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뉴스
"
뇌
"(으)로 총 4,03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촉각수용체 발견, 만성통증 치료 시대 올까
2021.10.05
만성 통증을 악화시키는 경우가 흔하다. 만성통증은 시장이나 환자 규모로 봤을 때
뇌
질환 중 압도적인 세계 1위 질환이다. 질환 전체로 보면 1위인 암 질환 (600억 달러 이상)에 비해 근소한 차의 2위인, 미충족 수요가 매우 큰 만성 통증 질환이고 시장이다. TRPV1과 같은 통각수용체를, 자유자재로 ... ...
올해 노벨생리의학상, 온도와 압력 느끼는 인간의 체감 비밀 밝힌 과학자들 수상(종합)
2021.10.04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됐다. 통증 분야 전문가 오우택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뇌
과학연구소장은 "두 사람의 연구는 각각 20년과 10년 정도 성과가 나온 비교적 최신 연구에 속하지만 온몸의 감각에 해당하는 체성감각에 관한 연구에서 독보적인 연구 성과를 보여줬고 이후 많은 연구에 ... ...
'인간은 어떻게 세상을 인식하는가'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 공적
동아사이언스
l
2021.10.04
상상한 그림이다. 노벨위원회 제공 17세기 철학자 르네 데카르트는 피부 다른 부분과
뇌
를 연결하는 실을 상상했을 정도다. 이는 과학자들의 발견을 통해 환경 변화를 감지하는 특수감각 뉴런의 존재로 확인됐다. 조지프 얼랭어와 허버트 개서는 고통이나 접촉과 같은 다양한 자극에 반응하는 여러 ... ...
[2021노벨상]코로나19 백신 개발 기여한 mRNA·NGS 노벨상 받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1.10.04
활성산소가 어떤 손상을 일으키는지, 활성산소와 항산화제가 알츠하이머와 치매 등
뇌
질환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확인하는 데 도움을 줬다. 노벨위원회는 매년 1월 31일까지 수상 분야별 전문가 3000여 명에게 그해 수상자 후보를 추천받는다. 이후 수차례 평가와 압축 과정을 거쳐 최종 후보들을 ... ...
[과기원은 지금] DGIST, 세균성폐렴과 코로나19 자동 분류하는 AI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0.01
울산과학기술원(UNIST) 생명과학과 교수팀은 루게릭병과 전측두엽 치매 같은 퇴행성
뇌
질환을 억제하는 유전자인 ‘ZNF598’을 발견하고 신경세포 보호의 새로운 분자생물학적 원리를 찾아냈다고 30일 밝혔다. 메신저리보핵산(mRNA)가 가진 유전자 암호에서 단백질을 만드는 번역 품질을 ZNF598이 관리해 ... ...
코로나19 감염이 당뇨병 발생 또는 합병증 위험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30
회복하는 사례를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날 프란치스코 도타 이탈리아 시에나대 의대
뇌
과학및신경외과장 연구팀은 첸 교수팀과 비슷한 연구 결과를 소개하며 특히 췌장에는 ACE2 수용체가 다른 장기에 비해 많이 나 있다고 설명했다. 게다가 당뇨병 환자의 췌장에는 염증이 있을 가능성이 ... ...
KAIST “솔루션 필요한 기업 회원 모십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28
비즈니스 분석과 시스템 최적화 권위자로 알려진 장영재 산업시스템공학과 교수,
뇌
과학 관련 서적과 강연 등으로 대중에게도 널리 알려진 김대수 생명과학과 교수 등이 참여하고 있다. 산학협력센터는 회원 기업에 필요한 프로그램 디렉터 2명과 자문교수단 3명을 선정해 연결해주고 이들을 ... ...
[카드뉴스] 못 버리는 것도 병, 저장강박증
동아사이언스
l
2021.09.28
두께의 전극을 삽입하고 전류를 통해
뇌
세포의 활성을 조절합니다. 저장강박증도 결국 대
뇌
기능에 이상이 생긴 결과입니다. 단순히 애지중지하는 물건을 모으는 정도를 넘어 일상생활에 지장을 준다면 저장강박증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관련기사 과학동아 2012년 07월호 ‘못 버리는 ... ...
금연하면 살찌는 이유 있었다…금단현상이 식욕 부추겨
연합뉴스
l
2021.09.27
음식을 선호하게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중독과 식욕 조절을 관장하는
뇌
기능인 오피오이드 시스템이 니코틴 금단 현상을 앓는 흡연자들에게 이러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연구를 이끈 무스타파 알 압시 미네소타대 가정의학과 및 생체행동보건학 교수는 "우리는 급성 ... ...
[2021노벨상]미국판 노벨생리의학상 '래스커상'에 mRNA백신에 기여한 과학자들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9.26
훔볼트대 교수가 공동 수상했다. 다이세로스 교수는 수년간 실험한 끝에 2007년 쥐의
뇌
에 이식한 광섬유를 통해 푸른 빛을 내고 이를 통해 쥐 수염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뉴런을 조절하는 실험에 성공했다. 앞서 1971년 외스터헬트 교수는 박테리아 연구를 통해 빛에 반응하는 단백질이 이온 상태로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