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각"(으)로 총 6,296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불붙은 신경세포 생성 논란과학동아 l2018년 06호
- SOX1과 SOX2)와 중간 단계 신경세포(DCX와 PSA-NCAM), 이미 분화가 끝난 성숙한 뉴런(NEUN)을 각각 확인할 수 있는 마커를 여러 개 사용했다. 소렐 박사는 또 “BrdU는 새로 합성된 DNA뿐 아니라 DNA의 일부를 고치는 과정 중에도 섞여 들어갈 수 있다”며 “BrdU의 존재만으로 새로운 뉴런이라고 단언하기 ... ...
- [이투스교육] 국제 분업과 무역 & 자산 관리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반도체, 천연가스, 석유제품, 석탄이다. [이유] 국가마다 비교 우위 달라국제 분업이란 각 나라가 생산하기에 유리한 상품을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것을 말한다. 다른 나라보다 무역에 유리하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더 저렴한 가격에 생산할 수 있다는 뜻이다. 국제 분업과 무역이 필요한 이유는 ... ...
- Part 2. 전술을 분석하라!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적을 쫓는것보다 효과적으로 탈출을 막고 적을 잡을 수도 있었어. 축구로 따지면 사각형은 운동장이고 입구는 골대, 적은 공격수 1명, 추격자는 수비수야. 협력 수비를 하려면 공격수에게 직접 가서 공을 뺏는 것보다 공간을 줄여 움직이지 못하게 만드는 게 효과적인 셈이지. ▼관련기사를 계속 ... ...
- [필즈상] 자국에서 필즈상 수상의 영예 안을까? 페르난도 코다 마르케스수학동아 l2018년 06호
- 브라질에서 열립니다. 운동선수는 자국에서 하는 대회에서 메달을 딸 때 더 뜻깊게 생각하죠? 수학자도 예외는 아닐겁니다. 역사상 자국에서 필즈상을 받은 수학자는 단 4명뿐입니다. 마르케스 교수도 그 대열에 합류할 수 있을까요? 8월 1일에 그 결과를 지켜봐 주세요 ... ...
- 기하학 입은 패션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소재만으로 옷을 만듭니다. 네오프렌은 잠수복에 쓰이는 원단입니다. 봉제를 하지 않고 각 재료를 접착해 옷을 만들기 때문에, 접착이 잘 되는 원단인 네오프렌을 의류에 적합하도록 새롭게 개발해 쓰고 있습니다. 4계절 모두 입을 수 있도록 두께를 달리해 수학동아옷을 만듭니다. 임 대표는 ... ...
- [영재교육원 탐방 4] 집중하는 영재 기른다수학동아 l2018년 05호
- 프로그래밍을 하는 데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감성 역량을 강화해 새로운 생각을 이끌어 내는 것도 중요한 교육 목표다. 과학, 수학, SW와 크게 관련이 없어 보이는 미술, 체육, 국어, 음악과 같은 과목도 함께 가르쳐 이런 목표를 실천한다. 초등학생도 논문 쓴다!서울교대 ... ...
- 도넛 위에서 게임을? 틱택토의 무한변신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최상의 틱택토’라고도 부르는 슈퍼 틱택토는 게임판 크기가 크게 보면 3×3인데, 각 칸에는 또다시 3×3 게임판이 있어서 사실상 9×9인 셈입니다. 규칙은 이렇습니다. 9개의 3×3 틱택토 중의 하나를 선택해 빈칸 중 한 곳에 ◦ 또는 ×를 표시합니다. 만약 위에 왼쪽 그림처럼 한가운데 있는 틱택토의 ... ...
- [Culture] 너의 목소리가 잘 보여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설명했다. 스펙트럼 이용해 음성 변조 확인녹음한 소리의 주파수를 변환해 시각화하면 스펙트럼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대부분 불규칙한 파형으로 나타나는데, 사람 목소리는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일정한 형태의 주파수로 파형을 그린다. 불규칙한 백색소음과 달리 사람의 목소리는 주기적으로 ... ...
- Part 2. 자율주행자동차 안전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5호
- 할 것”이라고 말했다. [CASE 3] 사각지대_ 갑자기 보행자가 뛰어들 때 차량의 사각지대에서 보행자가 뛰어드는 경우, 레이더나 라이다 등 아무리 성능이 좋은 장비를 갖추고 있더라도 이를 빠르게 인지하기란 쉽지 않다. 이런 갑작스러운 상황에서 사고를 줄이기 위해서는 갑자기 튀어나올 수 ... ...
- [과학동아 X KRISS] 130년 만에 플랑크 상수로 다시 태어나는 킬로그램(kg)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일률을 비교해 플랑크 상수를 알아내는 방법이다. 캐나다와 미국은 2015년과 2017년 각각 키블 저울을 이용해 플랑크 상수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 국제도량형위원회(CIPM)는 올해 이 값으로 kg을 재정의하기로 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키블 저울 방식으로 플랑크 상수를 구하는 연구를 2 ... ...
이전1231241251261271281291301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