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인공"(으)로 총 7,402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이언스게시판] 지자연, 5만 년 전 흔적 ‘합천 운석충돌구’ 특별전 개최 外동아사이언스 l2023.12.21
- 8일)에 이어 세 번째이자 마지막으로 개최된 인공지능반도체 대학원 개원식이다. 한양대 인공지능반도체대학원은 향후 초저전력·뉴로모픽 등 핵심기술 연구와 더불어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해 산업혁신형, 수요지향형, 국제협력형 등 3개 트랙의 산학 프로그램을 필수과정으로 구성한다. 현장 ... ...
- 화학반응 설계하고 스스로 약물 만드는 'AI 화학자' 등장동아사이언스 l2023.12.21
- 등장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과학자들이 복잡한 화학 실험을 설계하고 수행하는 '인공지능(AI) 화학자'를 개발했다. 생성형 AI 챗봇 '챗GPT'를 사용해 만들어진 이 시스템은 불과 수 분만에 화학 실험을 계획, 설계, 실행했다. 화학자들의 연구 효율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게이브 ... ...
- "나 지금 우울해?"…스마트폰 사용 패턴으로 진단동아사이언스 l2023.12.21
- 제공. 스마트폰에 입력한 텍스트 및 음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우울증을 진단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술이 개발됐다. 개인 정보 유출 없이 정신건강 상태를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KAIST는 이성주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스마트폰에서 사용자의 언어 사용 패턴을 자동으로 ... ...
- 반도체·원자력·양자…‘12대 국가전략기술’ 공식 확정동아사이언스 l2023.12.20
- 구체화했다. 가령 반도체·디스플레이에는 고집적·저항기반 메모리, 고성능·저전력 인공지능 반도체 등 8개의 중점기술이 정의됐는데 고집적·저항기반 메모리는 고용량, 고속·고대역폭, 저전력 특성을 가지며 기존 대비 데이터 유지·읽기·쓰기 특성이 향상된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의 ... ...
- 사이언스, 비만치료제 등 ‘2023년 브레이크스루’ 선정동아사이언스 l2023.12.18
- 처우 변화, 뉴멕시코 호수의 인간 발자국, 탄소 펌프 기능 저하, 거대 블랙홀 병합, 인공지능(AI) 날씨 예측 모델, 새 말라리아 백신, 엑사스케일 컴퓨터가 선정됐다. 사이언스는 GLP-1 계열 비만치료제 열풍을 이례적으로 소개했다. GLP-1 작용제는 당뇨병 치료제로 쓰이다가 위장 운동 저하, 식욕 억제 ... ...
- [표지로 읽는 과학] 비만치료제가 사이언스 선정 올해 '브레이크스루'동아사이언스 l2023.12.17
- 처우 변화, 뉴멕시코 호수의 인간 발자국, 탄소 펌프 기능 저하, 거대 블랙홀 병합, 인공지능(AI) 일기예보, 새 말라리아 백신, 엑사스케일 컴퓨터 등 10개의 과학적 성과를 올해 선정했다. 이 중에서 이번 표지에서는 GLP-1 작용제를 특히 비중 있게 다뤘다. 표지에는 포크 사이에 주사 바늘이 그려져 ... ...
- 크리스마스 이브에 직접 만든 로켓 쏘아올리는 고교생과학동아 l2023.12.16
- 어떻게 만나서 어떤 우여곡절을 겪었는지 들려주세요. A(정승호). "저희는 모두 숭문고 인공지능(AI). 중점과정 2학년 학생들입니다. 그러다 보니 학교에서 연구 프로젝트에 대한 지원을 많이 받는 편이에요. 로켓은 작년 3월 입학하고 나서 어떤 연구를 해볼지 생각해 보다가 떠올렸습니다. 원래 ... ...
- [주말N수학] 수학에서 증명은 왜 중요할까수학동아 l2023.12.16
- 함께 논의하고 있어요. 그래서 저는 ‘인공지능이 수학을 증명할 수 있을까?’보다는 ‘인공지능이 증명할 수 있도록 수학이 발전할까?’가 더 맞는 질문이라 생각하고 개인적으로는 그렇게 될 거라고 생각해요." ※관련기사 수학동아 12월호, [Rethinking] 제 11화. 증명은 왜 중요한가 ... ...
- KAIST 개발 사냥개 로봇, 100m 달리기 기네스 기록 수립동아사이언스 l2023.12.15
- 출발해 100미터 선을 19.87초 만에 통과한 후 완전히 멈추는 데 성공했다. 이 성과는 인공지능(AI) 방법론 중 하나인 강화학습을 이용해 시뮬레이션 가상환경에서 훈련된 단일 제어기를 통해 달성됐다. 연구팀은 하운드가 고속으로 달릴 수 있도록 액추에이터 출력의 한계를 최대한 이용했다. 모터가 ... ...
- 혀에도 '지문' 있다…사람마다 입맛 다른 이유 될까동아사이언스 l2023.12.15
- 돌기를 수천 개의 현미경으로 스캔해 크기와 특징, 위치를 확인했다. 분석 과정에는 인공지능(AI) 프로그램이 사용됐다. 이렇게 확인된 혀 돌기 패턴은 혀의 주인을 찾을 수 있을 정도로 개인마다 뚜렷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혀 돌기 패턴을 통해 15명의 참가자 중 48%의 정확도로 혀의 ... ...
이전1221231241251261271281291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