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뉴스
"
성공
"(으)로 총 10,276건 검색되었습니다.
[人투더스페이스]② "우주청, 민간이 이익 내는 구조 만들어야…R&D 인재 사천 유도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24.04.16
한국 우주개발을 전담하는 정부 기관인 우주항공청이 출범합니다. 누리호와 다누리
성공
이후 우주 비즈니스에 대한 열망이 뜨겁습니다. 모건스탠리에 따르면 세계 우주산업은 2030년 5900억달러(약 810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동아사이언스는 열악한 환경에도 미래 우주시장 개척에 묵묵하게 ... ...
이스라엘은 어떻게 이란 공격 막아냈나…최첨단 과학기술 '집약'
동아사이언스
l
2024.04.16
로켓에 1m 이내로 근접해 폭발한다. 여러 개의 날개와 전자광학센서를 장착해 요격
성공
률이 높다. 사거리는 최대 70km이며, 아이언 돔 1개 포대는 93㎢의 범위를 방어할 수 있다. 2021년 5월 하마스가 쏜 로켓을 대부분 막아내면서 아이언돔의 능력이 부각됐다. 지난해 10월 하마스가 이스라엘 남부를 ... ...
[과기원NOW] KAIST, 세계 최고 속도의 3차원 조명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4.15
하고 잘 휘어지는 연성물질을 금 나노빈틈 분광센서의 기판으로 접합시키는 연구에
성공
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같은 바이러스의 양성 여부를 확인하는 데 며칠이 걸리던 검사속도를 불과 몇 초만에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 ...
차세대 무음극 전고체 전지 수명 3배 이상 늘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15
혼합한 금속 코팅으로 '무음극 전고체 리튬(Li) 전지'의 수명을 최대 3배 이상 늘리는 데
성공
했다. 고려대는 유승호 화공생명공학과 교수와 최지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전자재료연구센터 책임연구원 공동연구팀이 무음극 전고체 전지의 계면 안정성을 높이는 금속 코팅 방법을 개발해 전지의 ... ...
중수로 원전 방폐물 99% 처리…고부가 동위원소 활용 길 열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4.15
처리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월성 원전 내 보관 중이던 폐수지를 상용 규모로 처리하는 데
성공
한 것이다. 월성원전과 같은 중수로(CANDU) 형태의 원전에서는 중준위 방사성폐기물로 폐수지가 발생한다. 폐수지는 중수 등 액체에서 방사성 핵종을 제거할 때 사용된 이온교환수지다. 폐수지에는 ... ...
지자체도 위성 쏘는 시대 본격화...전문가들 "득실 잘 따져야"
동아사이언스
l
2024.04.15
위성인 '부산샛'이다. 부산시 제공 한국형발사체 '누리호'와 달 궤도선 '다누리' 발사
성공
으로 국내 우주개발에 새로운 전환점이 마련된 가운데 지방자치단체들도 잇따라 자체 예산을 투입해 위성 개발·발사에 나선다. 정부가 아닌 민간 주도의 '뉴스페이스'를 지자체 주도로 구현, 민간 ... ...
AI반도체 생산 효율 2배...초고성능 칩렛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4.15
반도체 생산의 핵심 기술인 광자(포토닉) 칩렛의 작업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데
성공
했다. 인간 수준의 사고능력이 가능한 범용인공지능(AGI)과 같은 초고성능 AI 기술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기술이 한걸음 진보했다는 평가다. 지하오 쉬 중국 베이징국가정보과학기술연구센터 연구팀은 ... ...
점프도 하고 비행도 하는 '하이브리드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4.04.15
데이터가 없어도 약 0.6~1.6m의 넓은 점프 범위에서 56회 이상 연속 점프 및 수직 착륙에
성공
했다. 1.63m의 점프 높이에서는 평균 초속 2.38m의 수직 점프 속도를 기록했다. 연구팀은 "홉콥터는 순간적인 가속과 빠른 방향 전환이 가능해 복잡한 환경에서 민첩성과 활용성이 크다"며 "연속 비행으로 ... ...
"평화주의자 보노보, 생각보다 공격적"
동아사이언스
l
2024.04.14
것"이라고 분석했다. 연구팀은 침팬지와 보노보 모두 공격적인 수컷이 짝짓기에
성공
할 확률이 높은 새로운 현상을 관찰하기도 했다. 이는 공동체가 일반적으로 함께 지배하는 사회 구조를 보이고 암컷이 수컷보다 서열이 높은 보노보 사회에서 예상되지 않았던 모습이다. 이번 발견은 ... ...
가상현실서 이동해도 뇌 속 GPS세포 활성화 첫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24.04.14
통해 '자기 위치 환각'으로 인해 뇌 속 격자 세포가 활성화되는 현상을 관측하는 데
성공
했다고 14일 밝혔다. 자기 위치 환각이란 몸이 물리적으로 위치한 곳이 아닌 곳에 자신이 있다고 인식하는 환각 현상으로 대표적으로 유체 이탈이 있다. 우리 뇌에는 자신이 위치한 장소를 인지하는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