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d라이브러리
"
조절
"(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우리 이렇게 살고 있어요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복원하고 있다. 숲에서 식물이나 먹이 사슬 속 아래쪽에 위치하는 동물의 개체수를
조절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동물이다. 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에서 주도하고 있으며 백두산에서 내려오는 산줄기인 백두대간 생태축을 복원하는 첫걸음이기도 하다.몸집 작지만 눈에 띄고 ... ...
생리의학상 - 체세포의 시계는 거꾸로 간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stem cell. iPS)다. 2006년 신야 교수는 배아줄기세포에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유전자 발현을
조절
하는 인자( 전사 인자)가 있다는 점에 착안했다. 그래서 이런 전사인자가 일반 체세포 내에서도 발현하게 만들면 배아줄기세포와 같은 유전정보가 전사돼 체세포가 배아줄기세포 같은 세포에서 변할 ... ...
Part 1. 조미료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뇌와 혈액 사이에 있는 혈뇌장벽이 아무 물질이나 마음대로 뇌로 들어가지 못하게
조절
하기 때문이다. 이미 1970년대 기니피그와 쥐를 갖고 알아본 실험 결과 혈중 글루타민산 농도가 20배 가까이 올라가야 뇌 속의 농도가 의미 있게 변했다. 몸무게 60kg인 사람이 MSG를 100g 이상 먹어야 하므로 ... ...
물리학상 - 양자컴퓨터 성큼 다가오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원자의 속도를 제어해서 광자와 원자의 상호작용을 잘
조절
할 수 있다. 어떻게
조절
할 수 있을까. 광자와 원자가 상호작용하면 원자의 양자 상태 위상에 변화가 일어난다. 이 위상 변화는 광자가 공진기 안에 있을 때는 발생하지만 광자가 공진기 안에 없을 때는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위상 변화 ... ...
앞뒤로 왔다 갔다~! 고백카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조금만 움직이는 걸까요? 무권이의 탐구노트❶ 바퀴를 돌려 고무줄을 감는 횟수를
조절
하면서 고백카를 움직여 보자.❷ 고무줄을 감는 횟수에 따라 변하는 고백카의 왕복 횟수를 관찰해 보자.고백카를 더 많이 왕복시켜라!고무줄을 감는 횟수를 늘리니 자동차가 더 멀리 가고 여러번 왕복하는구나 ... ...
깨끗한 지구 만드는 촉매홀릭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연구실을 대표하는 타이틀로 삼았다. 헤테로폴리산 촉매는 다양한 금속을 치환해 특성을
조절
할 수 있어 최근에 각광받고 있다.“비록 우리나라가 출발은 늦었을지 모르지만 빠르게 따라잡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일부 선진국이 보유한 기술을 우리 것으로 만들고 있죠. 촉매 기술에서만큼은 국내 ... ...
화학상 - 응급실에서 들은 ‘세포의 대화’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알레르기 같은 질환이 그 예다. 시판되고 있는 치료용 약물의 약 절반은 구아닌 수용체를
조절
하는 방식으로 작용하고 있다. 여기에는 항히스타민제, 베타 차단제 등 다양한 치료용 약물이 포함돼 있다.최근 국내에서도 관련된 연구가 진행 중이다. 필자의 연구실에서도 BLT2라 불리는 새로운 구아닌 ... ...
GMO 안전성에 빨간 불?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방법은 화학물질의 규제 기준을 만들기 위해 하는 실험으로, 음식과 같이 불균질하고
조절
하기 어려운 물질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뜻이다.사용된 쥐의 수도 비판을 받았다. 네이처는 10월 10일 또다른 기사에서 “연구팀은 경우별로 암수 각각 10마리씩 썼지만(총 200마리),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 ...
생쥐도 노래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수컷 생쥐 2마리를 함께 두고 8주 동안 관찰한 결과 생쥐들이 서로 서서히 음 높이를
조절
해 맞춰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자비스 교수는 “비록 생쥐가 새나 사람처럼 노래를 부르는 것은 아니지만 생쥐들이 음정을 학습할 수 있는 뇌 회로와 행동학적 속성을 모두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 ... ...
바다에 살고 죽는 제주의 어머니, 해녀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다 자란 생물만 채취한다. 호흡장비를 사용하지 않는 것도 잠수 시간을 줄여 수확을
조절
하기 위해서다. 해녀는 오로지 스스로 다시 수가 늘어날 수 있는 생물만, 개인적인 용도나 적당한 선에서 이득을 볼 수 있는 정도만 채집한다. 그리고 한 해녀 공동체가 속한 아주 작은 영역에서만 작업한다. ... ...
이전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