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마귀
사항
얼룩
닷
포인트
지점
간반
d라이브러리
"
점
"(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게임디자인씽킹] 런게임은 어떻게 만들까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연속으로
점
프가 가능하거나
점
프한 상태에서도 달리는 동작을 하고 있는 등 개선할
점
이 많이 있으니, 직접 코드를 수정해 보기 바랍니다. 우수한 결과물을 폴리매스 사이트에 올린 참가자에게는 선물을 드릴 예정입니다. 지금 바로 참여하세요 ... ...
사람 발길 닿지 않는 곳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개선하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훼손이 적은 지역을 복원해 생태적으로 온전한 지역을
점
차 확장하는 일이 더 중요하다”며 “이 복원에 성공한다면 훼손된 지역이 무엇을 잃었는지 상기시켜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떤 모습이 진정한 야생 생태계의 모습인지 측정하는 데 유용한 기준이 될 ... ...
[기획] 폐기물 대란으로 본 직매립의 현주소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부담도 더해진다. 매립지 주변 지역에서 크고 작은 환경 관련 분쟁이 이어지고 있다는
점
도 부담이다. 주로 안정화를 거치지 않은 비위생매립지나 폐기물을 불법으로 무단매립한 불법 폐기물 매립지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2019년 미국 CNN에도 보도됐던 경북 의성 쓰레기 산이다. ... ...
기계학습 AI에 입력된 데이터로 결과를 예측해보자!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찍었습니다. 데이터 사이의 숨어있는 관계를 알기 위해 아이폴리는 데이터를 표현한
점
들 사이에 무수한 추세선을 그렸죠. 이 추세선들은 바로 아이폴리가 고안한 기온에 따른 귀뚜라미 울음소리 빈도수 예측 모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추세선을 일차함수로 나타낼 수 있죠. 그리고 이 모델들은 ... ...
[수담수담] 수학과 문학의 수상한 만남-함기석 작가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를 예로 들었습니다. 이 시에는 수학 용어가 직접 등장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점점
자라는 사슴의 뿔, 조금씩 부푸는 복어의 배, 계속 자라는 아빠의 콧수염이 표현돼있죠. 이런 것은 일상생활에서 직간접적으로 경험하고 관찰할 수 있는 것들입니다. 친숙한 소재를 이용해 함 작가님은 수학의 ... ...
[수학자의 연구노트] 예상치 못했던 수학자와의 만남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그리고 문제의 풀이 과정에 전에 쓰인 적 없던 희한한 군론의 개념을 사용했다는
점
덕분인지 전문가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었다. 내가 처음 떠올렸던 대로 기하학적 아이디어만을 이용해 문제를 풀었다면 이렇게 재미있는 연구가 될 수 없었을 것이다. 그동안 여러 수학자와 공동 연구를 ... ...
[통합과학 교과서] 맛의 비밀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 에필로그 “답은 매운맛이었어요! 몸이 다시 커지는 버섯은 미각 세포가 아니라 통
점
으로 느끼는 매운맛 버섯이었던 거예요!”꿀록 탐정의 설명을 들은 앨리스가 두 손을 번쩍 들었어요. 이젠 원래대로 돌아갈 수 있겠다며 기뻐했지요. 개코 조수는 앨리스가 가져온 버섯의 냄새를 맡으며 그 ... ...
돌의 온기 되살린 빛의 사진가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상의하고 도면을 들여다봤죠. 사진에 담긴 관
점
이 곧 후손이 이 유물을 바라보는 관
점
이라는 생각을 하면 늘 공부할 수밖에 없어요.” 사진 기증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한국에 남겨진 유물 대부분은 박물관 수장고에 잠들어 있다. 큐레이터에게 선택돼 전시되지 않으면 일반인들은 이 유물을 볼 ... ...
신속PCR 쟁
점
3가지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있다”고 말했다. 그는 신속PCR 진단시약의 정확도가 기존에 비해 다소 떨어질 수 있다는
점
은 인정하면서도 “서울대의 이번 결정은 소수의 확진자를 찾아내는 것보다 대다수의 음성인 사람들을 관리하기 위한 최소한의 근거를 만들자는 것인 만큼 이제는 타액 검체 채취 등 용이성을 따져야 할 ... ...
최초의 인류는 누구인가? 위태로운 호미닌의 여명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이제는 보행 방법에 대한 유력한 증거가 제시된 만큼 학계의 재논의가 필요한 시
점
”이라고 말했다.고인류학계는 다양한 의견을 내놓고 있다. 당시 지리학적 변화로 대퇴골 구조가 크게 바뀌지 않더라도 이족보행이 가능했다고 주장하는 고인류학자도 있고, 두개골과 대퇴골 화석이 육안상으로도 ... ...
이전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