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취
부식
감화
소량 가미
옮겨 붓기
주사
포화
뉴스
"
주입
"(으)로 총 1,468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레고르 멘델을 변호하다
2016.07.04
가르치자’로 멘델의 실험은 유전자의 영향력에 대한 ‘시대에 뒤떨어진 결정론’을
주입
할 수 있기 때문에 빼자는 주장이다. 즉 오늘날 유전학은 단순히 유전자뿐 아니라 외부요인도 고려하는 복합적인 학문인데 유전자로 모든 걸 설명하는 멘델의 방식이 학생들의 사고를 편협하게 할 수 있다는 ... ...
“충북 청주시 상대리, 지하수 10% 재충전해 놔야”
2016.07.01
충북 청주시 상대리 지역의 지하수위를 예측한 결과. 사용한 지하수의 최소 10%을 지하에
주입
해야 물부족 문제가 해결되는 것으로 예측됐다.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제공 ... ...
“16년 만에 ‘3차원 그래핀’ 세계 첫 합성”
2016.06.30
틀(주형) 역할을 하는 제올라이트에 란타늄 촉매를 사용해 에틸렌이나 아세틸렌 기체를
주입
한 뒤 가열해 제올라이트의 작은 구멍 표면에 탄소를 입혔다. 그 결과 지름 1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이하인 작은 구멍 안쪽 사이사이에 스펀지 모양의 3차원 그래핀이 생성됐다. 불산과 염산을 섞은 ... ...
세포가 스스로 ‘청소’하게 만드는 메커니즘 첫 규명
2016.06.16
것이다. 실제로 쥐를 굶긴 뒤, 히스톤 단백질의 변형을 저해한다고 알려진 엘라그산을
주입
했더니 자가포식 현상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백 교수는 “자가포식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암이나 퇴행성 뇌질환 등이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이번 연구가 이들 질환의 새로운 치료제 ... ...
살아있는 두뇌 속 실시간 관찰 ‘두개골 윈도’ 개발
2016.06.13
1시간 이상 혈류를 관찰할 수도 있었다. 연구팀은 소프트 윈도를 이용해 약물을 직접
주입
하거나 전극을 원하는 위치에 꽂아 신경 신호를 측정했다. PDMS는 2, 3시간 내 간단하게 실험실에서 만들 수 있어 향후 안정적인 상태의 뇌에서 다양한 실험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
“장내미생물이 뇌 자극해 살찌게 만들어”
2016.06.12
알려졌다. 미국 워싱턴대 연구진이 비만인 쥐에서 채집한 장내미생물을 날씬한 쥐에게
주입
한 결과, 마른 쥐가 엄청나게 살이 찐다는 사실을 확인하면서 처음 제시됐다. 슐맨 교수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장내미생물의 생존 과정에서 발생하는 대사물질이 비만을 유도하는 과정을 규명했다. ... ...
중이온가속기, 펨토 사이언스의 문을 연다
과학동아
l
2016.06.02
안정한 원자핵으로 변하면서 방사선을 방출한다. 희귀 동위원소를 특정 물질에
주입
한 뒤 동위원소가 붕괴하면서 나오는 방사선 방출 패턴을 조사하면 그 물질의 구조를 알 수 있다. 또 탄소 하나와 산소 두 개가 결합한 이산화탄소(CO2)가 아닌 탄소 하나에 산소 4개가 결합한 CO4 등 자연계에는 ... ...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민간이 만든, 민간을 위한 공간 생겼다
2016.05.29
에어로스페이스의 우주 거주 시설 ‘비글로의 확장 가능한 활동 모듈(BEAM)’에 공기를
주입
해 확장시키는 과정. 최대로 팽창시킬 경우 지름 약 3.2m, 높이 약 4m의 방이 된다. - NASA 제공 연구진은 앞으로 일주일 동안 공기 누출 여부와 구조적 안정성 등을 시험할 계획이다. 이후에는 윌리엄을 비롯한 ... ...
박테리오파지는 숙주에 어떻게 침투하나
2016.05.22
그러나 그동안 박테리오파지가 어떻게 숙주 세포에 달라붙고 어떻게 유전물질을
주입
하는지, 그 과정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진은 스위스 바젤대 세포이미징나노분석센터(C-CINA)가 보유한 세포 분석 장비와 슈퍼컴퓨터를 활용해 박테리오파지 꼬리의 숙주 침투 전후 ... ...
‘광유전학’ 치료 첫 임상시험 순항 중
2016.05.22
단세포 녹조류의 DNA를 인체에 무해한 바이러스에 끼워 넣어 환자의 눈에
주입
하고 있다고 밝혔다. 여기에 청색 빛을 쪼이면 주변의 다른 세포(신경절세포)가 광수용체세포를 대신해 뇌에 전달할 시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기술은 쥐와 원숭이 등 동물실험에서 이미 효과가 입증됐다.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