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리
대행
대변
대표
대치
대체
대리인
d라이브러리
"
대신
"(으)로 총 5,62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플라스틱 소라게가 나타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삼아 살지요.그런데 해양오염으로 인해 자연에서 찾을 수 있는 다양한 집들은 줄어들고,
대신
인간이 버린 해양 쓰레기는 늘어났어요. 미국 항공우주국에서는 지금과 같은 추세라면 2025년까지 해양 쓰레기 총량이 무려 1억 5500만 톤에 달할 것이라 예측했어요. 이 정도면 전세계 해안을 따라 두께 30cm,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대한 부담감 등으로 결국 제안을 거절했다(이렇게 또 한 명이 노벨상에서 멀어졌다).
대신
그 자리에 드레버 교수를 추천했고, 이렇게 드레버 교수는 1984년 캘리포니아공대로 옮겨 본격적으로 레이저 간섭계를 개발했다. 올해 수상자가 됐을 뻔한 드레버 교수는 안타깝게도 치매로 고생하다가 올해 ... ...
[Origin] 1kg 정의, 130년 만에 바뀐다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전혀 없는 것은 아니라는 반론도 있었다. 하지만 인공물에 의한 킬로그램 단위를
대신
하기에 충분히 안정적이라는 데 최종 합의를 봤다. 플랑크 상수에 대해 전세계 기관의 합의가 이뤄진 건 이번이 처음이다. 단위자문위원회는 이번에 논의한 플랑크 상수를 10월에 열린 국제도량형위원회(CIPM)에 ... ...
잇고! 끊고! 즐기고! 스위칭 게임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붙어있는 정육각형을 먼저 연결하는 사람이 이깁니다. 다른 점이 있다면 선을 연결하는
대신
두 사람이 각자 말을 정육각형 위에 올려놓아 연결한다는 겁니다. 노벨상의 일등공신, 헥스헥스는 1940년대에 덴마크의 공학자이자 시인인 피엣 헤인과 게임이론으로 유명한 존 내시가 각각 독자적으로 ... ...
Part 2. 슈퍼맨의 히트비전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데 든 비용은 1달러(약 1130원)에 불과했다. 머지않은 미래에는 전투기의 기총을 레이저가
대신
할 것으로 보인다. 미 공군은 국방부 산하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과 공동으로 전투기에 장착할 레이저포 ‘고에너지 액체 레이저 방어 시스템(HELLADS)’을 개발하고 있다. 150kW 출력인 이 레이저포는 동급 ... ...
[Origin] 꽃보다 동물 동물의 향기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사향고향이 등 동물에서 향료를 채집하는 일은 야생동물보호법으로 금지돼 있다. 그
대신
전문가들은 화학적으로 분자를 합성해 인공 향을 만들어 향수에 넣는다. 천연 향료에 들어 있는 냄새 분자를 모두 찾아내 100% 동일하게 합성하는 일은 불가능하다. 그래서 화학자들은 무스콘이나 시베톤 같은 ... ...
[Culture] 알골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내심 다른 두 알골을 캘리반이나 에어리얼이라고 여겼을지도 모른다. ‘못 정하겠으면
대신
지어줄까?’성미 급한 멀린이 물었다.‘볼드모트 어때?’내가 대답했다 ... ...
[Issue] 잘 나가는 크리스퍼 ‘처녀생식’ 논란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더 높았다”고 말했다. 논란1: 난자의 유전자 교정? 발달생물학에 위배 외부 DNA
대신
난자의 유전자를 기반으로 유전자 교정이 이뤄졌다는 내용은 가장 먼저 의혹의 대상이 됐다. 에글리 교수는 논문에서 “이는 기존의 발달생물학에 위배되는 것이며, 이 부분에 대한 생물학적 메커니즘을 ... ...
[Future] ‘ 마션 인 하와이 ’ 8개월의 기록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설렘, 긴장감에서 이미 화성 탐사는 시작됐다”고 썼다. 새뮤얼 페일러 대원은 글
대신
대원들이 생활하는 모습과 화성 기지 곳곳을 촬영한 동영상을 공개했다. 화성 기지는 천막 돔으로 크기가 약 384m3 정도다. 6명이 함께 살기에 넉넉한 공간은 아니지만, 침실은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 ...
[공룡은 왜?] 공룡이 돌을 먹는다고? 용각류 위석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또 어금니가 없기 때문에 식물을 잘게 씹을 수도 없었답니다.용각류 공룡은 어금니를
대신
할 방법을 찾아야 했어요. 그 결과 돌을 먹어서 위 속에 넣어 두고 다니게 되었지요. 그러면 위 속에서 돌들이 부딪히면서 맷돌처럼 음식들을 잘게 부숴요. 이 돌을 ‘위석’이라고 부른답니다. 모래알이나 ... ...
이전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