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0"(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수학적으로 만드는 눈결정의 비밀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만들었다. Γ 1일 때는 접시 모양으로 자라나고, Γ≥1일 때는 기둥 모양으로 자라난다. u0가 클수록 눈결정이 만들어지는 속도가 빨라진다. Γ★ Γ는 그리스 문자 중 세 번째 글자다. ‘감마’라고 읽으며 소문자는 γ다. 이 모형을 컴퓨터에 넣고 눈결정을 성장시키자 놀라운 결과가 나타났다. 일본 ... ...
- [에디터 노트] 과학은 올림픽을 더 재미있게 만든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통과하는 순간 초당 1000장이 찍혔고, 2012년 런던올림픽에는 양자 타이머가 도입돼 100만 분의 1초까지 기록됐다. 그러니 2월 평창 동계올림픽에서는 과학기술을 한번 관람해보자. 기록 외에도 관전 포인트가 많다. 초고속 카메라가 이상화 선수의 기록 단축에 어떤 역할을 했는지, 스켈레톤의 윤성빈 ... ...
- [종목3] 루지, 이미지 트레이닝도 VR로 실전처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데 도움이 된다. 평창 올림픽슬라이딩센터에서 선수가 실제로 트랙을 질주하는 동안 360도 카메라로 촬영도 했다. 그리고 루지 시뮬레이터로 이 영상을 반복적으로 시청하며 트랙을 익혔다. 실제 주행 시 썰매에 달린 센서에 기록된 속도와 가속도 등의 데이터가 시뮬레이터의 썰매 움직임에 ... ...
- [종목6] 아이스하키, 선수 위치 실시간 분석 ‘ 언더독의 반란’ 꿈꾼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처음 도입된 뒤 현재까지 미국, 프랑스, 터키, 한국 등에 도입됐다. 위치 오차는 30cm 이내로 정밀하며, 기록된 정보를 토대로 경주마별 전체 기록과 구간 기록, 속도 등 다양한 정보를 관중에게 서비스한다. 이 책임연구원은 “정밀측위시스템을 발전시켜 조정 종목에 적용할 수 있도록 대한체육회와 ... ...
- [Issue] 그레이트배리어리프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장기 보존하는 ‘정자 은행’도 생겼다. 호주 타롱가보호협회는 31개 산호초 지대에서 1710억 개의 산호 정자를 확보해 냉동했다. 앞으로는 급속 냉동에 취약한 산호의 난자나, 수정란과 어린 개체를 냉동 보관하는 기술도 개발할 계획이다. 제르겔리 토르다 제임스쿡대 교수는 “기후변화를 되돌릴 ... ...
- [Origin] 지구온난화 주범 vs. 청정에너지 진흙화산의 두 얼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가스하이드레이트의 저장고이기도 하다. 가스하이드레이트 한 조각에는 그 부피의 약 160배에 이르는 메탄이 들어있다. 가스하이드레이트가 상온에서 녹으면 막대한 양의 메탄을 방출하기 때문에 지구온난화를 가속시키는 ‘지구온난화의 시한폭탄’이 된다. 진흙화산의 위치를 빨리 파악하고 ... ...
- [Issue] 설마 내가 우울증? 우울증 검사 직접 받아봤습니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보건복지부 산하 중앙심리부검센터도 설립됐다. 백 교수는 “심리부검 사례가 최소 1000건 이상 충분히 쌓이면 국내 실정에 맞는 자살예방대책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2012년 한국심리학회지에 실린 ‘한국자살 사망자 특징: 사례-대조 심리부검 연구’ 논문에 따르면 자살한 이들은 ... ...
- [과학뉴스] 세상에서 가장 작은 ‘DNA 모나리자’과학동아 l2018년 01호
- μm는 100만 분의 1m), 모나리자의 상징인 온화한 미소는 100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에 불과하다. 룰루 치엔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교수팀은 DNA를 종이접기 하듯 조합해 특정 구조물을 형상화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2017년 12월 6일자에 발표했다. 인체의 유전정 ...
- [Issue] 요즘 ‘핫’한 롱패딩, 한국 겨울엔 필요 없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10% 가량 증가했습니다. 이를 8시간으로 환산하면 하루 평균 밥 2~3공기에 해당하는 600킬로칼로리(kcal) 이상입니다. 어린이는 세심한 체온관리 필요그렇다고 무작정 얇게 입으란 얘기는 아닙니다. 열 손실이 적은 몸통 부위는 두껍지 않게 옷을 착용하고, 공기와 접촉면이 넓은 얼굴과 손, 발은 ... ...
- [Culture] 좌완투수의 시대 왼손의 힘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상위 30명을 선정했다. KBO가 처음 시작된 1982년부터 2017년까지 36년간 단 한번이라도 30위 안에 이름을 올린 투수 371명 중 왼손 투수는 102명으로 약 27%로 나타났다. 일반인의 왼손잡이 비율인 10%보다 2.7배 가량 높은 수치다. 2017년에는 특히 왼손투수 ...
이전1231241251261271281291301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