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편"(으)로 총 4,072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국내 최초 수각류 공룡 화석 발견!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전기 소형 육식공룡의 최고 권위자입니다. 이 주제로 사이언스, 네이처에 논문을 34편이나 썼어요. 게다가 이 종류의 공룡 화석은 오직 중국 랴오닝성에서만 나와요. 최고 적임자였죠.Q 앞으로 언제쯤 연구 결과를 볼 수 있을까요?A 1~2년 생각하고 있습니다. 제가 천연기념물센터에서 동물과 지질 ... ...
- [Hot Issue] 두 발 괴물, 빅풋은 없었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비판을 받아 왔다. 학술지에 발표된 신비동물학 관련 논문은 위 논문 외에도 두 편이 더 있는데, 이들은 아예 작정하고 우스개로 쓴 논문이었다 (박스 기사 참조). 신비동물학에서 다루는 자료는 과학적 증거보다 목격자 증언이나 발자국, 진위 여부를 가리기 힘든 영상 등이 대부분이며, 조작으로 ... ...
- [Hot Issue] 가마에 오르면 사람이 바뀐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이것이 권력감을 느낀 사람이 당당하고 자유롭게 행동하게 만드는 요인이 되겠으나, 한편으로는 안하무인으로 행동하게 만드는 이유도 된다.굳이 이해하려 애쓰고 싶지 않아왜 이렇게 찰나의 권력감이 사람들을 배려가 없는 존재로 만들어 버리는 걸까? 우선 타인의 입장, 생각, 감정을 정확히 ... ...
- [Hot Issue] 상공 528km, 한반도에 ‘밤눈’이 생기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모양이기 때문에 3A라는 이름이 붙었다. 크기도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 지름과 전지판을 편 전체 폭은 2m와 6.25m로 동일하지만 높이만 3.8m로 30cm 커졌다. 늘어난 공간에는 그동안 아리랑 위성에는 없었던 새로운 기능이 들어갔다. 바로 적외선 카메라다. 아리랑 1, 2, 3호에는 오직 광학카메라만 들어가 ... ...
- 스테고사우루스는 무서운 파이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2호
- 나는 원래 정말 착한 공룡이란 말이에요. 그리고 나는 공룡 중에서 뇌가 가장 작은 편에 속해요. 풀을 뜯고 어슬렁거리며 돌아다니는 데만 머리를 쓰면 되거든요. 지구 정복처럼 복잡한 일은 나한테 시켜도 별로 소용이 없을 걸요? [과학동아몰 추천상품 ▶ 공룡을 좋아하는 우리 아이와 함께 공룡 ... ...
- 데이노케이루스가 전하는 거대공룡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2호
- 암수를 따지려면 개체를 많이 발견해야 하거든요. 대개 암컷은 수컷에 비해 몸집이 큰 편이에요. 알을 낳아야 하므로 골반이 특히 넓지요. 이외에도 두개골을 CT(컴퓨터 단층)촬영해 시각과 후각이 얼마나 발달했는지도 연구할 계획 이랍니다. Q공룡박사를 꿈꾸는 친구들에 게 한 ... ...
- 재밌는 수학으로 한여름을 물들인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7호
- 첫 번째 필즈상을 탄 헤어러 교수는 물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을 뿐 아니라 음악 편집 프로그램을 직접 개발하고, 벤처기업을 운영하는 다재다능한 수학자야. 또 어릴 때부터 관심을 가진 과학을 잘 활용하는 수학자이기도 해. 물리에서 영감을 얻어 수학으로 문제를 해결하거든. 노벨상에 수학이 ... ...
- 사슴벌레 VS 장수풍뎅이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3호
- 큰 것은 15㎝나 된답니다. 하늘소는 비슷하게 생긴 다른 곤충에 비해 더듬이가 긴 편인데 몸길이의 3배에 이르기도 하지요. 하늘소의 한 종류인 장수하늘소는 우리나라 천연기념물이랍니다. 장수풍뎅이딱정벌레목 장수풍뎅이과에 속하는 장수풍뎅이는 큰 뿔과 강한 힘을 자랑해요. 3.5~5.5㎝ 크기로 ... ...
- [체험] 스튜디오 지브리 입체조형전 전시관에 숨겨진 비밀을 파헤치다!수학동아 l2014년 12호
- 덕분에 관람객은 전시 공간에서 마치 그 장면 속에 들어간 것처럼 느낄 수 있다.토토로 뒤편의 빗줄기는 끊임없이 아래로 흐르는 것 같지만, 사실은 같은 영상을 반복 재생한 것이다. 바닥의 낡은 느낌은 별도의 ‘에이징’작업을 통해 구현했다. 또한 평범했던 천장을 높이 뚫어, 실내가 아니라 진짜 ... ...
- [knowledge] “산호를 보니 숨통이 트여요”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군은 여기 와서 자신감을 얻었다. 스스로 “여기 온 친구들 중 가장 성적이 안 좋은 편”이라며 위축된 상태였는데, 최영웅 박사와 윤병진 연구원을 만나고 나서 달라졌다. “성적보다는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찾고, 목표를 세워 하나씩 실천하면 된다”는 말이 조 군의 가슴에 싹을 심어줬다.“제가 ... ...
이전1231241251261271281291301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