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음
스페셜
"
다음다음
"(으)로 총 2,186건 검색되었습니다.
입영장병 전수검사 '취합검사법'은 무엇이고 어떻게 진행되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5.17
육군 훈련병이 코로나19 감염을 막기 위해 마스크를 쓴 채 훈련을 받고 있는 모습이다. 육군훈련소 홈페이지 중앙방역대책본부와 국방부가 군대 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집단감염을 막기 위해 18일부터 입영자 전원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진단검사를 실시하기로 했다. 입영 ... ...
코로나19로 1만명 이상 숨진 나라만 6개국…中에서 美·EU 거쳐 러·인도·남미 '강타'
동아사이언스
l
2020.05.17
세계보건기구(WHO) 코로나19 대시보드. WHO제공 전 세계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코로나19)에 걸린 사람이 460만명을 넘어섰다. 지금까지 사망자도 31만명이 넘는다. 러시아와 중남미, 중동,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하루 8만~10만명의 신규 확진 환자가 발생하고 획기적인 차단책이 나오 ... ...
코로나19 클럽발 감염 주춤…신규확진 19명 중 9명 국내발생(종합)
연합뉴스
l
2020.05.16
신규확진 7일만에 10명대…총 1만1천37명·사망 262명 (서울=연합뉴스) 2020년 5월 14일 오후 서울 중랑구 서울의료원 호흡기안심진료소에서 의료진이 업무를 보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16일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19명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관계의 어려움
2020.05.16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어렸을 때부터 전학을 자주 다니다보니 친하다고 할만한 친구들이 없었다. 조금 적응할 거 같으면 금방 다른 곳으로 이사하고 처음부터 다시 친구들을 사귀고 또 다시 이사해서 원점으로 돌아가는 일의 반복이었다. 많이 외로웠던 것 같다. 이전 학년부터 계속 같은 학교를 다 ... ...
학원 간 중고생 6명 확진, 3차 감염 추정 사례까지 나왔다…클럽발 집단감염 지역으로 확산
동아사이언스
l
2020.05.13
이달 11일 오전 서울 용산구 보건소 관계자들이 이태원 유흥밀집 거리를 방역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서울 용산구 이태원 클럽을 방문한 인천 지역 20대 학원 강사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은 후 13일 학생과 동료 강사, 학부모 등 10명이 무더기로 확진 판정을 ... ...
클럽발 집단감염 확산세 언제 꺾일까…"깜깜이 환자 예의주시"
연합뉴스
l
2020.05.13
클럽발 집단감염 확산세 언제 꺾일까…"깜깜이 환자 예의주시" 젊은층 코로나19 확산 '우려'…"추가 확진자 당분간 계속 나올 것" 서울 이태원 클럽 관련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언제 꺾일지 관심이 쏠린다. 13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와 각 지자체에 따르면 클럽 ... ...
[일문일답] 생활 속 거리두기 '자주 찾는 질문'
동아사이언스
l
2020.05.12
Q1. 생활 속 거리 두기와 생활방역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일상에서의 활동과 코로나19 감염예방을 병행하는 새로운 일상의 방역체계로서 생활방역이 논의된 바 있습니다. ■의견수렴 과정에서 생활방역체계는 개인과 집단의 위생관리 뿐만 아니라 기본적인 거리 두기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 ...
"이태원 클럽 방문자 1982명 연락 안된다"…"이미 연휴 전부터 전파 가능성"(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0.05.12
서울시가 이태원 관련 코로나19 확진자가 75명이라고 발표한 11일 오전 서울 용산구 보건소 관계자들이 이태원 유흥밀집 거리를 방역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코로나19) 집단감염이 발생한 서울 이태원 클럽 방문자 약5517명 중 1982명에게 연락이 닿지 않는 것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광합성 규명 70년 만에 탄생한 인공 엽록체
2020.05.12
1940년 탄소14를 만든 마틴 캐먼(오른쪽)과 이를 확인한 사무엘 루벤(왼쪽)은 2차 세계대전으로 광합성 연구가 중단된 뒤 전쟁 관련 연구를 하다 캐먼은 스파이 혐의로 연구소에서 쫓겨나고 루벤은 독가스 실험 중 사고로 사망했다.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 제공 1946년 어느 날 미국 버클리 캘리포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걱정이 과할 때 '초점착각'에서 벗어나라
2020.05.09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흔히 인간이 동물과 다른 점은 ‘자아’를 가진 점이라고 이야기 한다. 타인과 다른 ‘나’라는 존재를 인식할 수 있는 능력 덕분에 우리는 우리 자신의 행동을 돌아보고 과거의 경험을 통해 배우며 더 나은 미래를 계획할 수 있게 되었다. 물론 동물들도 단순한 계획은 할 줄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