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남자 뇌' '여자 뇌' 는 타고난다? 100년 연구결과는과학동아 l2020년 10호
- 특성을 가진 뇌가 있다면 그것만 보고는 자신있게 성별을 예측할 수 없을 것이다. 예를 들어 키를 생각해보자. 필자의 키는 5피트7인치(약 170cm)다. 이 키만 보고 필자의 성별을 맞출 수 있겠는가? 뇌는 키보다도 성별에 따른 차이가 훨씬 작다.(이스라엘 텔아비브대) 신경과학자인 다프나 조엘과 동료 ... ...
- [매스미디어] 히든싱어6수학동아 l2020년 10호
- 두 값의 차를 제곱한 뒤 그 값들의 평균을 구하는 ‘평균제곱오차’로 구했습니다. 예를 들어 AI가 학습한 원조가수의 발매 음원의 에너지 값이 (3, 5, -4)이고, 히든싱어에서 부른 원조가수의 노래는 (1. 7, -6), 모창 도전자가 부른 노래는 (-2, 8, -8)이라 해봅시다. 그럼 AI가 학습한 음원과 히든싱어에서 ... ...
- [헷갈린 과학] 산딸기 vs 복분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우리나라 특산 나무로 분류된다. 복분자는 비타민A와 C, 미네랄이 들어 있어서 예부터 몸에 좋은 과일로 잘 알려졌다. 병약했던 사람이 스님의 권유로 복분자를 부지런히 먹었고, 이후 소변 줄기가 요강을 뒤엎어 버릴 만큼 건강하고 힘이 세졌다는 이야기가 전해질 정도다. 그래서 ‘뒤집히다 복(覆 ...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집에만 있으니 답답해? 집콕 메이커 도전! 놀이공원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있어요. 이것이 ‘저항’이랍니다. 저항은 전기회로에서 전자의 흐름을 방해하는 요소예요. 보통 저항은 전선이 너무 가늘거나 전선의 재질이 전기를 잘 통하지 못할 때 커진답니다. 앞서 가변저항이 ‘저항의 값을 바꿀 수 있는 장치’라고 했죠? 가변저항을 돌리면 저항의 값을 줄이거나 늘릴 수 ... ...
- [한 장의 과학] 세상에서 가장 세밀한 원자 3D 증명사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구조가 다 다르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답니다.박정원 연구위원은 “물질의 성질을 예측하고, 합성하는 것이 미래 소재 개발에 매우 중요하다”며 “이번 촬영 기술이 앞으로 촉매나 디스플레이, 신약 개발 등 신소재 개발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용어정리그래핀 : 탄소 ... ...
- [꽃가루의 변신 3] 종이가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있다는 게 어떤 의미인가요? 암술머리에 붙기 전, 꽃가루는 발아구를 닫은 딱딱한 상태예요. 그러다 암술머리에 붙으면 발아구를 열고 수분을 공급받죠. 연구실에서는 수소이온농도(pH) 등의 조건을 바꾸어 인위적으로 꽃가루가 발아구를 열도록 만들었습니다. 그럼 꽃가루 안에 더 많은 수분이 ... ...
- [시사과학] 하늘을 뒤덮은 사막메뚜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사막메뚜기 떼를 잡지 못하면 6월 경에는 현재보다 500배 이상으로 규모가 커질 것으로 예측했답니다.FAO는 사막메뚜기가 휩쓴 동아프리카와 중동지역은 식량 부족으로 인한 영양실조가 심각하다며 국제사회에 도움을 요청했어요. 항공기로 공중에서 살충제를 뿌려 메뚜기를 없애기 위한 노력도 하고 ... ...
- [인터뷰] “매일 머릿속으로 방정식 풀어요!”수학동아 l2020년 09호
- 않다는 걸 알아야 한다는 겁니다. 보험회사뿐 아니라 어떤 일을 하더라도 수학이 아닌 예술과 인문학 등에 관심을 가지며 다른 것을 좋아하는 사람을 이해하고 소통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인문학과 사람, 세상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 송 대표님이지만 “매일 ... ...
- 어떤 디자인을 좋아할까?수학동아 l2020년 09호
- 양쪽에 배치하고 캐릭터가 주는 느낌의 정도를 1점부터 7점까지 표시하도록 했습니다. 예를 들어 매우 새로우면 1점, 보통이면 4점, 매우 익숙하면 7점입니다. 동시에 캐릭터에 대한 선호도도 표시하게 했죠. 그다음 ‘회귀분석’을 이용해 캐릭터의 선호도에 비례해 증가하는 요소를 알아봤습니다. ... ...
- 우주에서 펭귄 서식지를 추적하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배설물이 분포하는 면적을 구하면, 현장에서 면적에 따른 개체 수와 비교가 가능하다. 한 예로 황제펭귄은 배설물이 관측되는 면적 1m²에 평균 1.07마리가 서식한다고 알려져 있다. 육상에 사는 아델리펭귄은 지형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동남극에서 조사된 사례에는 1m²에 평균 약 0.63쌍이 번식한다 ... ...
이전1231241251261271281291301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