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쓰레기
티끌
티
진흙
흙먼지
더러움
홍진
d라이브러리
"
먼지
"(으)로 총 1,460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의 밤하늘, 어디가 가장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비교적 광해가 적은 곳으로 하고 근교는 도심과 가까우면서도 도심을 둘러싸고 있는
먼지
층에서 어느 정도 벗어난 곳을 선정 하기로 했다(관측장소 참조). 단 서울 근교는 대기오염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가평으로 결정.관측일자는 월령을 고려하고(초승이나 그믐이어야 관측에 유리함) 장마가 끝날 ... ...
과학실험위성 「우리별1호」발사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시스템이 '30분 시스템'으로 대폭 개선될 수 있다.우주 공간 내에 존재하는 방사선이나
먼지
입자를 검출하는 검출기도 실려 우주 환경을 이해하는데 한 몫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별1호에는 불가능하지만 현재 미국 아이오와 대학과 공동개발중인 우주측정용 챈널트론이 완성돼 인공위성에 ... ...
지의류 생태계의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그 큰 바위들이 하얗게 되고 말았다.최근에 많은 지의류가 대기로부터 치명적인
먼지
를 몸안에 축적한다고 알려졌다. 즉 원자탄 폭발에서 나오는 방사능낙진, 특히 스트론툼 90과 세슘 137은 먹이연쇄에 의하여 인간에 옮겨져서 암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 문제는 큰사슴과 순록의 경우 눈에 특별히 ... ...
우주의 나이 의외로 젊다?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변광주기와 절대광도의 상관관계를 추정했다. 변광성을 적외선망원경으로 관측하면 우주
먼지
에 의한 오차가 제거돼 정확도가 확보되기 때문에 새로운 방법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 결과 우주의 나이는 80~1백20억년으로 추정됐다.빅뱅 이론의 정밀화를 수행하고 있는 스탠퍼드 대학의 린데 교수등 ... ...
광공해 피해 선명한 밤하늘 보려면 도심 별관측 어떻게 하나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불빛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나, 자정이 지나서 지상의 온도가 떨어지면 하강기류가 생겨
먼지
층의 높이가 낮아져 빛의 영향이 어느 정도 줄어들 뿐만 아니라 자정이 지나서는 많은 양의 인공조명이 꺼지기 때문이다.광공해 차단 필터광공해를 일으키는 대다수의 불빛은 가로등이나 기타 ... ...
비틀대는 한국과학기술의 「싱크탱크」 활로는 없는가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쓰기 위한 연구집행이나 크게 필요치않은 첨단장비를 구입하기도 한다.연구소 곳곳마다
먼지
속에 쌓여있는 논문들이 비록 연구의 질을 평가하는 '잣대'가 모호하다고 해도 얼마나 국가과학기술발전에 기여했는가 하는 문제를 놓고 한번쯤 자기성찰을 할 필요가 있다.실(室) 단위 독립채산제로 ... ...
밝은 성단(星團)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따를 때 개방형 무리들이 비교적 짧은 수명을 갖고있는 이유는 은하수를 따라 움직이며
먼지
구름을 통과하면서 무리로부터 이탈하는 별들이 생기기 때문이다.가장 널리 알려진 개방형 별무리는 플레이아데스인데 좋은 눈을 갖고도 그 무리의 다른 3천여개 별을 보지못한 그리스인들은 7개의 별이 ... ...
1 우리 은하 태양도 초속 220㎞로 은하중심을 돈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인공위성 IRAS (Infrared Astronomical Satellite )가 얻은 적외선 사진으로서, 우리은하 안에 있는
먼지
가 아주 얇은 원반모양으로 분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성간물질의 거의 대부분은 수소원자와 수소분자이나, 일산화탄소 물 암모니아 및 알코올을 비롯한 약 1백여종의 분자가 존재하고 있는 것도 알려져 ... ...
7월의 밤하늘 탄생을 결정하는 행운의 별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좋은 날이면 맨눈으로도 관측이 가능하다. 성운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어두운 가스와
먼지
의 만(灣)에서 석호 성운이라는 이름을 따 왔다. 이 어두운 모래톱은 별들이 형성되는 모습일 것이다. 이 성운은 지구에서 수천광년의 거리에 있으며 그 지름은 수십 광년 정도이다. 3. 오메가 성운(Omega Nebula, ... ...
4 은하 관측법 달 표면에 천문대를 세워라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전파의 파장이 길기 때문에 전파가 통과하는 경로에 있는 입자나
먼지
의 영향을 가장 덜 받는다는 장점이 있다. 다시 말해 어떤 천체 주위에 또는 경로상에서 가시광선을 흡수하는 물질이 많이 있다하더라도 전파를 이용하면 그 천체를 잘 관측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 ...
이전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