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현재"(으)로 총 11,770건 검색되었습니다.
- [변화2] 우리 가상에서 만나! 공존현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그 결과 4D+SNS를 개발하게 되었답니다. Q 참여 가능한 인원과 거리가 얼마나 되나요?현재는 최대 4명이 거리에 제한 없이 가상 공간에서 만날 수 있어요. 지난해 10월, 서울 홍릉동에 있는 사용자가 약 16km 떨어져 있는 봉천동의 사용자와 가상 공간에서 만나 게임을 하는 데 성공했지요. 거리가 ... ...
- [시사과학] 코로나19 어린이 브리핑 개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사회활동을 많이 해서 어른들 중심으로 코로나19가 퍼진 것일 수도 있거든요.다만, 현재까지 모인 국내외의 자료를 볼 때, 소아·청소년의 경우 코로나19에 걸려도 증상이 어른보다 약한 것으로 추측됩니다. 우리나라 소아·청소년 확진자 91명의 증상을 분석하니 22%는 증상이 없었고, 나머지 중에도 ... ...
- [에디터노트] 같은 구름 아래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일상의 모든 데이터를 보관, 처리하는 클라우드의 보안 기술에 대해서도 다뤘습니다. 현재 클라우드 서비스는 아마존웹서비스(AWS),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알리바바 등 몇몇 기업이 독점적으로 제공합니다. 여기에 규제가 필요할지, 과학동아 커뮤니티 사이트 사이언스 보드를 통해 독자들의 ... ...
- [한페이지 뉴스] 소행성 베누가 돌조각을 뿌리는 이유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베누 표면에서 돌조각이 생성될 수 있다고 가정하고, 컴퓨터 모델을 활용해 베누와 현재 궤도에서 부딪칠 수 있는 유성체의 평균 충돌 빈도를 계산했다. 그 결과 유성체가 산탄총(샷건)을 쏘는 정도의 힘으로 2주에 한 번 정도 베누에 부딪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돌조각이 떨어져 나온다는 분석이 ... ...
- ‘테넷’ 시간 역행, 현실에서 따라잡기과학동아 l2020년 10호
- 같은 공간에 있다고 하더라도 사토르는 시간을 역행한 만큼 과거에 존재하고 요원은 현재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즉 사토르는 눈앞에서만 사라진 게 아니라, 요원의 세계에서 아예 없는 사람이 된다. 물론 인버전을 할 때 인물이 사라지기만 하는 것은 아니다. 한 예로 요원이 캣을 구하기 위해 ... ...
- [팩트체크] 인공물과 새의 충돌, 막을 수는 없을까?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대한 고민이 덜했던 시기에 완공돼 이런 기준을 지키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현재 국토교통부의 행정규칙 ‘조류 및 야생동물 충돌위험감소에 관한 기준’에 따르면 공항 주변 공간관리 구역은 반경 약 8km 이내로 한정돼 있습니다. 이런 기준을 정할 때 일부 건설업계 관계자들은 높이 날지 ... ...
- 사과, 배, 감... 저마다 색으로 물드는 이유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붉다. 색을 내는 항산화 물질인 ‘안토사이아닌(anthocyanin)’ 성분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현재 전 세계에 공급되는 블러드 오렌지의 대부분은 시칠리아 지역에서 유래한 종이다. 연구팀은 고대 지중해 남부에서 폭넓게 재배되던 일반 오렌지가 기온이 낮은 시칠리아에서 재배되면서 안토사이아닌 ... ...
- [인터뷰] “매일 머릿속으로 방정식 풀어요!”수학동아 l2020년 09호
- 반드시 수학을 잘 알아야 한다는 것이 송 대표님의 생각입니다. 메트라이프생명에서는 현재 AI와 빅데이터를 도입하려는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기계학습 기법으로 고객의 행동 패턴과 어떤 보험 상품을 선호하는지와 고객이 보험을 해지하지 않고 유지하는 비율 등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또 ... ...
- [이달의 수학자] 한국이 제2의 고향이라는 필즈상 수상자, 예핌 젤마노프수학동아 l2020년 09호
- 의 고향으로 여기는 1994 필즈상 수상자, 예핌 젤마노프 고등과학원 수학부 교수가 소련(현재 러시아)에서 태어난 날입니다.젤마노프 교수는 우리 나이로 23살에 러시아 노보시비르스크대학교 수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습니다. 그리고 26살이 되던 1980년에 박사학위를 받을 정도로 뛰어난 ... ...
- 우주에서 극지를 보는 이유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연구에 체계적인 원격탐사 기법을 적용하는 곳은 국내에서 극지연구소가 유일하다. 현재 아리랑 위성을 활용한 극지 연구는 해양수산부가 지원하는 기관 고유사업으로 운영되고 있다.한국은 다른 나라와 비교하면 원격탐사 연구에서 후발주자지만, 눈에 띄는 성과를 내고 있다. 극지연구소는 사상 ... ...
이전1231241251261271281291301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