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국제"(으)로 총 5,598건 검색되었습니다.
- 로봇, 100년 동안 갖가지 얼굴을 갖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INTERVIEW 박종우(서울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로봇이 쳐들어올 때 대처 방안이요?” 국제로봇학회인 미국 전기전자공학회(IEEE) 산하 로봇자동화학회(RAS)의 회장으로 2019년 선출된 박종우 교수에게 로봇의 미래에 대해 물었어요. Q 곳곳에 로봇이 도입되고 있어요. 이 현상을 어떻게 ... ...
- 용 닮은 탈라루루스 공룡의 머리, 완벽 복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알 수 없었어요.그런데 서울대학교 이융남 교수팀과 캐나다, 일본, 몽골, 포르투갈 국제 공동연구팀이 2007년 몽골 동고비사막의 바얀시레층에서 잘 보존된 새로운 탈라루루스 화석을 발굴했고, 지난 12월 2일, 이 화석을 분석해 탈라루루스 공룡의 머리를 완벽히 복원했다고 발표했어요.서울대학교 ... ...
- [이달의 과학사] 주세페 피아치, 최초의 소행성 ‘세레스’를 발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못하고 이들과 함께 ‘소행성’으로 분류됩니다. 그런데 이게 끝이 아니에요! 2006년 국제천문연맹 총회에서 새로운 분류인 ‘왜소행성*’이 도입되면서, 세레스도 왜소행성으로 재분류되었어요. 행성이랬다, 소행성이랬다, 변덕스러운 사람들을 보고 세레스가 웃진 않았을까요? 용어정리 ... ...
- [한페이지 뉴스] 대왕고래가 지상 최대 동물에 등극한 비결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짧은 시간에 지방을 축적하고 큰 몸집을 만드는 데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12월 13일자에 발표됐다. doi: 10.1126/science.aax904 ... ...
- [한페이지 뉴스] 진공인데 열에너지가 전달되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크기의 양자 진공에서 에너지를 손쉽게 전송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12월 11일자에 실렸다. doi: 10.1038/s41586-019-1800- ... ...
- [신년기획] 내 이름은 ‘쥐D’, 인간 질병 대신 앓쥐, 그렇게 인류를 구하쥐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옷에 기생하는 벼룩이나 이에 의한 감염일 확률이 높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2018년 국제학술지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도 실렸죠. 우리 쥐들이 그간 흑사병의 주범으로 억울하게 몰린 게 아니면 뭡니까. doi: 10.1073/pnas.1715640115 연구팀은 이런 설명도 덧붙였습니다. 만약 쥐가 흑사병을 ... ...
- 곡물 고기는 진짜 고기 맛 날까?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데는 각각 에너지가 26~33GJ(기가줄), 물이 367~521m3, 토지가 190~230m2 필요하다고 2011년 국제학술지 ‘환경 과학 및 기술’에 발표했습니다. 또 이때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는 1.9t에서 최대 2.24t으로 계산됐습니다. 그런데 이를 줄기세포 배양육으로 대체하면 에너지 소비량은 최대 45%, 온실가스 배출량은 78~ ... ...
- “저는 전 세계에 친구를 둔 과학자입니다" 2019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그레그 서멘자 인터뷰과학동아 l2020년 01호
- 019년 12월 2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 자연과학대 국제콘퍼런스홀. 백성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가 주최한 ‘2019 SNU 생명과학 신호전달 및 염색질 심포지엄’에 귀한 친구가 찾아왔다. 2019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그레그 서멘자 미국 존스홉킨스대 의대 교수였다. 2008년 인연을 맺은 두 과학자는 ... ...
- 황금쌀, 20년 만에 식탁 오를까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농업연구관(현 경희대 유전공학과 교수) 팀은 고추 속 PSY 유전자로 황금쌀을 만들어 국제학술지 ‘식물생명공학저널’ 2010년 10월호에 발표했다. doi: 10.1111/j.1467-7652.2010.00543.x GMO 콩과 옥수수, 기름과 전분 원료로 사용 황금쌀처럼 유전자를 변형한 GMO는 인체에 미치는 영향과 환경에 미칠 영향을 알 . ...
- 나는 과학동아 키즈 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국제천문올림피아드 교육 프로그램도 들었다. 그 결과 고등학교 3학년이던 2014년 ‘국제천문및천체물리올림피아드(IOAA)’ 한국 대표단에 선정됐고, 루마니아 수체아바에서 열린 대회에서 동메달을 받았다. 내신도 신경 썼다. 고등학교 3년 내내 ‘올 A’ 등급을 유지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다. ... ...
이전1231241251261271281291301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