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알"(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카르탕-아다마르 추측 풀렸을까?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증명한 겁니다. 물론 여러 수학자의 검증을 거쳐야 증명에 오류가 없는지 알 수 있습니다. 스프럭 교수는 “1년 반 동안 잠도 제대로 못자고 증명을 완성했다”며 “대수기하학뿐만 아니라 여러 수학 분야에서 중요한 성과가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
- 양자컴퓨터 시대에 대비하는 수학!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소인수분해를 빠르게 할 수 있는 ‘쇼어 알고리듬’을 이미 만들었기 때문이지. 쇼어 알고리듬을 계산할 수 있는 양자컴퓨터가 만들어지면 RSA 암호는 곧바로 무너지는 셈이야. 해커들이 양자컴퓨터를 이용해 내 컴퓨터의 암호를 몽땅 풀어버리고 정보를 가져간다면 끔찍하겠지? RSA 암호의 후계자 ... ...
- [알고리듬 시그널] 흉가를 빨리 탈출하려면 이걸 알자! 알고리듬의 실행시간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으악! 전국 3대 흉가에 간 견우가 미션을 잘 수행할 수 있을까요? 실행 시간에 대해 미리 알려줬더라면 좋았을 텐데 걱정이에요. 최강도 기절한 마당에 견우 혼자 잘 해낼 ... 하죠! 참고자료 아디트야 바르가바 ‘그림으로 개념을 이해하는 알고리즘’, 양성봉 ‘알기 쉬운 알고리즘 ... ...
- 괭이갈매기 알 1600개 훔쳐간 도둑 잡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번식지, 난도에서 무슨 일이?Part2. 괭이갈매기 번식을 위한 최선의 방법Part3. 괭이갈매기 알로 어떤 연구를 할까? 도움김미란 책임연구원(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 조사연구부), 김철수 경사(태안해양경찰서 수사과), 이장호 연구관(국립환경과학원 환경자원연구부 자연환경연구과), 홍상희 ... ...
- 번식을 위한 최선의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번식 계획을 망칠 수 있는 거예요. 태안해경은 이와 같은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해 알 1600개를 국립공원연구원, 국립환경과학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세 곳에 연구목적으로 기증했답니다. 괭이갈매기는 원래 새우나 멸치 등 단백질 위주의 먹이를 먹어요. 탄수화물이 주성분인 새우깡이 이들에게 ... ...
- 150만 년 전 지구의 기록 빙하코어에서 찾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알려져 있다”며 “100만 년 전후의 물질들을 분석하면 기후 변화 주기를 바꾼 원인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현재 지구온난화의 원인과 해결방안을 마련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선도하는 곳은 유럽이다.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영국 등 유럽 국가들이 참여하는 ... ...
- [포토뉴스] 양자 물질 들여다보니 프랙털이 숨어있었네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눈송이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특정한 무늬가 반복되는 프랙털 구조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프랙털은 작은 조각이 모여 자신과 똑같은 형태의 전체 구조를 만드는 기하학적 형태를 말합니다.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연구진은 ‘양자 물질’의 일종인 네오디뮴 니켈산화물(NdNiO3)을 X선 ... ...
- 아름다운 우주를 만든 작은 것들을 위한 時수학동아 l2019년 12호
- 것과 같은 방식이에요.시민들이 찾아 준 왜소은하 데이터는 왜소은하를 찾는 딥러닝 알고리듬을 학습시키는 데도 큰 도움을 줄 거예요. 앞으로는 딥러닝 같은 인공지능을 이용해 왜소은하를 찾게 될 텐데 딥러닝을 정교하게 학습시킬 데이터가 부족한 상황이거든요. 외국 과학자들 중에는 ... ...
- [매스미디어] 겨울왕국II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듯한 불까지! 겉으로는 무작위해 보이는 움직임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등위집합’을 알아야 해. 등위집합은 유체의 움직임을 수학적으로 기술하는 방법의 하나야. 바람이나 불의 모양을 한번 생각해봐. 수많은 곡선으로 이뤄져 있지? 이 곡선들은 모여서 곡면을 만드는데, 곡면을 나타내기 ... ...
- 괭이갈매기 알로 어떤 연구를 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괭이갈매기 부부들에게 알을 다시 돌려주진 못했지만 버려지지 않고 연구 목적으로 쓰인다니 다행이네요. 어떤 연구에 이용되는 건가요? 괭이갈매 ... 난도에서 잰 알의 크기를 비교해서 확인하려고요. 또 야외에선 정확히 구별할 수 없었던 알 색깔과 패턴의 차이도 연구할 계획이랍니다 ... ...
이전1231241251261271281291301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