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야기"(으)로 총 6,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오일러프로젝트] 코딩 지니, 1부터 1000까지 영어로 썼을 때 사용한 글자수는?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알라딘’을 봤거나 ‘알라딘과 요술 램프’ 이야기를 아는 사람이라면 소원을 들어주는 지니를 한 번쯤 만나고 싶어 하죠. 그런데 오일러 프로젝트에 코딩 지니가 나타났습니다. 풀고 싶은 문제를 모두 말해주세요! 어렵지 않다면 해결해 드릴게요! “혹시 다음 오일러 프로젝트 문제가 ... ...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2. 외계인을 어떻게 찾아?수학동아 l2020년 07호
- 탐색시스템 ‘KMTNet’이라 부르는데요, 이를 이끄는 이충욱 책임연구원님을 모시고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수따 우리나라 외계행성 탐색시스템에 대해 소개 부탁드려요~. 이충욱 KMTNet은 동일한 성능의 망원경 3대를 호주와 남아프리카공화국, 칠레에 설치해 우리은하 중심부를 집중적으로 ... ...
- [기획] Maker. 게임 밸런스의 핵심은 수학!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밸런스야. 유저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밸런스 요소지. 이건 실제 게임 개발자에게 이야기를 들어보도록 할게. 안녕하세요. 저는 카트라이더에서 유저가 사용하는 카트바디의 밸런스 조절을 맡고 있습니다. 게임의 캐릭터는 자신만의 개성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경쟁은 공정하도록 비슷한 ... ...
- [퍼즐라이프] 꼭꼭 접어라, 전개도가 보일라!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주KPP(한국 퍼즐 파티)는 ‘퍼즐을 좋아하는 사람들의 모임’입니다. 저희들의 퍼즐 이야기를 통해 신기한 퍼즐과 그속에 숨은 수학을 즐겨보세요! “정사각형이 가로로 3칸, 세로로 3칸 그려진 3×3 종이가 있다. 이 종이의 한쪽은 채색면이고 한쪽은 흰색 면이다. 정사각형의 변 중 일부를 자른 뒤 ... ...
- [동상이문] 7화 '첨벙 첨벙' 여름이 떠오르는 '더 큰 첨벙'수학동아 l2020년 07호
- ※ 편집자주지금까지 ‘동상이문’을 사랑해주신 여러분 감사합니다. 동상이문은 끝나지만 은과 윤은 지금도 수학과 예술을 함께 이야기하며 즐겁게 살고 있을 ... 수학을 사용한다니, 너 지금 신기해하고 있지? 그것 봐~, 나랑 다니면 이렇게 재미있는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니까! 후훗 ... ...
- [진로체험] 건설 현장의 문제도 수학으로 푼다! 인공지능 엔지니어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처음에는 일하다 보면 바빠서 아이디어가 잘 떠오르지 않을 줄 알았는데, 다른 사람과 이야기를 나누거나 일을 하는 과정에서 계속 새로운 아이디어가 떠올라요. 그래서 하루에도 몇 번씩 아이디어를 검증해보곤 해요. 정말 재미있습니다. 여러분도 수학을 공부해서 저처럼 산업 분야의 문제 풀이에 ... ...
- 2016년 지카 바이러스 ┃치사율 ‘제로’에도 공포를 일으킨 바이러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유행하던 시기에 선천성 기형인 소두증 신생아가 증가했다는 보고가 나오면서 이야기가 달라졌다. 소두증은 정상보다 뇌의 크기가 10% 정도 작게 태어나는 기형이다. 한때 지카 바이러스와 소두증의 상관관계에 대한 논란도 있었지만, 세계보건기구(WHO)는 2016년 2월 1일 브라질 등에서 보고된 ... ...
- 독수리 ‘하나’가 동물원에 온 사연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이런 하나가 청주동물원에 살게 된 데에는 특별한 사연이 있는데요, 이번 화에서는 그 이야기를 전해드리려 합니다. 야생동물구조센터에서 온 독수리하나의 부리는 마치 두 개인 것처럼 삐뚤어져 있어요. 청주동물원 식구들은 ‘삐뚤어진 부리지만 정상적인 부리 하나처럼 제 역할을 했으면’ ... ...
- [매스미디어] 신비아파트, 고스트볼 더블X 6개의 예언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오랜만에 다시 만나게 됐지. 신비아파트 시리즈 사상 최대의 세계관과 더욱 무시무시한 이야기로 말이야!‘고스트볼 더블X 6개의 예언’은 종말론을 큰 줄기로 삼아 진행돼. 도깨비 ‘금비’의 요술 덕분에 친구들과 나는 1년 뒤의 미래로 가게 됐어. 그런데 그 세계는 모든 사람이 돌로 굳어버리고 ... ...
- [인터뷰] 호기심의 최전선을 꿈꾼다, 최재경 제8대 고등과학원장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쉽게 발표해야 많은 사람에게 연구가 알려지고 세상에 도움이 됩니다. 그런데 글을 쓰며 이야기를 다양하게 만들어봐야 연구를 소개할 때도 재밌게 발표할 수 있거든요. 뛰어난 연구를 하려면 무엇이 필요한가요?남과 다르게 생각하는 것과 끈기가 필요합니다. 수학이 아닌 다른 학문도 비슷할 ... ...
이전1231241251261271281291301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