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념"(으)로 총 3,95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발光하는 테크놀로지] 光의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생각해보세요. 소자를 얼마나 작게 만들어야하는지 감이 오시나요? 광컴퓨터와 좀 다른 개념이지만 양자역학적 현상을 이용하는 양자컴퓨터란 것도 있습니다. 여기에도 빛이 사용됩니다. 양자컴퓨터는 빛과 원자 혹은 전자의 상호작용을 이용하는데, 대용량의 병렬처리를 할 수 있습니다. 아직 ... ...
- 존 내쉬, 영화처럼 잠들다!수학동아 l2015년 07호
- 평형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공동의 이익을 위해 가격을 담합하곤 한다. 내쉬 평형 개념은 이에 대한 수학적 설명을 제공한다. 해석학 분야에 마지막 업적을 남기다내쉬가 1950년의 박사학위 논문에서 게임이론을 다룬 뒤에 집중한 문제는 대수기하학 문제였다. 이 결과는 ‘내쉬 임베딩 ... ...
- 평면적이지 않은 평면이야기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없었어요. 위대한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가 인간은 태어나기 전부터 유클리드 공간 개념을 갖고 있다고 말할 정도였죠.사실 완벽할 것만 같은 유클리드 기하학에도 약점은 있었어요. 바로 ‘평면 위에 위치한 직선 밖의 한 점을 지나면서, 원래 직선과 만나지 않는 직선은 단 하나뿐’이라는 ‘평행선 ... ...
- 박종화 생명과학부 교수 - 늙지 않는 세상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비밀을 풀겠다는 생각에 서울대 수의학과에 진학했다. 하지만 당시에는 컴퓨터라는 개념조차 생소한 시대였다. 컴퓨터와 생물을 접목해 연구를 하는 학자도 없었다. 결국 그는 서울대를 중퇴하고 영국 유학길에 올랐다. 그리고 그곳에서 평생의 동반자가 될 ‘생물정보학(bioinformatics)’을 만났다 ... ...
- 전염병 예측하는 소프트웨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기대수명이 26년 7개월에서 29년 9개월로 늘어난다고 예측했다. 당시는 백신에 대한 개념이 없던 때라, 천연두 균을 일부러 몸 안에 넣는다는 사실에 반발하는 사람이 많았다. 베르누이는 전염병이 확산되는 과정과, 그때의 기대수명을 수학적으로 보여줘 예방접종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힘을 실었다.1 ... ...
- [지식] 여섯 번째 요리 문제는 선택이야! 이항정리와 커리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전개식도 파스칼이 태어나기 훨씬 전부터 있었습니다. 송나라 수학자 양휘는 이항정리의 개념을 파스칼의 삼각형과 거의 비슷한 모양으로 설명했습니다. 11세기 페르시아의 수학자 오마르 카이얌도 임의의 정수 n에 대한 이항정리를 제시해 놓았습니다. 이항정리의 저작권은 인류의 역사가 갖고 ... ...
- 우주를 향해 크게, 더 크게! 거대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NASA가 상상 속의 기술을 현실에 구현하기 위해 연 아이디어 대회 ‘NIAC’에서 선발된 신개념 우주망원경이에요.아라고에서는 지름 800m짜리 원반이 반사경 역할을 해요. 약 250m인 63빌딩 세 채가 줄지어 들어가도 자리가 남을 정도로 거대한 규모지요. 빛이 불투명하고 가벼운 플라스틱 원반의 ... ...
- PART1. 이곳에 시인이 왔어야 했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가상현실 속으로 들어가 뉴스를 ‘몸으로 경험’하는 것이다.가상현실 저널리즘이란 개념을 처음 내세운 미국 기업 앰블러머틱그룹은 최근 다양한 콘텐츠를 공개했다. 시리아 주택가에서 발생한 폭탄 테러를 다룬 ‘프로젝트 시리아’는 시청자들을 테러현장 한복판으로 데려간다. 테러현장의 ... ...
- [과학뉴스] 세계 최고 해상도 양자점 LED 개발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어디에나 붙일 수 있으면서도, 해상도가 최신 스마트폰보다 최대 7배 뛰어난 신개념 디스플레이가 개발됐다. 현택환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연구단장 팀은 최근 주목받고 있는 양자점 LED 기술을 이용해 이같은 디스플레이를 개발했다. 양자점 LED는 지름이 10나노미터(nm는 10억분의 1m) 수준인 ... ...
- 상수의 탄생 ⑤ 난세가 만든 영웅, 플랑크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복사는 해결됐지만, 진짜 문제는 그때부터였다. 판도라의 상자가 열렸다. 새로운 에너지 개념을 둘러싼 엄청난 혼돈이 시작됐 다. 가까스로 흑체 복사 문제를 해결한 물리학은 기 운을 차리자마자 양자역학이라는 듣도 보도 못한 신 형독감과 마주한다.매일매일 우리가 보고 듣고 만지는 세상은 ... ...
이전124125126127128129130131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