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모
경비
소각
비용
사용
이용
지출
d라이브러리
"
소비
"(으)로 총 1,926건 검색되었습니다.
새옷 입은 고속프로세서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미국 등을 중심으로 사생활 침해라는 반발을 샀다. 결국 인텔은 이러한 기능을 일반
소비
자들이 직접 켜고 끌 수 있도록 만든 후 신제품을 출시해야 했다. 그래서 처음 출시될 때는 이 기능은 꺼져 있다.개발 당시 캣마이(Katmai)라는 코드명으로 불렸던 펜티엄III는 속도가 조금 높아진 것 외에 ... ...
체온을 조절하는 고등식물들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특수조직(갈색지방과 비슷한 곳)에서는 ATP를 이용하지 않고 영양물질과 산소를 직접
소비
해 열을 내고 있었다.발열식물을 동물과 비교해 보면 더욱 재미있다. 1백25g의 필로덴드론 셀로움의 꽃은 10℃ 환경에서 9W의 열을 내 40℃의 온도를 유지한다. 이 열량은 똑같은 환경에서 3kg의 고양이가 내는 ... ...
미래도시 생태산업공원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만드는 환경공학이 핵심지금까지의 도시는 에너지를 생산하지 못하면서 많은 에너지를
소비
해왔다. 그러나 생태산업공원에서는 태양광, 풍력 등을 이용해 무공해 에너지를 생산한다. 집집마다 태양전지를 이용해 가정에 필요한 에너지를 자체적으로 해결한다. 학교, 건물, 스포츠센터 등과 같은 ... ...
복제소 영롱이와 유전자 조작 슈퍼벼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이익만을 제공할 것인지는 미지수다. 당장은 맛좋고 영양가 높은 우량종이 농민이나
소비
자에게 인기를 끌지 모른다. 그러나 멀지 않은 장래에 전국에 우량종만이 생존하고 있을 상황을 가정해보자. 각 우량종은 동일한 유전자를 지닌 쌍둥이들이기 때문에 생물종의 다양성은 지극히 한정될 것이다. ... ...
캡슐 요구르트의 진실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μm정도이고, 막의 두께는 1μm 이하다. 즉 우리가 혀로 막을 느끼기는 어려운 두께다. 물론
소비
자들이 느낄 수 있도록 1.5mm 두께의 막에 유산균을 포함시킨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요구르트 1백50mL안에 2백개 이상의 캡슐이 들어있고, 1개의 캡슐 안에는 2백만 마리 이상의 유산균이 들어있다. 또 ... ...
책상 - 보면 볼수록 새로운 과학백화점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큰 것이 단점이다. 이때 방출되는 빛은 장파장(빨간 색의 빛)쪽의 빛이 많이 나온다. 이는
소비
전력이 적은 전구를 켰을 때 붉게 보이는 것으로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반면 형광등이 빛을 내는 원리는 높은 온도와는 무관하다. 형광등의 구조를 보면 수은 증기가 들어있는 긴 유리관의 양끝에 전극이 ... ...
생활 속의 전자파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나오고 있다. 국내에서 신차개발시 전자파 영향을 측정하는 기준 전압은 30V/m이다. 당초
소비
자보호원은 35V/m에서 실험을 했으나 아무런 속도 변화가 나타나지 않아 전압을 높여서 측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실험을 통해 전자파의 유해성이 너무 과장된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있지만, 어쨌든 ... ...
술의 세기는 신경전달물질의 차이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사실을 발견했다. 반면 높은 농도의 NPY를 생산하도록 조작된 쥐는 적은 양의 알코올을
소비
했다.또 알코올로 인한 진정작용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NPY를 가지고 있지 않은 쥐는 보통의 쥐보다 많은 양의 술을 마시고도 잠에서 일찍 깨어났다. 그러나 NPY가 많은 쥐는 반대의 결과를 보였다. 이들은 술을 ... ...
꿈을 표현하는 디스플레이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40인치 정도가 한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크고 얇고 가벼운 디스플레이를 찾는
소비
자들의 욕구는 결국 또다른 디스플레이의 개발을 추동했는데, 현재 이를 가장 잘 반영하고 있는 것이 투사형 디스플레이와 플라스마 디스플레이이다.대화면의 원조 투사형 디스플레이투사형 디스플레이는 ... ...
산과 염기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된 적이 있다. 맹독성의 물질로 알려진 수산화나트륨으로 불고기 판을 씻는 것을 본
소비
자들이 놀란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서양에서 들여온 양잿물을 묽게 만들어서 불고기 판에 붙어있는 찌꺼기를 씻어내는 것은 잿물을 세제로 사용하던 우리 선조의 지혜와 크게 다를 것이 없다. 즉 양잿물로 ... ...
이전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