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능성"(으)로 총 5,94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남미산 개미가 부산항에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최근 일본에 외래 붉은불개미가 나타났거든요. 이 때문에 우리나라는 지난 7월부터 발견 가능성이 높은 항구를 1, 2주마다 조사했지요. 정부는 사건 발생 다음날 바로 최초 발견지역 부근 100m에 있는 컨테이너를 전부 소독했어요. 그리고 감만부두를 포함해 전국의 주요 항만 34개소를 모두 검사하기 ... ...
- Part 2. 지구를 아슬아슬하게 스쳐가는 소행성?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밖으로 빠져나와 지구 가까이로 날아오기도 하지요. 다행히 2012 TC4가 지구에 피해를 줄 가능성은 매우 낮아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사람들은 마음을 놓지 못하고 있답니다. 2013년 러시아 첼랴빈스크 지역에서 일어난 운석 낙하 사건 때문이지요. 2013년 2월 15일, 러시아의 첼랴빈스크 상공 3 ... ...
- Part 4. 소행성 찾으러 우주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목표예요. 여기에 있는 소행성들은 태양계가 처음 만들어질 당시의 물질로 이뤄졌을 가능성이 커요. 그래서 목성 트로이군에 속하는 소행성들을 조사하면 태양계가 생겨날 때 어떤 일이 있었는지 추측할 수 있죠. 2025년에 소행성대에 도착한 뒤, 2027년~2033년까지 목성 트로이군의 소행성을 관찰할 ... ...
- [가상인터뷰] 카시니 호, 토성에서 최후를 맞이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카시니 호: 수많은 자료들 중 가장 주목받은 성과는 위성인 엔셀라두스에서 생명체의 가능성을 발견한 거예요. 저는 얼음 위성인 엔셀라두스의 남극 지역에서 솟아나는 따뜻한 물기둥과 바다를 발견했어요. 그리고 물기둥 성분을 분석한 결과 물과 수소, 이산화탄소와 메탄 그리고 암모니아 등이 ... ...
- [현장취재➋] 드론으로 미세먼지를 잡아라! 더스트 버스터즈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하지만 비가 내릴 때 물방울에 섞여 지표로 내려오면 피부에 닿거나 코로 흡입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어요.한편 지표와 가까운 20m 상공에서는 탄소, 나트륨등 다양한 화학물질이 들어 있는 것으로 확인됐어요. 미세먼지가 ‘보통’인 날이었지만 생각보다 다양한 화학 성분들이 발견됐지요 ... ...
- ‘나노영챌린지 2017’ 6개월 대장정 막 내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아주대 팀에게 돌아갔다. 2차원 신물질을 이용해 양자컴퓨터에 필요한 큐비트(Qbit) 구현 가능성을 확인했다. 큐비트는 0과 1의 디지털 신호가 아니라 둘이 섞여 있는 중첩 상태로 양자컴퓨터에서 정보를 저장하는 단위다. 우수상 두 팀 가운데 나노기술연구협의회장상은 대학원생들로 구성된 부산대 ... ...
- [Future] 알파고 제로, 공식을 깨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하지 않고 포기했거나, 간단한 가능성만 확인하고 완성시키지 않은 채 중단했을 가능성이 높다. 이제 관건은 차별화된 결과를 내는 것이다. 별다른 전문지식이 없어도 오픈소스의 데이터만 바꾸면 대충 쓸 만한 결과가 나오는 상황에서, 앞으로는 공개된 인공지능 기능을 활용해 더 좋은 ...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목소리는 상당히 들떠 있었다. 외계행성과 같이 낯선 환경에서 생물이 적응하고 진화할 가능성에 대해 연구하는 사람으로서, 이런 샘플에는 깊은 흥미를 느낄 수밖에 없다는 말도 몇 번이나 덧붙였다. 이런 게 어디서 났는지 더 자세히 알려달라고 은근히 보채는 말이 분명했다. 그러니까 ... ...
- [수학공감] 수학문화를 퍼뜨리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오른쪽 방향으로만 이동하면 모든 사람이 자기 자리로 가기 전에 막대가 넘어져 버릴 가능성이 아주 높다. 그래서 원의 안쪽으로 움직이는 조원도 있어야 한다. 대각선으로 움직이는 것이다. 학생들은 반복해 연습하며, 자연스럽게 생긴 조장의 주도 하에 작전을 계획했다. 수많은 시도 끝에 성공한 ... ...
- [시사기획] 北 생화학 무기 개발,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동결 보존할 경우에는 20년간 생존할 수 있다. 관리가 쉬워 단백질을 섞어 무기로 개발할 가능성이 크다. 두창 바이러스는 다른 나라에서 이미 여러 백신을 개발한 데다가, 우리나라 역시 CJ헬스케어가 두창 치료백신의 전임상을 진행 중이다. 다만, 같은 속의 다른 바이러스인 백시니아 바이러스 ... ...
이전124125126127128129130131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