- 현재 활동 중인 화산, 활화산으로 분류되며, 폭발 이력도 꽤 있다고 합니다. 서기 946년에 발생한 '밀레니엄 대분화' 폭발은 기원후 0년 이후, 역사상 가장 큰 폭발이라고 합니다. 그 전후에도 여러 크고 작은 폭발이 있었던 것으로 기록되는데, 만일 '밀레니엄 대분화' 같은 폭발이 또 일어나면 어떻게 될가요? 이것을 분석하려면 먼저 화산폭발지수 ...
- 영화 천문:하늘에 묻는다 시사회 참석기사 l20191219
- 장영실의 작품은 물시계입니다. 물시계의 첫 시작은 코끼리 몸 위에 있는 것과 몸 안에 있는 것을 그린 그림에서 시작되었습니다. 그 이후에도 장영실은 세종대왕과 함께 발명품을 만들고 각별한 사랑을 받았습니다. 이 영화는 역사에 관련된 이야기입니다. 영화의 첫시작이 안여(임금이 타는 가마)사고로 시작되는데 조선시대 어휘가 어렵기도 했지만 역사를 좋 ...
- 천문대장님과 함께 한 영화, 『천문』의 조선 시대 하늘 과학 이야기기사 l20191218
- 당시 조선 시대 과학 기술이 얼마나 위대한 것인지 알 수 있습니다. 이런 훌륭한 과학자, 장영실은 훗날 안여 사건(임금의 가마)이후 자취를 감추게 되었는데 어떠한 이유로 사라지게 되었는지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현재까지는‘음모론’, ‘의도론’, ‘실책론’ 등 다양한 설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습니다. 세종대왕과 장영실의 ‘천문 ...
- 지진과 지진사례, 지진 대피요령에 대해서 알아보자!기사 l20191216
- 역사적 으로는 에 기록된 지진과 관련된 기록만 2천 건이 넘고, 기상청에서 공식적으로 지진 관측을 시작한 1978년 이후로는 2000년대에 기록된 국내 평균 지진 발생 건수만 1990년대에 비해 2배 이상 많았고 규모도 커졌습니다. 역대 한국에서 발생한 가장 큰 규모의 지진은 2016년 9월 12일 경북 경주시에서 발생한 5.8 ...
이전1221231241251261271281291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