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심
두려움
무기력
소동
비겁
불실
변절
d라이브러리
"
겁
"(으)로 총 2,152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머리 이식…과연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하기 때문에, 의학계에서는 복합조직이식이 의료윤리에 어긋난다는 합의가 있었던
겁
니다.” PLUS 동물 머리 이식 실험동물을 대상으로 한 머리 이식은 20세기 초부터 시도됐다. 1908년 미국의 생리학자 찰스 구드리는 개 한 마리의 머리를 다른 개의 목에 붙였다.동맥을 미리 잘라 놓은 머리에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통일을 준비하는 물 공학자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사람들이 힘들어 하니까, 또 필요로 하니까 공학이 발전하는
겁
니다. 공학을 영어로 엔지니어링이라고 하죠? 저는 그걸 인간의 마음이 엔진이 돼야 진정한 엔지니어링이 완성되기 때문이라고 해석합니다. 학생들에게도 기술을 공부하기 전에 먼저 인간에 대해 고민하라고 ... ...
[Life & Tech] 눈의 여왕은 과연 몇 ℃일까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기준~!” 맨 앞에 있는 사람이 이렇게 외치며 손을 들면 그 뒤로 다른 사람들이 차례차례 줄을 선다. 마찬가지로 온도를 재려면 기준이 있어야 했다. 특정 온도 몇 개로 기준을 정한 뒤 ... 시간 등 다른 단위와 연결되는 지점이 생겼어요. 마침내 온도도 단위의 제국에 들어온
겁
니다 ... ...
Part 2. 현대수학은 ‘편미방’을 모른다?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가정해 봅시다. 계속 키우다 보면 어느 순간부터는 양자세계 관점에서 분석해야 할
겁
니다. 하지만 수학적 풀이 과정에서는 전체를 연속체라고 가정하거든요. 어느 지점에서는 모순이 나타날 수밖에 없는 거지요.” 현실을 보고 만든 편미분방정식이지만, 그 방정식을 풀어서 구한 함수가 ... ...
[Life & Tech] 대선보다 치열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열전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우리가 보게 될 든 사진이나 영상은 결국 우리가 눈으로 보는 것과 같은 방향으로 발전할
겁
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도 기술이 발전한다면, 언젠가 3D를 구현할지도 모르죠. 디스플레이의 진정한 의미는 세상을 그대로 표현하는 것에 있기 때문입니다. 진정한 디스플레이를 원하신다면, 저를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하다] “위험한 일을 대신할 기계를 만든다”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날개를 움직여요. 펄럭이기도 하고 날개 끝단을 움직이기도 하고. 공기의 흐름을 읽는
겁
니다. 비행체도 이런 새의 움직임을 적용시킨다면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이민지: 마지막으로 입시를 준비 중인 학생들에게 기계항공공학부 자랑 한 마디만 해주세요.김현진: 기계항공공학부는 모든 ... ...
[Life & Tech] 비만? 고기보다 음료수가 문제!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발표했다. “고기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진짜 문제는 탄수화물을 과도하게 먹고 있는
겁
니다.” 100% 무가당 주스 몸에 좋을까탄수화물과 단백질+지방의 섭취 비율은 6:4가 좋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대체로 7:3이다. 아무래도 밥을 많이 먹기 때문이다. 흥미로운 건 밥보다 면이나 빵을 많이 먹는 ... ...
[지식] 마지막 요리 모두의 맛, 미분과 적분 그리고 치킨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태어나면서 상황이 달라졌습니다. 수학자와 과학자가 움직임을 다루기 시작한
겁
니다. 지구에 다가오는 혜성, 메르스 같은 전염병, 매일 오르내리는 주식시장까지…. 수학이 다루는 주제가 무궁무진해졌습니다. 계산에 쓰이는 시간도 훨씬 짧아졌습니다. 고대의 수학자가 평생에 걸쳐 구하던 호의 ... ...
너도 금사빠?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있는 걸까?” 소년의 머릿속에는 아마도 어여쁘고 귀엽고 가녀린 알바생이 떠올랐을
겁
니다. “그건 뭐 너무 자명하지! 남자는 나이가 좀 있고 잘 생기고 스포츠 좋아하고 외향적이고 성실하고 자존감 높은 사람이 인기가 많아. 실제 연구 결과도 그렇고. 근데 여자는…. 더 이상 말하지 않겠다.” ... ...
임미희 자연과학부 교수 - 알츠하이머 고치는 화학자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알츠하이머는 우리에겐 꽤 익숙한 존재다. 하지만 인지도에 비해 이 병은 알려진 게 많지 않다. 병의 원인으로 여러 가지가 제시되고 있기는 하지만 모두 추정일 뿐이었다. 임미희 UNIST ... 진행할 수 있어요. 우리나라가 그렇게 변한다면 알츠하이머 치료를 선도하는 나라가 될
겁
니다 ... ...
이전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