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
세포인
뉴스
"
핵인
"(으)로 총 2,349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한국재료연구원 생길까
동아사이언스
l
2019.10.17
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 KSTAR. 국가핵융합연구소 제공. 지난 8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소속 의원들이 국정감사 일정으로 잡힌 현장시찰을 위해 대전을 찾았다. 한국화학연구원과 국가핵융합연구소,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차례로 둘러본 과방위 의원들 사이에서 핵융합연구소 ... ...
한국 연구자 발표한 '세 부모 자녀' 가이드라인 반박 연구 나와
동아사이언스
l
2019.10.17
미토콘드리아치환술의 개념도. 미토콘드리아 게놈에 문제가 있는 여성(왼쪽)이 이런 문제가 없는 아이를 낳기 위해 미토콘드리아 게놈에 문제가 없는 여성(오른쪽)의 탈핵한 난자에 자신의 핵을 넣은 뒤 수정을 시켜 자궁에 착상시키는 방법이다. 사이언스 제공 한국 연구자가 발표한 ‘세 부모 자 ... ...
먼 우주에서 찾아온 '성간천체', 태양계내 혜성과 공통점 많아
동아사이언스
l
2019.10.15
피오트르 구직 폴란드 야기에우워대 천문관측소 박사과정생과 미하우 드라우스 박사후연구원 공동연구팀은 두 번째 성간 천체인 ‘2I/보리소프’가 태양계 내부 혜성과 상당 부분 비슷하다는 분석결과를 이달 14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천문학’에 발표했다. 제미니 천문대 제공 전 세계 천문학자 ... ...
한국기업 KAT, 치열한 경쟁 뚫고 伊 핵융합장치 430억원 규모 사업 수주
동아사이언스
l
2019.10.14
KAT가 개발한 초전도 선재 중간재 및 최종 선재. 핵융합연 제공. 국내 기업 KAT가 이탈리아가 개발하는 토카막형 핵융합실험장치 DTT의 430억원 규모 초전도 선재 제작 사업을 수주하는 데 성공했다. 국가핵융합연구소(핵융합연)는 KAT가 국제핵융합실험로(ITER)한국사업단과 협력을 바탕으로 이탈리 ... ...
[표지로 읽는 과학] 거대 별은 하나로 합쳐지며 자기장을 내뿜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3
네이처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거대한 두개의 별이 서로 합쳐지며 소용돌이치는 모습을 표지에 실었다. 이 모습은 실제 상황을 촬영한 것은 아니다. 과학자들이 시뮬레이션을 통해 두개의 별이 합쳐지는 모습을 재현한 것이다. 파비앙 슈나이더 독일 하이델베르크대 천문학연구소 선임연 ... ...
원안위, 한수원 감사에 부담 느꼈나... 월성1호기 영구정지 의결 보류
동아사이언스
l
2019.10.11
원자력안전위원회 제공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월성1호기 영구정지 안건의 의결을 보류했다. 국회에서 영구정지 허가 과정에 대한 감사원 감사를 청구해 진행중인 만큼 이를 의결하는 것이 적절치 않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안건이 언제 다시 원안위에 상정될지는 결정되지 않았다. 원자력안전 ... ...
연구자1인당 과제 늘었는데 논문·특허 줄고 기술이전도 안하는 출연연
동아사이언스
l
2019.10.11
정부출연연구기관의 논문실적이 5년 연속 하락하는 한편 출연연이 보유한 특허도 한해 평균 4180건이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연연 연구자 한 명이 맡을 수 있는 최대 과제 수도 7.8개에 달해 연구자가 연구개발보다 연구수주에 몰두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왔다. NST 홈페이 ... ...
박광온 의원 "출연연 기술이전 3년간 감소"
동아사이언스
l
2019.10.10
더불어민주당 박광온 의원. 연합뉴스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24개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기술이전 계약건수가 3년 연속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8월 현재 작년 기준 절반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집계됐다. 기술이전 계약료도 지난해와 비교해 큰 폭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 ...
오른손-왼손 대칭 같은 괴짜물질 광학이성질체 쉽고 빠르게 분석하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0.09
김현우 KAIST 화학과 교수 연구팀은 핵자기공명(NMR) 분광분석기로 광학이성질체의 구조를 분석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KAIST 제공 일본이 절반을 점유하고 있는 광학이성질체 분석기술보다 간편하고 빠르게 광학이성질체의 구조를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김현우 KAIST 화학과 ... ...
노벨물리학상에 외계행성 발견자 2명, 빅뱅이론 뒷받침한 물리우주론 이론가 1명(2보)
동아사이언스
l
2019.10.08
2019 노벨물리학상 수상자가 발표됐다. (왼쪽부터) 제임스 피블스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 미셸 마요르 스위스 제네바대, 디디에 쿠엘로 스위스 제네바대 교수 겸 케임브리지대 교수. 노벨위원회 제공 올해 노벨 물리학상은 우주의 진화와 거대한 우주에서 우리 지구의 위치에 대한 이해를 넓힌 천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