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문화과학"(으)로 총 1,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탁월한 리더십 발휘한 과학자 베스트5과학동아 l2001년 04호
- 이제 과학은 막대한 지원과 많은 인재들을 필요로 한다.과학자는 혼자서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사회와 연구집단 속에서 리더십을 발휘해 연구를 수행해야 큰 업적을 세울 수 있다.강력한 리더십으로 거대한 업적을 세운 역사 속의 걸출한 과학자들을 만나보자.노벨상을 받을 만큼 훌륭한 ... ...
- '사이빌'에 등장한 16개 인격체 가진 여성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사이코, 프라이멀 피어, 칼라 오브 나이트, 스트레인저, 카인의 두 얼굴, 미 마이셀프 앤드 아이린…. 이 영화들에는 공통적으로 하나의 정신질환이 등장한다. 바로 한 사람이 전혀 다른 두개 이상의 인격을 가지고 있는 다중인격이다. 영화 덕분에 우리에게도 그리 낯설지 않은 정신질환이 된 다중 ... ...
- 구장산술에도 유클리드 호제법 나온다과학동아 l2001년 02호
- 최대공약수를 구할 때 흔히 사용되는 방법이 유클리드 기하원본에 소개된 호제법이다.놀랍게도 구장산술 첫장에 나오는 단순한 분수 계산의 풀이법에 이런 유클리드 호제법과 동일한 방법이 소개돼 있다.지난호에서 우리는 ‘구장산술’이 동양 최초의 수학서이면서 후대에 미친 영향이 지대했다 ... ...
- 바람계곡의 나우시카과학동아 l2001년 02호
- 1월 9일 오후 5시부터 8시까지 장장 3시간에 걸쳐 두번째 방담회가 진행됐다. 애니메이션의 거장,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작품이기 때문인지 감독의 철학이나 사상에 대해 논의하는 등 시종일관 색다르고 흥미로운 대화가 오갔다. 환경과 생태 문제를 다루는 영화로 알려진 만큼 서울대 환경대학원 ... ...
- 3. 국내 감성공학 연구의 현주소과학동아 l2001년 02호
- 일본에서 처음 시작한 감성공학은 국내에도 일찍 알려져 이미 다른 선진국보다 빠르게 시작됐다. 1995년 시작한 G7 감성공학 프로젝트가 그것이다. 미래를 내다보고 남보다 앞서서 시작한 감성공학에 대한 연구는 과연 어디까지 왔을까.자동차를 타고 집안에 들어서자 차고문이 자동으로 열린다. 차 ... ...
- 2. 인터페이스 첨단연구의 현장 MIT 미디어랩과학동아 l2001년 02호
- 아주 가까운 미래에 우리는 컴퓨터의 존재나 사용방법을 따로 학습할 필요 없이 디지털 정보의 혜택을 누릴 것이다. 바로 새롭게 고안된 인터페이스의 도움으로. 이것이‘인간 인터페이스 혁명’이며, 다가올 디지털 시대의 생활문화와 정보산업의 전략적 도구가 될 전망이다.현재 미국 MIT 미디어 ... ...
- 자크모노의 우연과 필연과학동아 l2001년 02호
- “우주 속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은 우연과 필연의 열매다”라는 그리스 철학자 데모크리투스의 말, 그리고 “나는 시지프스를 산록에 남겨두고 떠나련다! 인간은 자기의 무거운 짐을 또다시 지게 될 것이다. 그러나 시지프스는 신(神)을 부정하고, 바위를 다시 밀어 올리는 일에 더 충실하도록 가 ... ...
- 분단 이후 북한의 과학문화유산 연구과학동아 l2001년 01호
- 2000년 12월 초 일제히 일간신문들은 ‘세계 최초의 비행체 비차 일반에 공개’라는 제목으로 임진왜란 시절 만들어졌다고 생각돼 온 ‘하늘을 나는 차’(비차 혹은 비거)의 복원 소식을 알렸다.공군사관학교 박물관에 전시된 이 비차는 건국대학교 복원팀의 노력으로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는데, 19 ... ...
- 한민족 고유의 바닥 난방, 구들과학동아 l2001년 01호
- 예전 우리네 겨울 생활을 생각해보면, 땔감, 아궁이, 굴뚝, 아랫목 등이 연상된다. 한민족의 난방법이 바닥 난방인 온돌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온돌을 순 우리말로 구들이라고 한다. 구들에서 발견할 수 있는 우리 선조의 지혜는 어떤 것일까.겨울철 찬바람이 불어오면 따끈따끈한 아랫목에 펼쳐둔 ... ...
- 北韓 과학문화과학동아 l2001년 01호
- 민족 분단 50년. 휴전선을 가로지르는 철조망처럼 남북한의 과학문화 사이에도 어느덧 경계선이 그어졌다. 과거 하나의 민족임을 나타내는 유물연구에서 시작해, 미래를 이끌 과학영재교육을 살펴본다. 그리고 찾아가는 민족의 영산 백두산. 가깝지만 너무 모르고 있는 북한을 다시 만나보자. ...
이전124125126127128129130131132 다음