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격리
이탈
분열
절단
구분
분립
뉴스
"
분리
"(으)로 총 2,613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와인 나라의 와인 과학자(19세기 생물학1)
2020.08.20
수 있을까. 가장 확실한 방법은 인공 결정에서 왼손잡이와 오른손잡이를 일일이 골라서
분리
한 뒤에 각각을 녹인 용액에 편광을 비춰 편광이 어떻게 돌아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그 귀찮은 작업을 파스퇴르는 꾸역꾸역 해냈고, 결국 천연 주석산 결정에서 볼 수 없었던 거울상 결정은 ... ...
[과학용어는 먼나라 말](1)정부 발표 따로 국민 이해 따로...어렵고 난해한 코로나19 용어
2020.08.19
에어로졸은 미세한 침방울, 비말은 침방울, 진단키트는 진단도구, 글로브월은 의료용
분리
벽으로 바꿨다. 권 명예교수는 "이런 용어는 기존 용어보다 이해도가 높게 나타난다"며 "의학과 방역 전문용어가 주로 해당 전문 분야 종사자들에게만 쓰이던 것을 아무 여과 없이 일반 국민에게 쏟아낸 ... ...
방역당국 "코로나 확진 조작 주장은 무책임한 행동...사랑제일교회 누적 623명"
동아사이언스
l
2020.08.19
정부가 개입할 수도 없다”며 “선별진료소에서도 진료와 검체 채취하는 인력이
분리
돼 있고 검체 채취시에도 배경과 소속 등 정보 없이 채취하며 도구 자체도 무균 밀봉돼 있어 사전 조작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또 검사 과정은 자동화된 실시간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RT-PCR) 기기를 통해 ... ...
전이성 대장암 표적항암제 한계 극복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18
23명과 벨기에 환자 6명의 암 조직을 개별 세포 단위로
분리
했다. 9만 1103개의 단일세포로
분리
한 뒤 하나씩 유전체 정보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이를 통해 암의 성장과 전이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암의 미세환경을 조사했다”고 말했다. 그 결과 대장암 조직 내 근섬유아세포와 골수성 세포가 면역 ... ...
해외유입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 3건 확인..."보고된 적 없는 새 변이"
동아사이언스
l
2020.08.10
우리나라는 이태원 클럽 유행 이후 모두 GH 그룹이 국내서 유행을 하고 있으므로 GR그룹이
분리
가 된 것은 우즈베키스탄 입국자로부터 전파가 일어났을 것으로 추정을 하고 있다”며 “그 부분에 대해서는 계속 조사와 모니터링이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 ...
카페서도 마실 때 빼고 마스크 항시 착용해야…단체손님은 예약제
동아사이언스
l
2020.08.07
카페에서의 전파 사례와 집단감염이 나타나자 방역당국은 카페 방역지침을 별도로
분리
해 강화하기로 했다. 정부는 지난 5월 6일 음식점과 카페를 묶은 방역지침을 마련한 바 있다. 카페 내 마스크 착용에 대한 수칙을 구체화하고 일부 수칙을 추가했다. 강화된 지침에 따르면 이용자는 카페 ... ...
딱딱한 문어체 글만 잘 읽던 AI, 이젠 구어체가 더 편해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6
‘은행’ 같은 일반 명사들이 섞여 있는 문장에서 ‘국민은행’과 같은 고유명사를
분리
해 인식하는 개체명 인식 기술이다. 구어체는 사람마다 표현 방식이 다르고 쓰는 방법도 달라 일정한 정제된 유형을 보이는 문어체보다 분석하기가 더 어렵다. 예를 들어 ‘경상도인데’를 ... ...
고압에선 이런 모습이? 방사성 원소 퀴륨의 재발견
과학동아
l
2020.08.04
시카고대 제공 주기율표를 훑어보다 보면 독특한 구성이 눈에 띈다. 맨 아래 두 줄로
분리
된 원소들이다. 이중 원자번호 89번부터 103번까지에 해당하는 원소를 악티늄족이라고 부른다. 악티늄족은 대부분 방사성 원소다. 방사성 원소는 반감기가 극도로 짧아 금세 붕괴되기 때문에 결정구조나 ... ...
암 전이 막는 항암요법·나노 입자 결합 기술...'인류 삶 바꿀 난제' 연구 시작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3
미친다”며 “모든 규모에서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물리학 원리를 개발해 입자의 결합과
분리
를 자유롭게 제어하고 이를 통해 원하는 입체 구조를 충분한 강도로 형성하게 만드는 기술을 연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런 기술이 가능해지면 주사로 약간의 입자를 주입하기만 하면 몸 속에서 ... ...
ISS 우주인 탑승 '크루드래건' 3일 새벽 귀환...플로리다 인근 바다 착수 예정
동아사이언스
l
2020.08.02
크루드래건이 1일 오후 7시 34분(미국동부시간, 한국시간 2일 오전 8시 34분) ISS로부터
분리
됐으며 약 19시간 뒤인 2일 오후 2시 48분(한국시간 3일 오전 3시 48분)에 바다에 착수할 계획이라고 1일 밝혔다. 착수 장소는 플로리다 부근 바다로 추정된다. NASA와 스페이스X는 크루드래건의 착수 후보 장소로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