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
구
뽈
교회 점토
보울
빰
ball
스페셜
"
볼
"(으)로 총 1,960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파커 솔라 프로브' 태양의 비밀을 파헤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4
모습을 표지로 실었다. 붉디 붉은 태양 앞에 파커 솔라 프로브가 오롯이 서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파커 솔라 프로브는 지난해 8월 11일 미국 플로리다 케이프 커내버럴 공군기지에서 발사된 태양 탐사선이다. 탐사의 목적은 태양에서 플라스마 대기가 방출되는 현상인 코로나를 포함해 태양에서 ... ...
가장 정교한 남극 빙하 밑 지형도 새로 그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3
제공 한국을 포함한 국제공동연구팀이 남극 빙하 아래 땅을 500m 단위로 정밀하게
볼
수 있는 남극대륙 지형도를 새롭게 제작했다. 서남극 지역이 기후변화에 취약하다는 사실도 새롭게 밝혀졌다. 연구팀은 이 지역의 빙하가 기후변화로 물러나게 되면 빙하 붕괴를 멈출 수 없을 것이라 경고했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토론 즐겼던 근대과학의 아버지
2019.12.12
명소인 우피치 미술관 바로 옆에 있는 갈릴레오 박물관에 가면 갈릴레오의 손가락뼈를
볼
수 있다. 갈릴레오가 사망한 1642년 1월8일로부터 꼭 300년이 지난 1942년 1월8일 영국에서 태어난 또 다른 천재가 있었으니, 바로 스티븐 호킹이었다. 위대한 누군가가 죽은 지 얼마 만에 누가 태어났다고 하면 ... ...
그린란드 빙하 3조8000억t 사라졌다...녹는 속도 90년대보다 7배 빨라
동아사이언스
l
2019.12.11
2도 상승하면 2100년까지 해수면이 60㎝ 상승하고 3억 6000만 명이 해안가 침수로 피해를
볼
것으로 2013년 전망했다. 하지만 여기서 예측한 그린란드 빙하 유실 속도보다 이번에 관측된 값이 더 커 약 7㎝ 더 상승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를 주도한 앤드루 셰퍼드 리즈대 교수는 “해수면이 1㎝ 상승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치매 환자가 암이 잘 안 걸리는 이유
2019.12.10
세포가 많아질수록 증상이 악화될 것이므로 노화가 진행될수록 발병 위험성은 커진다고
볼
수 있다. 이제 페롭토시스의 관점에서 건강보조식품을 생각해보자. 치매를 걱정하거나 초기 치매로 진단받은 사람에게 건강보조식품을 선물한다면 페롭토시스를 억제하는 코큐텐이나 시스테인, ... ...
[인류와 질병] 유독 인간에게 찾아오는 질병 '암'
2019.12.07
클론은 서로 경쟁한다. 아마 단세포 생물이 세상을 지배하던 시절에는 지구 어디서나
볼
수 있었던 장면일 것이다. 혹시 이런 방법을 암 치료에 적용할 수 있을까? 항암치료를 감행하면 민감한 암세포부터 죽기 시작한다. 조금 성급한 의사라면 한꺼번에 암세포를 박멸하겠다는 일념으로 항암제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GMO 황금쌀, 20년 만에 빛을
볼
까
2019.12.03
해충 저항성이나 제초제 저항성 유전자를 도입해 재배 과정에서 생산자(농민)가 득을
볼
수 있게 한 것인 반면 특정 영양 성분을 강화한 황금쌀은 소비자가 득을 보는 작물이다. 새로운 기술은 득과 실이 있기 마련이고 그렇다면 설사 GMO를 반대하는 입장이더라도 다른 GMO를 놔두고 유독 실보다 득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한층 더 상세하게 재현한 뇌 신경세포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1
생쥐 뇌의 신경세포를 표지로 실었다. 신경세포들이 아주 빽빽하게 서로 엉켜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마치 땅 속에 파묻혀 있는 나무의 뿌리 같기도 하다. 신경세포는 신경계를 이루는 기본적 단위 세포로 뉴런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온몸의 기관들과 뇌를 연결하며 뇌에서는 약 1000억개에 달하는 ... ...
시민과 과학자가 함께 만든 서울의 화분매개자 서식지 지도 '시민과학의 위대한 힘'
어린이과학동아
l
2019.11.30
아마엘
볼
체 중국 난징임업대 교수가 시민과학 데이터의 정확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볼
체 교수는 “분석 결과 시민과학자들끼리 서로 잘못된 종 정보를 수정해주기 때문에 그 결과가 DNA 분석 결과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정확도가 떨어지는 건 한국 도롱뇽 4종 중 2016년 ... ...
[인류와 질병] 우리는 왜 위험한 선택을 할까···질식분만의 진화
2019.11.30
35%를 넘는 수준으로 높아졌다. 세 건 중 한 건이다. 흔해진 수술이지만 그렇다고 가벼이
볼
일이 아니다. 우리나라처럼 의료 수준이 높은 나라의 모성사망률은 십만 명당 2명 수준에 불과하다. 아기를 낳다 죽는 일은 아주 드물다. 하지만 제왕절개의 경우에는 약 세 배(우리나라)에서 일곱 배 ... ...
이전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