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초"(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안전하게 분해하고 친환경적으로 처리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못하게 하는 역할도 한답니다.리암이 아이폰 한 대를 해체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11초예요. 이는 사람이 작업하는 것보다 훨씬 빠른 속도지요. 또, 리암은 손톱 크기보다 작은 나사까지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아주 적은 양의 금속도 추출할 수 있답니다.미생물로 금속만 쏙쏙~전자제품에서 순수한 ... ...
- [과학뉴스] 세균도 촉각이 있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세균은 점막이나 장 안쪽 피부를 통해 침투한다. 세균이 점막에 접촉하는 최초 몇 초는 감염을 일으키는 과정에서 매우 중요하지만, 세균이 점막 표면에 닿았다는 사실을 어떻게 인지하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았다. 우르스 예날 바젤대 바이오젠트룸 연구그룹 교수팀은 병원성이 없는 카울로박터 ... ...
-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조심스럽게 추정하고 있다. 우선 눈 앞에 있는 얼굴을 보면서 형성된 시각정보는 ‘초기 시각 신경망’을 거쳐 대뇌피질의 후두엽에 있는 ‘일차 시각 피질(V1·primary visual cortex)’로 전달된다. ‘대처 착시’ 실험마거릿 대처 총리의 사진을 위아래가 바뀌도록 뒤집었다(➊).이 상태에서 눈과 입을 ... ...
- Part 2. 장난감 연구하는 수학자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도는 장난감으로, 거울 위에 자석으로 된 원반을 올려놓고 돌리면 쓰러지지 않고 100초 이상 돌아요. 새로운 돌림힘 없이 계속해서 도는것이 신기했던 모팻은 오일러의 디스크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방정식을 만들었어요. 방정식에 따르면 디스크의 무게가 무거울수록 디스크가 오래 돌고, 디스크가 ... ...
- [DJ CHO의 롤링수톤] 김소희의 ‘춘향가’ 판소리 명창의 비법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수입니다. 주파수의 단위는 Hz로, 1초당 1회 반복하면 1Hz입니다. 예를 들어 100Hz는 성대가 1초에 100번 진동한다는 뜻이지요. 폭포 앞 득음이 과학적인 진짜 이유보통 사람의 목소리는 낮은 주파수 영역에서 큰 진폭을 나타내고,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진폭이 급격히 감소합니다. 그러나 소리꾼은 중간 ...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있다. 국내 3차원 얼굴 분석 업체인 트라이큐빅스는 적외선 센서 없이 일반 카메라로 3~5초간 동영상을 찍어 얼굴을 3차원으로 인식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트라이큐빅스가 자체 개발한 알고리즘이 동영상에서 다각도의 얼굴 이미지를 뽑아 3차원 그물 구조로 만든 다음, 여기에 실제 피부와 동일한 ... ...
- [Future] 남극 펭귄 ‘제니’ 관찰카메라 24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깊은 곳에서도 사냥을 할 수 있지만, 밤에는 얕은 곳에서 먹이를 찾지. 고래처럼 초음파라도 쓸 수 있다면 빛이 없는 깊은 곳에서도 먹이를 찾을 수 있겠지만 안타깝게도 우리에게는 그런 능력이 없어. 그래서 카메라 로거는 우리가 주로 사냥하는 밝은 지역의 다양한 생태 정보를 기록해 줄 수 ... ...
- [Career] 원자로 안전 책임질 설계 프로그램 ‘맥카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McCARD)’라는 입자해석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이렇게 하면 4개월이 걸리던 계산 시간을 1초로 대폭 줄일 수 있다. 맥카드는 2016년 완공된 요르단 연구용 원자로(JRTR)의 설계에 사용됐다. 심 교수는 “10년에 걸쳐 힘들게 만든 프로그램이지만, 연구 목적에 한해 무료로 배포하고 있다”며 “국내 원자력 ... ...
- Part 1. 레고 덕후 수학자의 신기록 도전기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일도 생기고요. 초등학교에 가서 봉사활동을 하는 것도 수업의 일부라 대학생이 초등학생에게 수학과 레고 조립하는 방법을 가르쳐줬답니다. Q. 레고 신기록 도전을 하면서 가장 기억에 남는 순간이 있나요?도전 당일 지역 주민들이 운동선수를 응원하듯이 우리의 도전을 한마음 한뜻으로 격려한 ... ...
- Part 1. 26년 만에 세상의 빛을 본 연구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몽펠리에대에서 수학을 공부했다. 하지만 강의에는 흥미를 느끼지 못했다. 학기 초에 교과서를 처음부터 끝까지 훑어보고 모든 지식을 흡수했기 때문에 수업을 들을 필요가 없었던 것이다. 그로텐디크의 뛰어난 재능을 눈여겨 본 교수들의 추천으로, 1948년에 파리로 가서 수학 공부를 시작했다. 1 ... ...
이전1231241251261271281291301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