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
적확
명확
명료함
엄밀
확실
정밀도
뉴스
"
정확
"(으)로 총 5,486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사로 보는 세상] 새옹지마...에이즈와 HIV감염, 항암제
2022.12.06
Ostertag)은 지도부딘이 이루 백혈병에서 효과가 있음을 발견했지만 흔치 않은 백혈병이고,
정확
한 작용기전에 대해 알지 못했으므로 또 사용되지 못했다. 세월이 흐르는 동안 HIV는 RNA 바이러스이고, RNA 바이러스는 숙주세포내에서 역전사에 의해 DNA를 합성해야 생존 가능하므로 이 과정을 막을 수 ... ...
강동경희대병원 의대병원장에 이우인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2.12.05
맡았다. 이 신임 병원장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사태 초기 빠르고
정확
한 검사 결과 보고를 통해 병원과 지역 내 감염병 확산 방지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또 진단검사의학재단에서 10년간 부장 및 본부장으로 일하며 진단의학 검사실에서 갖춰야 할 가이드라인 정립에 ... ...
[주말N수학] 필즈상 수상자도 놀랐다...정수론 난제 해결한 고3
수학동아
l
2022.12.03
있는 곳에서 목적지까지 가려면 대각선으로 가는 게 가장 짧다는 결론을 냈어요. 저는
정확
하게 대각선으로 가는 길이 없어 계단식으로 지그재그로 가야 하니 이렇게 가는 것도 언제나 짧은 길은 아니라는 주장했었어요. 부모님이 그 답에 놀라셨던 기억이 나요." Q. 수학을 잘하는 비법이 있나요? ... ...
[프리미엄리포트] 블랙홀이 시간 차 트림을 했다?
과학동아
l
2022.12.03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확인하면 블랙홀의 시간 차 트림이 왜 발생했는지
정확
하게 확인할 수 있다. CfA연구팀도 이를 위해 11월 초 VLBI의 사용 허가를 받았다. 다만 손 책임연구원은 “관찰을 해야하는 천체가 밝은 편이 아니고 점점 어두워지고 있어 쉬운 연구는 아닐 것”이라 말했다. ... ...
"한파 급습, 기후위기 보여주는 사례"
동아사이언스
l
2022.12.01
불확실성을 줄이고
정확
성을 높이는 연구 등을 말한다. 하 교수는 "기후변화를
정확
히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은 지난해 기후과학 분야가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하며 다시 한번 증명됐다"고 말했다. 지난해 노벨물리학상은 기후변화 및 복합적 기후시스템 발전을 정량적 예측하려고 노력한 ... ...
반도체 공정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센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01
300Hz(헤르츠) 고속으로 토출되는 1㎍(마이크로그램·1㎍은 100만분의 1g) 수준의 극미량까지
정확
히 측정할 수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실제 반도체 공정에 쓰이는 10㎍~100mg 수준의 토출량도 실시간 측정이 가능해진 셈이다. 이번 성과로 반도체 공정 디스펜서의 토출량을 실시간으로 비접촉 측정할 ... ...
스스로 물체 조립하는 '로봇'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01
인지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그리퍼 로봇은 각기 다른 상황에서 무작위로 놓인 물체를
정확
하게 조립할 수 있는 최적의 작업스케쥴을 생성해냈다. 사람 손처럼 정밀하면서도 유연한 대응이 가능해 특정 물체에 한정되지 않는 범용 로봇으로 산업 전반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번 연구를 이끈 배지훈 ... ...
코로나19·독감 등 바이러스 4종 동시 진단 PCR 기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2.01
광신호를 낸다. 특정 코드를 활용해 형광을 측정하면 바이러스 변이와 무관하게 높은
정확
도로 진단이 가능해진다. 코드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진단이 어려운 낮은 농도의 바이러스도 검출할 수 있다. 이 PCR 기기는 4종의 유전자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어 코로나19, 독감 등 호흡기질환 바이러스를 ... ...
박쥐가 머라이어 캐리 뛰어넘는 가수 된 비결
동아사이언스
l
2022.11.30
보여지지만 확실치 않다"고 말했다. 반면 곤충을 사냥하는 등 특정한 물체의 위치를
정확
하게 파악해야 할 때 박쥐는 성대막을 진동시켜 최대 120kHz 고주파의 소리를 낸다. 성대막은 진화 과정에서 퇴화돼 인간은 가지고 있지 않은 기관이다. 연구팀은 박쥐의 후두가 구조적으로 고주파 소리를 ... ...
차세대 유전자가위 개발…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배상수 서울대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2.11.30
장관상과 상금 1000만원을 수여하는 시상이다. 유전자가위는 DNA 내 특정 유전자를
정확
하게 자르거나 편집하는 도구다. 1990년대 1세대 징크핑거가 개발된 후 2세대 탈렌, 3세대 크리스퍼로 발전했으며 지금도 보다 안전하고 정밀한 유전자가위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