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리광학
광학
물리학
뉴스
"
물리
"(으)로 총 5,243건 검색되었습니다.
핵폭탄이 터지면 어디로 도망쳐야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1.23
일어난 쪽을 향하고 있는 벽의 모서리로 대피해야 한다는 분석을 국제학술지 ‘유체
물리
학’에 17일 공개했다. 핵폭탄이 터지면 엄청난 에너지와 함께 주변이 모두 기화된다. 이어 강력한 충격파가 발생한다. 폭발이 발생한 근처 건물을 무너뜨릴 수 있으며 사람은 공중으로 떠오를 수 있을 정도의 ... ...
[주말N수학] 임선희 교수 "여러 세대가 쓰는 아이디어 내고 싶어"
수학동아
l
2023.01.21
않는다”며 말할 정도였습니다. 그래서 정답이 명확하고 현상의 원리를 설명할 수 있는
물리
와 수학을 좋아해서 복수전공을 시작했어요. 그런데 대학에서 역학 수업을 듣는데 오차(측정값과 참값의 차이)를 무시하고 계산하는 경우가 많더라고요. 저는 조금 더 엄밀하게 계산하고 싶은 욕심이 ... ...
제임스웹보다 강력한 차세대 우주망원경...지구 닮은꼴 행성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20
생명체 탐색 외에도 우주 생성의 역사, 가장 무거운 별의 수명 주기와 죽음 등 일반 천체
물리
학 분야에도 활용될 전망이다. 임무 수행을 위해 JWST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거울이 HWO에도 필요하다. JWST는 18개의 육각형 거울로 천체 현상에서 나오는 전파 신호를 잡아낸다. 18개의 거울들이 오밀조밀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전자구조 제어 기술을 통한 고성능 리튬-황 전지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1.20
대각선을 사이에 둔 대립에 관한 묘사라는 관점 등이 있었다. 연구팀은
물리
학적 관점에서 새로운 시각을 제시했다. 숫자 표의 숫자를 시공간 좌표로 보고, 마치 종이를 말아서 양 끝이 이어진 원통형으로 만들듯 시공간의 경계를 연결하고 반복시키는 진술이라고 해석했다. 또 '건축무한육면각체 ... ...
[과기원은 지금] 전상훈 KAIST 교수팀, 기존 메모리 성능 뛰어넘는 메모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19
KAIST 교수. KAIST 제공 ■전상훈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연구팀은 기존 플래시 메모리의
물리
적 성능 한계를 뛰어넘는 메모리를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 메모리는 음의 정전용량 현상은 인가되는 전압이 증가하면 전하량이 감소함을 의미하는 ‘음의 정전용량 효과’를 이용했다. 차세대 낸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엉터리 문·이과 ‘통합’에 대한 내로남불식 사과
2023.01.18
진정한 문·이과 통합 교육에 도움이 되는 것이 절대 아니다. 예를 들어서, 통합과학은 ‘
물리
·화학·생명과학·지구과학’을 똑같은 분량으로 분배해놓은 기형적인 과목일 뿐이다. 고등학교 1학년에서 배우는 통합 과목만으로는 대학입시는 물론이고 고도로 발달한 현대 사회를 살아가기 위해서 ... ...
방사성동위원소 지르코늄 이용해 암세포 죽이는 나노물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18
빠르게 운동할 때 X선을 방출하는 현상이다. 1958년 노벨
물리
학상을 받은 러시아의
물리
학자 파벨 알렉세예비치 체렌코프가 발견했다. 원자로 수조가 푸른 빛을 내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박 실장팀은 약 100nm(나노미터·10억분의 1m) 크기로 만든 산화티타늄 나노입자 내부에 진단용 동위원소 Zr-89를 ... ...
베일벗은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사고 가능성 100만분의 1"
동아사이언스
l
2023.01.17
설계가 단순화된다. 정상운전 시 운전원이 실수할 가능성도 줄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물리
적으로는 5개로 이뤄진 다중방벽을 통해 방사성 물질의 외부 유출을 차단한다. 김 단장은 "i-SMR은 철제형 격납용기를 원전 건물 내에 설치해 항공기 충돌 등의 위험성을 차단할 계획"이라며 "방벽 ... ...
식품용 투명 폐페트병 재활용한 첫 식품용기 임박
동아사이언스
l
2023.01.17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물리
적 재생원료의 인정 심사를 보다 철저히 실시하고
물리
적 재생원료의 재질별 안전기준을 지속적으로 확대 및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헬리코박터가 한세기 늦게 알려진 이유
2023.01.17
준다. 위액이 강한 산성을 띠고 있는 것은 위의 꿈틀운동과 함께 입으로 들어온 음식을
물리
적으로 파괴하기 위해서다. 그러면 음식에 들어 있는 영양소가 작은창자에서 흡수할 수 있도록 작은 크기로 바뀌게 된다. 또 입으로 들어온 병균을 퇴치하기 위해서도 강산성인 위액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 ...
이전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