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뉴스
"
빛
"(으)로 총 4,060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계 가장 큰 달 '가니메데' 20여년만에 찍은 근접 사진 공개
연합뉴스
l
2021.06.09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SRU는 태양
빛
을 직접 받지는 못하고 목성에 반사된 희미한
빛
이 스며드는 위성의 뒷면을 흑백으로 촬영했다. [NASA/JPL-Caltech/SwRI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주노캠 이미지는 픽셀당 1㎞, SRU는 픽셀당 600~900m의 해상도를 갖고있다. 주노 프로젝트 책임연구원인 ... ...
[과기원은 지금] GIST, 투명망토처럼 물체를
빛
으로부터 감추는 물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6.09
수석연구원 연구팀이 투명망토처럼
빛
으로부터 물체를 감추거나 입사하는
빛
의 위상정보를 완전히 제거해 복원할 수 없도록 하는 ‘광디렉분산물질’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광디렉분산물질이란 전자의 에너지와 파장의 관계가 원뿔 2개로 이뤄진 모래시계 구조의 물질로 대표적인 물질이 ... ...
인슐린 생성 베타 세포, 줄기세포 '대량 분화' 가능해졌다
연합뉴스
l
2021.06.08
베타 세포가 생성되게 유도했다. 인슐린 과립이 생성 시기에 따라 다른 색깔의
빛
을 내고 있다. 새로 생긴 과립은 녹색인데 시간이 지나면 적색으로 변한다. 건강한 췌장 세포는 신선한 인슐린 과립을 먼저 분비하지만, 당뇨병에 걸리면 이 우선순위가 교란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시드니대 멜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근시와 보랏
빛
2021.06.08
유지시켜준다는 것이다. 2019년 논문의 참고문헌을 봐도 크로세틴이 망막의 혈류를 늘려
빛
수용체와 망막신경절세포가 죽는 걸 막는다는 논문이 소개돼 있다. 그러고 보니 내가 먹고 있는 눈 영양제에도 사프란 추출물이 한 알에 20㎎ 들어있다. 지금까지는 건너뛴 날이 더 많았는데 이제부터라도 ... ...
5분만에 코로나19 검사하는 PCR 기술 국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6.07
기판을 PCR 증폭에 썼다. 나노 플라즈모닉은
빛
의 파장보다 작은 크기의 금속 나노구조로
빛
과 잘 반응한다. 열을 빠르게 냈다 다시 빠르게 식힐 수 있다. 연구팀이 개발한 PCR은 검체 한 방울을 기판에 결합된 진공 미세유체칩에 넣으면 액체가 3분 내로 칩에 주입된다. 이후 플라즈모닉 기판이 ... ...
"동공의 크기, 지능과 관계있다"
연합뉴스
l
2021.06.07
더 많은
빛
이 망막에 닿게 해 시력을 높여준다. 밝은 조건에서는 동공을 수축해 들어오는
빛
의 양을 제한한다. 이 연구 결과는 과학전문지 '인지'(Cognition) 최신호에 실렸다. ... ...
몸 움직임 따라 늘었다 줄었다…삼성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연합뉴스
l
2021.06.06
측정이란 혈관에 LED 등의
빛
을 투사해 혈액이 통과할 때 혈관의 팽창과 수축에 따라
빛
의 반사율이 달라지는 원리로 맥파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연구진은 이를 통해 향후 스트레처블 기기의 응용처 확대 가능성을 입증했다. 가장 큰 성과는 탄성력과 복원력이 우수한 고분자 화합물 '엘라스토머 ... ...
[표지로 읽는 과학]전사의 과정을 생생히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06
위해 전사 개시 부위에 결합하는 돕는 여러 단백질들의 복합체다. 표지 가운데 밝은
빛
을 볼 수 있다. 전사 개시 전 복합체 형성이 촉진되면서 DNA의 영역이 넓어지고 있다. 이후 비로소 전사 과정이 시작된다는 게 연구팀 설명이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비밀에 감춰졌던 전사 과정을 ... ...
예술품보다 훨씬 예술작품 같은, 신을 쫓는 기계 만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04
LHC)가 있다. 과학자들은 지하 100m에 설치한 27㎞ 길이의 거대한 터널 속 튜브 장치에서
빛
의 속도로 달려간 양성자(수소이온)들을 정면충돌시켜 137억 년 전 우주를 탄생시킨 빅뱅 직후를 재현해왔다. LHC에는 다양한 검출기가 붙어 있는데 이 가운데 지름 15m에 이르는 ‘뮤온압축솔레노이드(CMS)’는 ... ...
[과기원은 지금] 함병승 GIST 교수팀, 퀀텀레이저 구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6.04
정소희 성균관대 에너지과학과 교수팀이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 입자 하나가 내는
빛
의 밝기와 파장을 자유자재로 조절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매우 얇고 소비전력이 낮은 양자점 TV와 같은 차세대 양자점 디스플레이 소자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ACS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